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5 17

[러시아] 러 당국의 비우호국 수입품 대상 관세인상 조치

[러시아] 러 당국의 비우호국 수입품 대상 관세인상 조치[지구촌 리포트]○ 러시아 당국의 비우호국 수입품 대상 관세인상 배경 러시아 당국은 러-우 사태 이후 ‘러시아 연방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조치(대러시아 제재)를 취한 국가(비우호국)’로부터의 수입품에 일시적으로 인상된 관세율을 적용하는 정책을 시행해오고 있다. 현재 당국이 규정한 비우호국 목록에는 우리나라와 미국, 유럽연합 회원국 그리고 일본을 비롯한 총 49개국이 포함되고 있다. 러시아 당국은 대러시아 제재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2022년 12월 7일자 러시아 연방 정부령 제2240호를 채택, 우리나라를 포함한 비우호국 제품에 최대 35%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최초로 마련했다. 이후 ‘2023년 7월 20일’, ‘동년 12월 2..

러시아 2025.02.15

[독일] 독일 냉동식품 시장동향

[독일] 독일 냉동식품 시장동향[지구촌 리포트]▶ 독일 냉동식품 시장 개요냉동식품은 편리함, 다양성, 긴 유통기한 등의 장점으로 유럽 가정에서 필수 소비재로 자리 잡았다. 최근 몇 년 동안 건강한 식단, 시간 절약, 지속가능성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하면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식품 소매 및 유통 산업 저널인 International Supermarket News에 따르면, 2024년 유럽 냉동식품 시장 규모는 약 750억 유로로, 향후 5년간 연평균 4~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Statista 분석에 따르면, 유럽 소비자들은 간편하고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냉동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며, 특히 풀타임 근무자가 많은 국가에서는 주중에 냉동식품을 적극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

[태국] 태국 주류 시장: 성장하는 산업과 변화하는 트렌드

[태국] 태국 주류 시장: 성장하는 산업과 변화하는 트렌드[사진: Bangkokbiznews] ▢ 주요 내용 1. 태국 주류시장 현황(산업 성장과 트렌드) ㅇ 태국 주류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2024년 기준 시장 가치는 약 3천억 바트에 달한다. 비록 정부의 금주 캠페인이 지속되고 있지만, 가정 내·외에서의 소비 증가로 인해 전체적인 시장 규모는 확대되고 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태국 내 가구 단위 구매자는 820만 가구에 이르며, 특히 젊은 소비자층이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ㅇ 맥주는 여전히 태국 주류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시장 점유율 70%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RTD(Ready-To-Drink) 주류의 급성장은 소비자의 편리성과 다양한 맛을 선호하는 트렌드..

[대만] 대만 타이난시, 수입산 버섯에서 카드뮴 기준치 2.5배 초과 발견

[대만] 대만 타이난시, 수입산 버섯에서 카드뮴 기준치 2.5배 초과 발견■  대 만 타이난시, 수입산 버섯에서 카드뮴 기준치 2.5배 초과 발견  ■                                             타이난시 정부 위생국은 식품의약국과 협력하여 타이난시 내 유통되고 있는 14개의 식품을 대상으로 중금속 함량 검사를 무작위로 실시한 결과, 브라질산 버섯 제품에서 중금속 카드뮴 함량이 기준치를 2.5배 초과한 것을 발견하였다. 타이난시 정부 위생국은 식약처와 협력하여 타이난 시내 전통 시장, 슈퍼마켓, 대형마트, 약국, 식당 등 상점을 방문하여 계란, 수산물, 채소와 과일, 유제품, 육류 제품, 영유아 식품 등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중 브라질산 버섯제품에서 중금속..

중국 2025.02.15

[두바이]중동 및 아프리카 2024년 수출 동향 파악

[두바이]중동 및 아프리카 2024년 수출 동향 파악[지구촌 리포트]▷ 2024년 중동·아프리카 한국 식품 수출 증가... K-Food 확산 가속화2024년 한국 식품의 수출이 중동 GCC 국가(UAE, 사우디, 카타르,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를 비롯해 아프리카 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라면, 과자류, 쌀 가공식품, 음료 등 기존 강세 품목뿐만 아니라 신선과일, 김, 인삼 등 다양한 품목군으로 확장되는 추세다. 이러한 수출 증가의 주요 원인은 K-컬처 확산과 할랄 인증 확대, 건강식품 트렌드 강화, 온라인 유통망 확장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2024년 중동 시장 수출 증가세..GCC 6개국 중심 성장 1. 2024년 한국식품 중동(GCC 지역) 수출 동향2024..

