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캐나다등 1587

[브라질] 2025년 제과류 트렌드

[브라질] 2025년 제과류 트렌드 최근 몇 년간 브라질의 제과류 시장은 소비자들의 건강과 만족의 욕구를 충족하는 쪽으로 변해 왔다. 브라질은 남미 제과류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소비자들의 정서적 만족과 건강을 동시에 고려한 기능성 간식으로의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브라질의 제과류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 중이다. 통계전문기관 Statista는 2025년 브라질 제과류(초콜릿, 아이스크림, 설탕 제과류, 페스츄리, 케이크) 시장의 수입을 약 712억 헤알 (US$123억6천) 로 예측했고, 이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혁신적이고 고급화된 상품들과 초콜릿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증가했다. 또한 Statista는 2029년 브라질 제과류 총 소비량이 2024년대비 1억 kg가량 증..

[미국] GLP-1 약물 사용으로 식료품 지출 6% 감소

[미국] GLP-1 약물 사용으로 식료품 지출 6% 감소 오젬픽(Ozempic), 위고비(Wegovy)와 같은 GLP-1 계열 약물을 복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일부 식품 및 음료 품목의 판매가 위축되고 있다.코넬대학교와 리서치 기관 뉴머레이터 (Numerator)의 연구에 따르면, 가정에 GLP-1 약물 사용자가 한 명이라도 있는 경우 약 복용 후 6개월 이내에 식료품 지출이 평균 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구당 연간 약 416달러의 식료품 구매 감소로 이어진다. 특히 연 소득 12만 5천 달러 이상 고소득 가구에서는 지출이 9% 가까이 줄어 연간 690달러의 감소폭을 보였다.연구에 따르면 감자칩, 제과류, 사이드 메뉴, 쿠키와 같은 고칼로리 가공식품에 대한 지출이 평균 6.7%에서 11...

[브라질] 오렌지시장 동향 및 오렌지 소비 행태

[브라질] 오렌지시장 동향 및 오렌지 소비 행태[지구촌 리포트] ▶ 시장 규모- 브라질 과일 시장 내에서 오렌지를 포함한 감귤류는 바나나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총 과일 유통량인 23,198천 톤 중 감귤류는 4,607천 톤으로, 이는 약 20%에 해당한다. 유로모니터의 예측 데이터에 따르면, 감귤류는 앞으로도 점유율 20%대를 유지하며 브라질의 주요 과일 중 하나일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브라질은 남미 국가들 중에서 감귤류 유통 규모가 가장 크다.▶ 오렌지 생산량- 브라질은 전 세계에서 오렌지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국가이다. 2023/24 시즌에 브라질은 전 세계 오렌지 생산량인 약 45,886천 톤 중에서 12,300천 톤을 생산했으며, 이는 약 27%에..

[미국] 회계감사원에서 FDA 검사율 문제 발견

[미국] 회계감사원에서 FDA 검사율 문제 발견미국회계감사원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GAO)의 보고서에 따르면 FDA는 식품 시설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로 인력 부족을 꼽았다.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GAO)에 따르면 FDA는 2018년 이후 국내외 식품 시설에 대한 검사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FDA는 국내 및 수입 식품을 포함하여 미국 식품 공급의 80%를 책임지고 있으며 2018 회계연도부터 2023년 회계연도까지 국내외 식품 시설에 대해 수천 건의 정기적인 식품 안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GAO의 FDA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FDA는 연평균 8,353건의 국내 검사와 연평균 917건의 해외 검사를 ..

[미국] 베이커리/스낵산업 기술 및 지속가능성 트렌드 Top 10

[미국] 베이커리/스낵산업 기술 및 지속가능성 트렌드 Top 10베이커리 및 스낵 산업에서 지속 가능성, 개인화 및 최첨단 기술은 2025년 성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업체들은 친환경적이고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가치를 충족하는 한편, 전통, 혁신, 투명성을 조화롭게 결합함으로써 현대 소비자들에게 깊이 공감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2025년 베이커리 및 스낵 산업의 성공은 지속 가능한 관행과 기술 발전의 균형을 맞추는데 달려 있다. 친환경 전략을 채택하고, AI 기반 솔루션을 활용하고, 몰입형 다감각 경험을 구현함으로써 생산업체는 빠르게 진화하는 시장에서 앞서 나가는 동시에 더욱 안목 있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다. 업계를 변화시키는 Top 10 기술 및 지속 ..

