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6 10

맥주의 성지 벨기에에서 무알코올이 인기?

맥주의 성지 벨기에에서 무알코올이 인기?트렌드벨기에브뤼셀무역관 유지원2025-02-05출처 : KOTRA '21년부터 벨기에 내 무알코올 맥주의 인기 급증맛과 건강 두 마리 토끼를 잡은 벨기에 맥주 제조사웰니스, 벨기에인들의 문화의 일부가 되다벨기에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키워드 중 하나는 ‘맥주’일 것이다. 맥주를 양조하고 음미하는 것은 벨기에 내 여러 공동체가 행하는 살아 있는 유산이며, 벨기에에서 맥주는 축제나 행사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의 일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맥주 강국 벨기에에서 '21년부터 무알코올 맥주의 인기가 급증하기 시작했는데, 무알코올 트렌드가 생긴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벨기에 내 무알코올 맥주 판매 추이 '24.6월 기준 Statista 조사에 따르면, 벨기에 내..

[브라질] 2024 브라질 푸드서비스 분야의 성장과 향후 트렌드

[브라질] 2024 브라질 푸드서비스 분야의 성장과 향후 트렌드 브라질 외식업협회(IFB, Institute of Foodservice Brazil)는 2024년 브라질의 푸드서비스 시장의 명목성장률이 6.8%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IPCA(국가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한 실질정상률은 4.5%로 집계됐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의 푸드서비스 총 거래 횟수는 약 239억 회로, 팬데믹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과거 거래 횟수를 살펴보면 2017년 237억 회, 2018년 238억 회, 2019년 243억 회로 집계된 바 있다. 이는 브라질 외식업 시장이 점차 회복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푸드서비스 거래 가격은 5,152억 헤알(한화 약 129조원)로 최근 10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브라질의 외식..

[일본] 2025년 일본 식품 트렌드 예상

[일본] 2025년 일본 식품 트렌드 예상 일본경제신문사에서 유통업체 식품 담당 바이어 184명을 대상으로 2025년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품목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냉동식품 상품 개발에 기대 조사는 식품 36개 품목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그 결과 시장 확대의 기대가 큰 품목 1위는 4년 연속으로 냉동식품이 선정되었다. 바이어들은 ‘새로운 소비층 구축에 여지가 있다’ ‘부가가치 있는 상품 개발에 기대가 된다’ 등 긍정적인 의견이 많았다고 한다. 2위~4위는 작년도 조사 결과와 같이 2위 반찬・도시락, 3위 무알콜 음료, 4위 전자레인지 조리 / 레토르트 식품이 선정되었다.▶계속되는 “간편성”의 중요성  소비자의 시간 단축 니즈는 2024년에 이어 중요시되는 것으로 보이며, “간편성”이 높은 품목이..

일본 07:31:09

[UAE] 2025년, 현지 쉐프들이 선정한 UAE 유망 식재료

[UAE] 2025년, 현지 쉐프들이 선정한 UAE 유망 식재료■ 주요내용▷2025년 음식 트렌드 : 블랙라임, 버섯, 아슈와간다 그리고 김치최근 UAE의 레스토랑 트렌드는 전통과 새로움이 결합한 독특한 음식 트렌드를 선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UAE의 두바이는 전 세계 사람들이 모여 사는 대표적인 국제도시로, 다양한 국가의 레스토랑들이 들어서 있다. 중동 및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미주 등에서 온 외국인 쉐프들은 새로운 식재료를 가지고 각국의 특색에 맞는 요리를 선보이며 다양한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재료들을 활용해 독창적인 요리를 만들어 내고 있다. 2025년에는 특히 건강과 지속 가능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이전에 덜 주목받았던 몇 가지 재료들이 중심 무대에 오르고 있다. The National 현지 ..

[미국] 2025년 미국 베이커리/스낵업계의 성공 키워드

[미국] 2025년 미국 베이커리/스낵업계의 성공 키워드[지구촌 리포트]  ▶ 미국 베이커리/스낵업계의 주요 트렌드  ⦁ 미국 베이커리 및 스낵 업계는 소비자들의 독특한 맛, 수준 높은 경험,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편안함에 대한 갈망에 힘입어 대담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올해 주목받는 베이커리/스낵 업계의 최신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 고급화된 편안한 음식(Comfort Food) ⦁ 브라우니, 쿠키, 케이크와 같은 친숙한 간식이 프리미엄 식재료를 통해 재탄생하여 고객들에게 향수와 세련미를 동시에 선사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조사기관 케리(Kerry)의 2025년 맛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전통 요리의 창의적 재해석이 주목받고 있다. 샤프란, 트러플, 마다가스카르 바닐라와 같은 프리미엄 식재..

