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204

한국 소주, 캐나다 토론토에서 K-주류 돌풍 일으키다

한국 소주, 캐나다 토론토에서 K-주류 돌풍 일으키다트렌드캐나다토론토무역관 주형태2025-05-13출처 : KOTRA 넷플릭스 등 OTT 미디어 콘텐츠와 K-주류의 시너지, 20~40대 중심 소비층 확대브랜드 스토리텔링, 현지화 전략과 제품 다양성 확보 등을 통한 시장 진출 필요캐나다의 최대 도시인 토론토 및 광역 토론토(GTA, Greater Toronto Area)는 한류의 영향력 확대와 함께 한국 식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지역이다. 특히, 소주를 중심으로 한 한국 주류(K-주류)는 최근 몇 년간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본 해외시장뉴스는 토론토를 중심으로 형성되고 있는 ▶K-주류 소비시장 특성 및 잠재력, ▶ 온타리오주 유통 및 규제 구조, ▶K-주류제품 경..

외식 문화 확산에 따른 한식 수요, 파라과이에서 만난 K-푸드

외식 문화 확산에 따른 한식 수요, 파라과이에서 만난 K-푸드트렌드파라과이아순시온무역관 서주영2025-05-13출처 : KOTRA 파라과이 내에서 증가하는 한식 트렌드젊은 층 중심으로 현지 입맛에 맞춘 메뉴 인기가족 중심의 저녁 식사를 하는 파라과이 파라과이에서는 전통적으로 하루 세 끼 중 아침과 점심보다 저녁 식사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이는 파라과이의 더운 기후, 일과 시간 패턴, 가족 모임의 형태 등과 깊은 관련이 있다. 평일에는 보통 아침을 간다하게 먹고, 점심 또한 가벼운 음식으로 해결한다. 해 질 무렵 시원한 저녁 시간이 되면 분위기가 바뀐다. 파라과이에서는 저녁을 먹을 때는 가족이나 지인들이 모이는 경우가 많으며, 보다 풍성하게 식사를 즐긴다. 오랜 시간에 걸쳐 식사를 하며, 사람들과의 대화..

싱가포르 식품 산업이 보여주는 미래: 친환경, 대체식품, 혁신 기술 중심으로

싱가포르 식품 산업이 보여주는 미래: 친환경, 대체식품, 혁신 기술 중심으로트렌드싱가포르싱가포르무역관 Tiffany Lim2025-05-13출처 : KOTRA 아세안의 푸드 허브이자 테스트 마케팅 각축지 싱가포르 활용법싱가포르의 식품 산업 혁신 트렌드: 업사이클링, 대체 식품, AI 솔루션“글로벌하고 창의적인 기업으로 남기 위해서는 친환경 경영을 유지해야 합니다. 소비자의 기대는 여전히 높으며, 국제적인 지속 가능성 규제는 점점 더 엄격해지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이러한 기준을 충족해야만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Even as we stay global and creative, we need to stay green. Consumer expectations remain, an..

일본 우설 시장 동향

일본 우설 시장 동향상품DB일본후쿠오카무역관 김성영2025-05-13출처 : KOTRA 전 세계 우설 최대 수입국 일본우설 소비량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미국산 수입량은 감소, 호주산 수입량은 증가 추세상품명 및 HS 코드 소의 혀를 뜻하는 우설(牛タン)은 일본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식재료다. HS 코드상품명020621소 설육(냉장 또는 냉동한 것) 시장동향 일본의 센다이 지역에서 시작된 우설구이는 일본 전국적으로 인기 있는 음식이다. Japan Food Guide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은 심각한 식량부족에 시달리게 됐고, 당시 일본에 주둔하게 된 미군이 남긴 우설을 일본인들이 식재료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이 우설구이의 유래라고 한다. 소 한 마리에서 나오는 우설은 1kg 내외로 ..

일본 07:41:59

비엔베니도, 콜롬비아의 비건 푸드 트렌드

비엔베니도, 콜롬비아의 비건 푸드 트렌드트렌드콜롬비아보고타무역관 김민정2025-05-13출처 : KOTRA 식물성 대체육·우유 소비 증가…건강·환경 의식이 소비 변화 주도한국산 비건 식품 수출도 증가세…입맛·가격 맞춘 전략 필요Innova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콜롬비아 내 식물성 식품과 건강 식이요법에 대한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식품 소비 경향 관련 조사에서 응답자의 18%가 지난 1년 동안 육류 대체 식품 소비가 늘었다고 답했으며, 21%는 식물성 우유 및 음료 소비가 증가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수치는 건강한 식품을 추구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식물성 제품의 입지가 넓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콜롬비아 일간지 La República에 따르면 콜롬비아 인구 5%가 비건 또는 채식주의..

