2025/03 203

[카타르] 식품 안전 등급제 도입, 위생 관리 강화를 위한 식중독 예방

[카타르] 식품 안전 등급제 도입, 위생 관리 강화를 위한 식중독 예방■ 주요내용  카타르 공공보건부는 `25년 2월 20일에 공식적으로 `식품 업체 대상 안전 등급 프로그램(Food Safety Rating Programme for Food Establishments)`을 출범했다. 이번 조치는 카타르 국민들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고,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카타르 정부가 식품 안전 강화를 위해 도입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카타르 내 다양한 음식점들이 식품 안전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독려하며, 소비자들이 직접 매장의 위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6단계 등급으로 평가...‘우수’부터 ‘긴급 개선 필요’까지카타르 새로운 식품 안전 등급 시스..

[일본] 일본 스낵 시장 소비트렌드 : 다양화와 프리미엄화

[일본] 일본 스낵 시장 소비트렌드 : 다양화와 프리미엄화  최근 일본 스낵 시장은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과 요구를 반영하여 혁신적인 제품들을 선보이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전통적인 맛에서 벗어나 새로운 맛과 식감을 추구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ㅁ 일본 스낵 시장의 트렌드 조사  시장조사기관인 ‘민텔재팬’이 발표한 「소금맛 스낵 트렌드-일본-2024」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스낵 시장에서는 단순한 '소금맛'이나 '간장맛'에서 벗어나 '클램차우더 맛'이나 '갈릭쉬림프 맛' 등 본격적인 요리의 맛을 재현한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는 특히 Z세대 소비자들이 음식을 '체험'으로 즐기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다양한 맛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2023년 일본 스낵 시장은..

일본 2025.03.23

[중국] 나이쉐 그린(奈雪green), 건강한 라이트밀 충전소

[중국] 나이쉐 그린(奈雪green), 건강한 라이트밀 충전소3월 12일, 중국 차음료 산업의 대표주자인 나이쉐더차(奈雪的茶)는 새로운 매장 형태인 ‘나이쉐 그린(奈雪green)'을 출시했다. ‘나이쉐 그린(奈雪green)'의 첫 번째 매장은 선전 첸하이(深圳前海)에 위치해 있으며, 간판에 ‘가벼운 음료와 가벼운 음식 green by NAIXUE’라는 로고가 눈에 띄게 걸려 있다. ‘자연의 녹색, 가벼운 생활’을 이념으로 하는 ‘나이쉐 그린(奈雪green)'은 가벼운 음료와 음식 전문으로 직장인 고객의 저칼로리, 웰빙, 일상적인 수요를 겨냥하여 4가지 라이트밀 식단 및 여러 종류의 음료를 제공한다. 음료의 포장패키지와 매장 인테리어는 나이쉐(奈雪)의 상징적인 녹색을 나타내어 매우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

중국 2025.03.23

[미국] 슈링크플레이션, 미국의 관세정책이 식품산업에 미치는 영향

[미국] 슈링크플레이션, 미국의 관세정책이 식품산업에 미치는 영향다시금 무역 전쟁의 위협이 식음료 산업을 덮치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는 가격 인상보다는 비용 절감을 위한 제품 크기 축소(슈링크플레이션)나 원재료 변경 등의 대안을 고려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글로벌 무역 정책을 재편하기 위해 관세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식품 산업은 제품의 신선도 유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관세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분야 중 하나가 되었다. 미국에서 소비되는 식품의 대부분은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핵심 원재료나 포장재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캐나다는 미국의 주요 귀리 공급국이며, 최근에는 코코아 가공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소비자 브랜드 협회(Consumer Bran..

[브라질] bone broth 시장 점진적으로 성장중

[브라질] bone broth 시장 점진적으로 성장중2023년과 2024년, 소셜미디어 플랫폼 틱톡(TikTok)을 통해 바이럴되기 시작하며 브라질에서 동물 뼈를 우려낸 육수인 bone broth(포르투갈어: caldo de ossos)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2021년까지는 bone broth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긍정적으로만 평가되지는 않은듯하다. bone broth에 대해 21년도에 올라온 기사들은 모두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이 뼈를 기부받거나 싼 값에 구입해 며칠치의 식사를 해결하는 내용과 관련되어 있다. 일례로, 2021년 7월 발표된 g1의 한 기사에서는 마트로그로수 주의 Cuiabá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뼈 기부를 받기 위해 한 정육점 앞에 길게 줄을 섰다는 내용을 담았다. 그들은 연골..

