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 196

[중국] 냉동 베이커리 제품 산업은 고속성장중

[중국] 냉동 베이커리 제품 산업은 고속성장중  중국 베이커리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베이커리 제품의 맛, 안전성, 영양 및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제품도 사전 포장 제품에서 현장에서 굽는 제품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굽는 제품의 주요 공급업체인 제과점은 전면엔 매장 및 후면엔 공장이 배치된 모델로 인해 비용, 품질, 맛, 안전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어서, 이는 냉동 베이커리 제품의 발전에 기회를 제공한다.   콜드체인 기술 향상과 기업의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 등의 요인으로 인해 냉동 베이커리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했으며,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냉동 베이커리 제품 시장 규모는 452억 7천만 달러로 연간 4.2..

중국 2025.02.07

[중국] 설 명절 기간 전자상거래 소비 열풍

[중국] 설 명절 기간 전자상거래 소비 열풍[중국] 설 명절 기간 전자상거래 소비 열풍  온라인 소비시장의 발전과 전자상거래 소비 페스티벌 등 할인 행사에 따라 올해 설 명절 기간 동안 온라인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아이미디어리서치(艾媒咨询)에서 최근 발표한 (中国消费者春节黏糊哦消费行为调查报告)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가 명절을 준비하며 관련 용품·식품 등을 구매할 때 73.2%의 소비자는 타오바오, 텐마오 등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보고)에 따르면 온라인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명절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소비하는 것은 일상화되고 있다. 각 브랜드에서도 소비 페스티벌 기간에 맞추어 할인 정책을 펼치는 등 마케팅을 통해 매출..

중국 2025.02.07

겨울 디저트로 제로 슈거·비건 빙과 안방 공략

겨울 디저트로 제로 슈거·비건 빙과 안방 공략 황서영 기자 승인 2025.02.07 08:50지난달 한파 시기 편의점 매출 두 자릿수 급증빙그레 ‘저당 딸기요거트바’ 1주일 만에 완판세븐일레븐·GS25 저당 아이스크림도 인기 최근 건강 관리나 비건 등 디저트 시장 트렌드도 다양해지면서 빙과업계에서 제로슈거나 비건 제품 등 다변화된 소비자 수요를 겨냥한 신제품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작년 여름 성수기 빙과업계는 당과 더불어 칼로리까지 제로인 신제품들을 출시하면서 성과를 빛냈다. 이 인기는 겨울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한파의 영향으로 집에서 디저트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계절 구분이 무색해지기도 했고, 더욱이 제로 칼로리, 저당을 표방한 제품들은 죄책감도 줄어들어 실내에서 간편히 즐기기 좋기 때문이라는 업..

제품분석,동향 2025.02.07

[미국] FDA 전면 영양 표시 및 저나트륨 기준 개정 제안 법안 발표

[미국] FDA 전면 영양 표시 및 저나트륨 기준 개정 제안 법안 발표O FDA는 영양성분표 (Nutrition Facts)를 표기해야 하는 대부분의 식품에 대하여 전면 포장 (front-of-package, FOP) 영양 성분 표시를 요구하는 제안 법안을 2025년 1월 16일 연방 공보에 게재하였다. 제안된 법안에 따라서 식품 포장 전면에 기재해야 하는 ‘FOP 영양 정보 박스 (FOP Nutrition Info box)’는 기존의 영양성분표를 보완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소비자가 제한해야 할 세 가지 주요 영양소 (포화지방, 나트륨, 첨가당)에 대한 해석적 정보를 식품 전면에 제공하여 소비자가 이러한 중요한 영양소 수준을 식품 간 비교하고 빠르고 쉽게 건강한 식단의 일부가 될 수 있는 식품을 식별하도록..