건강 트렌드 변화 속 프로바이오틱스가 말레이시아에서 주목받는 이유

건강 트렌드 변화 속 프로바이오틱스가 말레이시아에서 주목받는 이유트렌드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무역관 최혜민2025-05-14출처 : KOTRA 소비자의 건강 요구가 세분화되면서 프로바이오틱스 시장도 진화맞춤형, 기능성 등 키워드들에 맞춰 시장 진출 필요말레이시아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개요 말레이시아의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장 건강 및 면역력 강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면서 관련 제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6Wresearch에 따르면, 특히 COVID-19 팬데믹 이후 소비자들이 건강 예방 솔루션에 관심을 가지면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었다. 프로바이오틱스 시장의 가장 대표적인 제품군은 요거트 및 발효유로,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 말레이시아의..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 동향

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 동향상품DB태국방콕무역관 김지현2025-05-14출처 : KOTRA 2024년 기준 태국의 총 라면 소비량은 40억 8000만 인분으로 세계 9위를 기록, 태국인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은 57개로 베트남, 한국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소비량을 기록태국의 인스턴트 면류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217억 바트(약 9254억 원)를 기록, 연평균 3.2%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9년에는 254억 바트(약 1조 835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태국 인스턴트 면류 시장은 마마(Mama), 와이와이(Wai Wai), 얌얌(Yum Yum) 등 3개 주요 브랜드가 전체 시장의 약 87%를 점유상품명 및 HS코드 HS 코드품목명1902파스타(생면 또는 조리된 것, 고기나 다른 재료로 채워..

[프랑스] 대표 미식 축제, 테이스트 오브 파리(Taste of Paris) 2025

[프랑스] 대표 미식 축제, 테이스트 오브 파리(Taste of Paris) 2025■ 테이스트 오브 파리(Taste of Paris) 지난 5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식품·외식 축제 테이스트 오브 파리(Taste of Paris)가 개최되었다. 이는 런던·밀라노·두바이·홍콩 등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열리는 테이스트 페스티벌(Taste Festivals) 중 하나로, 파리에서는 2015년 시작되어 올해로 여덟 번째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생산자, 장인들이 판매하는 식재료부터 셰프, 파티시에들이 만드는 시그니처 메뉴까지 프랑스 미식 트렌드를 빠르게 훑어볼 수 있는 기회다. 또한 금년도 행사가 개최된 그랑팔레(Grand Palais)는 1900년 만국 박람회를 기념해 지어진 파리의 명소로, 2024년..

[대만] 대만의 주류 시장 트렌드

[대만] 대만의 주류 시장 트렌드[대만] 대만의 주류 시장 트렌드 2024년 6월에 발표된 유로모니터(Euromonitor) 보고서에 따르면, 대만의 주류 판매량은 2023년 대비 약 3.4% 감소한 569백만 리터를 기록했다. 2024년부터 2028년까지의 연평균 성장률은 –1.78%로 예상되는 가운데, 2028년에는 주류 판매량은 약 519.5백만 리터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대만의 주류 시장 현황 및 트렌드 대만의 주류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인플레이션 급등, 국제 운송비 상승, 물류 및 재고 문제 등이 지적된다. 대만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주류는 증류주(Spirits)와 RTD(Ready-to-Drink) 제품이다. 증류주의 판매량은 202..

중국 2025.05.14

[인도네시아] 일부 상품 수입 규제 완화 추진

[인도네시아] 일부 상품 수입 규제 완화 추진▶ 주요내용 ‧ 인도네시아 정부는 특정 상품에 대한 수입 규제 완화 계획을 발표했지만, 미국의 관세를 피하기 위한 양자 무역 협상이 아직 타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의 주요 수출 상품이 제외된 것으로 보임 ‧ 무역부의 발표 자료에는 여러 유형의 수입 관련 조건과 할당량을 설정하는 무역부 규정 36/2023호 및 8/2024호는 무효화되고 새로운 포괄적 수입 규정으로 대체될 예정이며 그 세부 사항은 아직 공개되지 않음 ‧ 무역부는 섬유 제품 및 농산물과 같은 특정 상품 클러스터에 대한 수입 규정을 발표할 예정임 ‧ 이 자료에는 총 4,637개의 HS코드에 해당하는 해당 클러스터의 제품 수입에 대한 새로운 요건이 나열되어 있음 ‧ 새로운 수입 요건이 적용되는 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