[프랑스] 프랑스 라면 시장동향

[프랑스] 프랑스 라면 시장동향❍ 주요동향프랑스의 라면 시장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성장해 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된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10년 프랑스 라면 시장규모는 36.3백만 유로에서 2019년에는 82.4백만 유로로 2배 이상 성장하였다. 이후 2019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시장규모가 약 2배 성장하여 2024년 기준 160백만 유로에 도달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시장 규모가 더욱 빠른 속도로 커진 것을 알 수 있으며, 2029년에는 시장규모가 199.7백만 유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삶의 패턴과 식습관 변화, 품질 개선, 그리고 문화적 관심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유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

[대만] 대만의 “소스 및 조미료” 제품 시장 분석

[대만] 대만의 “소스 및 조미료” 제품 시장 분석■ 2024년 소스 및 조미료 제품 판매액 NTD 160억 불 달성 전망, 천연 성분 제품의 수요 증가2024년 10월에 발표된 유로모니터(Euromonitor) 조사 자료에 따르면 2024년 대만의 소스 및 조미료 제품의 판매액은 2023년 대비 약 4.9% 증가한 약 160억 대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 소스 제품의 식품 안전 및 편리함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증가 동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수입된 중국산 고춧가루에서 유해화학물질인 수단 색소가 불법 첨가된 사건이 발생하여 사회적 이슈가 된 이후 대만 소비자들의 천연 성분으로 제조된 제품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식품 안전과 제조성분과 과정의 투명성이 강조된 제품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 2025.03.23

[미국] 종합 유통기업 타겟(Target), 식료품 카테고리 강화 발표

[미국] 종합 유통기업 타겟(Target), 식료품 카테고리 강화 발표 미국의 대표적인 종합 유통기업 타겟(Targe)이 올해 수백여가지의 PB 상품을 추가하여 식료품 카테고리를 강화하며, 유명 셰프와 매장 브랜드 제품을 만든다는 계획을 밝혔다.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 본사를 둔 타겟(Target)은 지난 1962년 설립, 미 전역에 약 1,950여개 매장을 운영하며 식품은 물론 생활용품 및 의류, 전자제품을 판매하는 미국의 대표적은 유통업체다.  타겟의 CCO 릭 고메즈는 최근 4분기 실적 발표 회의를 통해 2025년 타겟이 자체브랜드인 ‘굿앤게더’(Good & Gather)와 ‘페이보릿데이(Favorite Day) 식료품 브랜드에 600개 품목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arget은 또한..

[미국] Z세대, ‘네오스탈지아’와 기능성 풍미를 요구하다

[미국] Z세대, ‘네오스탈지아’와 기능성 풍미를 요구하다식음료 산업에서 인구 통계학적 변화가 더욱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벨 플레이버 앤 프레그런스 (Bell Flavors & Fragrances)는 이러한 변화 속에서 향수를 자극하는 맛과 웰빙을 강조하는 제품이 올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천연 향료 제품과 기능적 이점, 그리고 복고풍의 맛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풍미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Z세대가 가정 내 구매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고, 이는 식음료 혁신을 촉진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팩트 미스터 (Fact.MR)의 데이터에 따르면, 글로벌 천연 및 유기농 맛 제품 시장은 2024년 99억 9,000만 달러에서 2034년 173억 9,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

[독일] 2025년 해산물 시장 동향

[독일] 2025년 해산물 시장 동향독일 연방영양센터(BZfE)의 "2025 영양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미래의 식단은 지속 가능하고 개별 맞춤형이며 건강 중심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독일수산정보센터(FIZ)는 생선과 해산물이 이러한 트렌드에 어떻게 부합하는지 분석했으며, 미래의 지속 가능한 식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5년 식품 트렌드와 생선·해산물의 연관성 1) 플렉시테리언 식단과 생선BZfE 보고서에 따르면, 82%의 응답자가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식단을 가장 큰 트렌드로 꼽았다. 이는 점점 더 많은 소비자가 육류 소비를 줄이고, 식물성 식품을 중심으로 유연하게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는 식습관을 선택하고 있음을 반영한다.생선은 필수 아미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