[홍콩] 홍콩의 혼합음료 제품 시장 분석

[홍콩] 홍콩의 혼합음료 제품 시장 분석■ 2024년 혼합 음료 제품 판매량 약 3.4억 리터 달성, 제품군 중 건강기능 음료가 가장 인기 홍콩은 비교적 긴 여름과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적절한 수분 섭취를 정부에서 강조하는 만큼 빠르고 소비자들은 간편한 수분 섭취가 가능한 제품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종식 이후 홍콩 방문객 수가 증가함에 따라 야외 관광 시 적정한 수분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음료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24년 11월에 발표된 유로모니터 보고에 따르면 2024년도 홍콩의 혼합음료 제품 판매량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3억 4,100만 리터로 추정되며 이 중 가장 성장세가 높은 제품군은 기능성 음료로써 2023년 대비 판매량이 4% 증가한 10..

중국 2025.02.06

[민텔 글로벌 마켓트렌드] 친환경 혁신, 식음료 포장의 미래

[민텔 글로벌 마켓트렌드] 친환경 혁신, 식음료 포장의 미래 민텔코리아 승인 2025.02.06 07:57각국 ‘순환 경제’로 전환…일회용 금지하고 재활용 포장재 유도유통기한 연장하면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패키징 과제해초용기·감자전분 병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 대안 부상포장 혁신 투자 늘리고 신선도·건강 가치 등 정보 전달을최근 몇 년 동안 플라스틱 쓰레기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면서 여러 산업에서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압박이 커지고 있다. 특히 많은 사람이 식음료 포장에 대해 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소비자 수요에 부응하고 정부의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식음료 포장재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을 제공하는 것이 혁신의 핵심이 될 것이다. 이번 호에서는 지속가능성에 ..

제품분석,동향 2025.02.06

맥주의 성지 벨기에에서 무알코올이 인기?

맥주의 성지 벨기에에서 무알코올이 인기?트렌드벨기에브뤼셀무역관 유지원2025-02-05출처 : KOTRA '21년부터 벨기에 내 무알코올 맥주의 인기 급증맛과 건강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벨기에 맥주 제조사웰니스, 벨기에인들의 문화의 일부가 되다벨기에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키워드 중 하나는 ‘맥주’일 것이다. 맥주를 양조하고 음미하는 것은 벨기에 내 여러 공동체가 행하는 살아 있는 유산이며, 벨기에에서 맥주는 축제나 행사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일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맥주 강국 벨기에에서 '21년부터 무알코올 맥주의 인기가 급증하기 시작했는데, 무알코올 트렌드가 생긴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벨기에 내 무알코올 맥주 판매 추이 '24.6월 기준 Statista 조사에 따르면, 벨기에 내..

[브라질] 2024 브라질 푸드서비스 분야의 성장과 향후 트렌드

[브라질] 2024 브라질 푸드서비스 분야의 성장과 향후 트렌드 브라질 외식업협회(IFB, Institute of Foodservice Brazil)는 2024년 브라질의 푸드서비스 시장의 명목성장률이 6.8%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IPCA(국가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정상률은 4.5%로 집계됐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의 푸드서비스 총 거래 횟수는 약 239억 회로,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과거 거래 횟수를 살펴보면 2017년 237억 회, 2018년 238억 회, 2019년 243억 회로 집계된 바 있다. 이는 브라질 외식업 시장이 점차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푸드서비스 거래 가격은 5,152억 헤알(한화 약 129조원)로 최근 10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브라질의 외식..

[일본] 2025년 일본 식품 트렌드 예상

[일본] 2025년 일본 식품 트렌드 예상 일본경제신문사에서 유통업체 식품 담당 바이어 184명을 대상으로 2025년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품목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냉동식품 상품 개발에 기대 조사는 식품 36개 품목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시장 확대의 기대가 큰 품목 1위는 4년 연속으로 냉동식품이 선정되었다. 바이어들은 ‘새로운 소비층 구축에 여지가 있다’ ‘부가가치 있는 상품 개발에 기대가 된다’ 등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2위~4위는 작년도 조사 결과와 같이 2위 반찬・도시락, 3위 무알콜 음료, 4위 전자레인지 조리 / 레토르트 식품이 선정되었다.▶계속되는 “간편성”의 중요성  소비자의 시간 단축 니즈는 2024년에 이어 중요시되는 것으로 보이며, “간편성”이 높은 품목이..

일본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