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203

식품산업협회, 인도 뭄바이서 ‘K-푸드’ 알려

식품산업협회, 인도 뭄바이서 ‘K-푸드’ 알려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3.25 16:17산업부·KOTRA와 ‘SEOUL FOOD To-go in Mumbai’ 개최​​​​​​​라면, 초코파이 등 인기 제품부터 밀키트, 쌀국수 등 다채로운 품목 선봬한국식품산업협회(회장 이효율)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KOTRA와 인도 최대 도시인 뭄바이에서 24일부터 28일까지 ‘SEOUL FOOD To-go in Mumbai’를 개최한다.한국을 대표하는 국제식품전시회인 ‘SEOUL FOOD 2025’ 세계화의 일환으로, 인도 시장 내 한국식품의 진출 교두보 마련을 위해 계획됐다.인도는 글로벌 사우스 빅4의 중심 국가이자 2030년 세계 3위 소비 시장으로 성장이 예상돼 그 어느 때보다 시장선점의 중요성이 ..

식품뉴스 2025.03.26

“한국선 손님 없어서 걱정했는데”…해외선 입구부터 줄 선다는 이 대형마트

“한국선 손님 없어서 걱정했는데”…해외선 입구부터 줄 선다는 이 대형마트박홍주 기자(hongju@mk.co.kr)입력 2025. 3. 25. 22:54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롯데마트 간다리아점 입구국내 유통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의 문을 두드리는 것은 최악의 내수 침체 속에서 해외만이 살 길이라는 절박한 판단에 따른 것이다.“쿠팡과 네이버,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도 너무 버거운데 규제는 철옹성처럼 남아 있어 살기 위해선 해외로 나갈 수밖에 없다”는 게 유통업계의 토로다. 온라인 공습이 갈수록 거세지는 반면 세계 최강의 규제 환경은 그대로인 한국에서 벗어나 해외에서 성장동력을 찾겠다는 분위기다.이 같은 몸부림이 실제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25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가파른 성장..

식품뉴스 2025.03.26

원료값 상승·고환율로 ‘푸드플레이션’ 본격화

원료값 상승·고환율로 ‘푸드플레이션’ 본격화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3.25 07:55만두·라면·카레 등 5〜12% 줄줄이 인상가성비 제품 인기에 맞춤형 구독경제 주목정부, 업계 상황 이해 불구 “소통 통한 결정을”‘푸드 인플레이션’이 본격화되고 있다. 그동안 식품업계는 정부의 물가안정 정책에 호응하며 가격 인상을 자제했지만 원료값 폭등과 고환율 여파 등에 결국 백기를 들었다.CJ제일제당은 비비고 만두 20여 종을 비롯해 스팸 등 제품 가격을 5~9%, 동원F&B도 냉동만두 15종 가격을 평균 5% 각각 올렸다. 또 오뚜기는 컵밥, 카레, 스프 등의 가격을 평균 12.5% 인상했고, 농심도 신라면, 새우깡 등 총 56개 라면과 스낵 브랜드 중 17개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 조정했다.원료값 상..

식품전반 2025.03.26

[중국] 반조리 베이커리 시장 지속성장

[중국] 반조리 베이커리 시장 지속성장반조리 베이커리 시장 지속 성장 최근 2년간 홈코노미* 발전의 영향으로 반조리 베이커리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여 소비자와 생산 기업의 관심을 받고 있다. 아이미디어컨설팅(艾媒咨询)에서 발표한 (이하 데이터)에 따르면 젊은 층 소비자의 건강, 편의성, 품질에 대한 요구가 점점 강화하고 있다. 반조리 베이커리 기업은 소비자 니즈에 맞추어 연구 개발을 강화하고 제품 라인을 확대해 더 다양한 제품을 출시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홈코노미(homeconomy) : 홈(home)과 이코노미(economy)의 합성어로, 집안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경제활동을 이르는 용어 소비 니즈의 다변화·개성화·편리화 반조리 베이커리 제품은 편의성과 다양성으로 인해 Z세대와 밀레니얼을 중심으로 소비자..

중국 2025.03.25

[2025 건기식 트렌드] ‘혈당 관리·저속 노화’ 주도 하에 멀티·전문성·다양화 양상 뚜렷

[2025 건기식 트렌드] ‘혈당 관리·저속 노화’ 주도 하에 멀티·전문성·다양화 양상 뚜렷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3.24 07:522030 건강 관리, 면역력 줄고 피로 회복·간 건강·숙면 관심 증가복합 소재 이중제형 건기식 구매 경험 작년 54%로 급증일정한 장기적 효과 원해…제형·기능, 전문·세분화 추세칸타 김지원 상무 ‘2024 건기식 시장 결산 및 2025 시장 전망’ 발표‘혈당 관리’ ‘저속노화’가 2030세대를 중심으로 트렌드가 큰 주목을 받으며 건강기능시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급부상하는 가운데 앞으로 건강기능식품 트렌드는 ‘멀티·복합’ ‘대중성·확장’ ‘전문성·다양화’ 양상이 더욱 보편화될 전망이다. ‘구매 니즈’와 ‘소비력 위축’에 대한 소비 양상이 함께 하며 성장 정체기에 진입했지..

제품분석,동향 2025.03.25

[2025 건기식 트렌드] 건강기능식품, 이제 모두의 시장…맞춤형 웰니스 지향 확산

[2025 건기식 트렌드] 건강기능식품, 이제 모두의 시장…맞춤형 웰니스 지향 확산 황서영 기자 승인 2025.03.24 07:54국내 시장 성장세 주춤…레드 오션서 가성비 니즈 증가품질서 가격까지 라이프스타일 맞춰 제품 차별화 필요비만 관련 시장 활성화…멘탈 케어·수면 돕는 제품 부상2025 건강기능식품 트렌드 세미나서 이정민 트랜드랩506 대표 발표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도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과거에는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건강기능식품이 최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全) 연령층을 아우르는 필수 소비재로 자리잡으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다. 특히 젊은 소비자들은 자신만의 건강 관리법을 추구하며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을 개인적인 목..

제품분석,동향 2025.03.25

[식품업계 주총] 불확실한 미래 속 ‘경영 안정’ 사활

[식품업계 주총] 불확실한 미래 속 ‘경영 안정’ 사활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3.24 07:56정황근 전 장관 등 사외이사 선임 사업 범위 확대농심 스마트팜-동원 F&B 애완동물용품 등 신사업오뚜기, 영문 표기 단순화 해외 소비자 인지도 개선 올해 식품업계가 불확실한 미래 속 내실 다지기에 집중한다는 경영전략을 전면에 내세웠다. 국제 정세 변화 및 이상기후 여파로 원료 수급이 차질을 빚고 있고, 고환율·고물가 속에 내수 부진이 좀처럼 터널을 빠져나올 기미가 안보이자 변화보다는 안정에 무게를 둔 전략이다. 특히 현재의 위기를 타개할 경영진을 앞세워 침체에 빠진 내수시장에서의 돌파구를 찾겠다는 계획인데,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보다 집중할 방침이다. 식품업계의 이러한 움직임은 이달 예정된 주주..

식품뉴스 2025.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