[홍콩] 2025년 홍콩 식품 트렌드 전망

[홍콩] 2025년 홍콩 식품 트렌드 전망[지구촌 리포트]▶ 홍콩의 식품 시장 현황  국제 리서치 기관인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홍콩의 식품 매출액은  USD 4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3년 USD 45억 달러 보다 약 0.7% 증가한 수치이다. 2025년 식품시장 규모는 USD 5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식품 시장 규모는 연평균 1.66%의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식품 트렌드 1. 건강 관련 식품  홍콩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비건 정보 플랫폼인 Taste of Veg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2023년에 비해서 홍콩의 채식주의자 및 비건 인구가 14%..

중국 2025.02.15

[일본] 두바이 초콜릿 열풍 : 글로벌 시장에서의 새로운 디저트 트랜드

[일본] 두바이 초콜릿 열풍 : 글로벌 시장에서의 새로운 디저트 트랜드2025년, "두바이 초콜릿"이 새로운 유행으로 부상하여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이 초콜릿의 특징은 바삭한 식감과 진한 피스타치오 맛으로, 다양한 디저트들이 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가운데, 올해의 본격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 두바이 초콜릿의 시작 두바이 초콜릿은 두바이에 거주하는 영국계 이집트인, 사라 하무다(Sara Hamouda)가 부업으로 시작한 "FIX 초콜릿"에서 비롯되었다.FIX 초콜릿은 바삭한 퀴나페(밀가루로 만든 세밀한 면 상태의 반죽)에 피스타치오와 타히니(생깨를 갈아 만든 페이스트)를 조합한 초콜릿 브랜드로, 모든 제품은 수공예로 제작되어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다.이 초콜릿은 2023년 12월, 음식 ..

일본 2025.02.15

[일본] 인스턴트 라면, 국물 없는 제품 호조

[일본] 인스턴트 라면, 국물 없는 제품 호조 코로나19 이후 코스파와 타이파가 소비 트렌드다. 즉, 일본 소비자들이 가성비(코스트 퍼포먼스)와 투자 시간 대비 효율적인 결과가 나오는지(타임 퍼포먼스)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일본 즉석면 공업협회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24년 1~12월 봉지라면·컵라면 수요는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원래 가성비가 좋은 것이 장점인 인스턴트 라면인데 최근 물가 상승 영향으로 소비자의 절약 지향 성향이 강해져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봉지라면, 컵라면을 포함한 인스턴트 라면 전체로도 2024년 수요는 59억 115만 개로 집계 이래 역대 3위를 기록하며 높은 수치를 보였다.■ 가성비 좋은 봉지라면 2024년 수요 중, 컵라면은 38억 7,487만 개..

일본 2025.02.15

[중국]2025년 중국 오프라인 소매업계 현황 및 전망

[중국]2025년 중국 오프라인 소매업계 현황 및 전망[지구촌 리포트] 중국의 소매업계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의 시각차이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낙관론자는 명창유품(名创优品)의 창시자인 엽곡부(叶国富)가 대표적이다. 오프라인 매장의 라이징스타로 떠오른 팡둥라이(胖东来) 매장을 눈여겨보면 엽CEO는 작년 63억 위안(한화 약 1조 2,600억 원)을 투자하여 오프라인 유통매장 융후이를 인수하였으며, 팡둥라이와 같은 유통매장으로 업그레이드 하겠다고 선포했다. 일부는 오프라인 유통매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의 리스크가 크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엽CEO는 소매업계에 대한 낙관적인 판단으로 유통매장 인수를 결정하였다.   이에 반해 비관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알리바바 산하의 오프라인 유..

중국 2025.02.15

[말레이시아] 한국 아이스크림 소비 저변 확대

[말레이시아] 한국 아이스크림 소비 저변 확대 ❍ 지난 1월 16일 교촌치킨 말레이시아는 현지 한국 빙그레 아이스크림 수입업체인 프레이저 앤 니브(F&N)와 MOU를 체결했다고 발표  - 교촌치킨은 1.18~19일 동안 1,000명 고객 한정으로 일부 매장에서 빙그레 아이스크림을 하루 99센트에 제공하는 기간 한정 특가     이벤트를 진행  - 교촌치킨 말레이시아는 빙그레 아이스크림 붕어 싸만코와 메로나를 신규 메뉴로 추가함과 더불어 메로나를 포함한 치킨 콤보 메뉴를     새롭게 출시  ❍ 현지 수입사에 따르면 빙그레 아이스크림이 현지 한식당 프랜차이즈에서 판매되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   - 현지 관계자는 빙그레 메로나 및 붕어싸만코는 할랄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무슬림 소비자들 사이 식후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