[미국] FDA 전면 영양 표시 및 저나트륨 기준 개정 제안 법안 발표

[미국] FDA 전면 영양 표시 및 저나트륨 기준 개정 제안 법안 발표O FDA는 영양성분표 (Nutrition Facts)를 표기해야 하는 대부분의 식품에 대하여 전면 포장 (front-of-package, FOP) 영양 성분 표시를 요구하는 제안 법안을 2025년 1월 16일 연방 공보에 게재하였다. 제안된 법안에 따라서 식품 포장 전면에 기재해야 하는 ‘FOP 영양 정보 박스 (FOP Nutrition Info box)’는 기존의 영양성분표를 보완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소비자가 제한해야 할 세 가지 주요 영양소 (포화지방, 나트륨, 첨가당)에 대한 해석적 정보를 식품 전면에 제공하여 소비자가 이러한 중요한 영양소 수준을 식품 간 비교하고 빠르고 쉽게 건강한 식단의 일부가 될 수 있는 식품을 식별하도록..

[브라질] 2024 브라질 푸드서비스 분야의 성장과 향후 트렌드

[브라질] 2024 브라질 푸드서비스 분야의 성장과 향후 트렌드 브라질 외식업협회(IFB, Institute of Foodservice Brazil)는 2024년 브라질의 푸드서비스 시장의 명목성장률이 6.8%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IPCA(국가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정상률은 4.5%로 집계됐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의 푸드서비스 총 거래 횟수는 약 239억 회로,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과거 거래 횟수를 살펴보면 2017년 237억 회, 2018년 238억 회, 2019년 243억 회로 집계된 바 있다. 이는 브라질 외식업 시장이 점차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푸드서비스 거래 가격은 5,152억 헤알(한화 약 129조원)로 최근 10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브라질의 외식..

[미국] 2025년 미국 베이커리/스낵업계의 성공 키워드

[미국] 2025년 미국 베이커리/스낵업계의 성공 키워드[지구촌 리포트]  ▶ 미국 베이커리/스낵업계의 주요 트렌드  ⦁ 미국 베이커리 및 스낵 업계는 소비자들의 독특한 맛, 수준 높은 경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편안함에 대한 갈망에 힘입어 대담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올해 주목받는 베이커리/스낵 업계의 최신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 고급화된 편안한 음식(Comfort Food) ⦁ 브라우니, 쿠키, 케이크와 같은 친숙한 간식이 프리미엄 식재료를 통해 재탄생하여 고객들에게 향수와 세련미를 동시에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조사기관 케리(Kerry)의 2025년 맛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전통 요리의 창의적 재해석이 주목받고 있다. 샤프란, 트러플, 마다가스카르 바닐라와 같은 프리미엄 식재..

[미국] 초콜렛 소비의 다음 트렌드는?

[미국] 초콜렛 소비의 다음 트렌드는?소비자는 초콜릿을 미식과 즐거움의 상징으로 선택한다. 전 세계적으로 초콜릿은 여전히 가장 많이 선택되는 제과 제품 중 하나이다. 시장 조사 기관인 이노바 마켓 인사이트 (Innova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성인의 65%가 지난 1년간 초콜릿을 구매했으며 1/3은 매주 초콜릿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제과협회의 ‘2024 초콜릿 소비자 알아보기’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4분의 3 (72%)이 초콜릿이 행복하고 균형 잡힌 라이프스타일의 일부라고 답했다. 이노바 마켓 인사이트의 ‘2024 글로벌 초콜릿 제과의 현재와 미래 조사’에 따르면 초콜릿 소비는 전반적으로 매년 꾸준히 유지되고 있으며 응답자의 18%는 지난 1년 간 초콜릿 구매 빈도가 ..

[미국] 초가공(ultra-processed) 재료 없는 식품 강조하는 라벨 도입

[미국] 초가공(ultra-processed) 재료 없는 식품 강조하는 라벨 도입Non-GMO Project가 초가공(ultra-processed)성분이 없는 식품에 대한 라벨인 ‘Non-UPF Verified’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비영리 단체인 ‘Non-GMO Project’는 보도자료를 통해 소비자의 85%가 초가공 식품을 피하고 싶어한다는 연구자료를 인용해 건강한 선택을 하려는 사람들이게 초가공 식품을 피하는 것이 현재는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National Institute of Health(NIH)는 지난 2019년 초가공 식품을 수익성, 편의성 및 유통기한을 높이기 위해 재료의 영양성분을 변경하는 식품으로 정의했다.  지난 5년 동안 소비자들이 점점 더 건강한 음식과 음료를 구매하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