[유럽] EU 법원, 식물성 대체육 ‘버거·소시지’ 용어 사용 허용 판결

[유럽] EU 법원, 식물성 대체육 ‘버거·소시지’ 용어 사용 허용 판결[유럽] EU 법원, 식물성 대체육 ‘버거·소시지’ 용어 사용 허용 판결EU 법원, 식물성 대체육의 육류 관련 용어 사용 허용유럽 사법 재판소(European Court of Justice, ECJ)가 2024년 10월 5일 판결을 통해 식물성 대체육 제품이 ‘버거’, ‘스테이크’, ‘소시지’ 등 육류 관련 용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고 결정했다. 다만, 제품의 성분이 명확히 표시되고 소비자가 혼동할 여지가 없어야 한다는 조건이 따른다.법원은 "소비자가 제품의 성분을 정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명확한 라벨링이 이루어진다면, 전통적인 육류 용어 사용을 금지할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EU 회원국들은 단순히 식물성이라는 이유만..

[유럽] 식물성 식품 시장 동향

[유럽] 식물성 식품 시장 동향■ 주요 내용  ◎ 유럽 대형 유통마켓 식물성 식품 전망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민텔에 따르면, 유럽 대형 유통체인인 Lidl은 유럽 전역의 지점에서 식물성 제품의 점유율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식물성 식품/음료' 품목은 이제는 제법 대중화가 이루어진 분야로, 시장 가치와 보급률 모두 가장 높은 품목이라 분석되고 있다. 이렇듯 유럽 대형 유통 체인들은 더 많은 소비자들이 더욱 건강하고 친환경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독일지역 Lidl은 2030년까지 자체 상표 식품에서 통곡물 비율을 20%로 높일 계획이며, 모든 식품 범주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곡물 대체 식품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Lidl은 콩, 견과류, 씨앗과 같은 식물성 단백질 옵션과 ..

‘옥수수잎 추출물’ 구강 건강 개선에 효과 있다

‘옥수수잎 추출물’ 구강 건강 개선에 효과 있다 이재현 승인 2025.02.05 11:40농진청, 연구결과 치주균 성장 억제·치조골 형성 촉진 확인옥수수잎 추출물이 구강 내 치주균 성장 억제·치조골 형성 촉진 등 구강 건강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농촌진흥청 연구진은 옥수수잎 추출물을 세균에 처리했을 때 치은염을 일으키는 세균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와 소브리너스(Streptococcus sobrinus) 성장이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각각 1.5, 1.6배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잇몸병 원인 세균인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도 1.3배 억제했다.또 염증성 물질인 IL-6와 TNF-α..

식품뉴스 07:19:15

‘K-프랜차이즈’ 글로벌 요충지로 ‘말레이시아’ 꼽아

‘K-프랜차이즈’ 글로벌 요충지로 ‘말레이시아’ 꼽아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2.05 07:52아세안 경제 대국 연간 4~5% 성장에 커피 등 외식 사업 유망SPC 파리바게뜨·쉐이크쉑 영업…제빵 공장도뚜레쥬르 상반기 1호 개점…프리미엄으로 승부BBQ 치킨 할랄 인증 명성…사이드메뉴 제공bhc치킨 7개 매장 운영…2년 새 빠른 확장‘K-프랜차이즈’가 전 세계 주목을 받으며 빠르게 성장 중인 가운데 프랜차이즈업계가 해외 주력 공략 지역으로 ‘말레이시아’를 꼽아 주목을 끌고 있다.아세안(ASEAN)의 상징적인 경제 대국이자 대표적인 할랄시장으로, ‘K-프랜차이즈’가 꽃 피울 수 있는 동남아시아 시장의 전략적 요충지이기 때문이다.실제 말레이시아는 전 세계적인 불황에도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KOTRA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