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203

[뉴질랜드] 식품 안전, 생산기록 미관리 문제, 리콜사례 등 유의 사항

[뉴질랜드] 식품 안전, 생산기록 미관리 문제, 리콜사례 등 유의 사항  ㅁ 주요내용  ㅇ 과일 초파리 발생   - 오클랜드 노스쇼어 지역에서 동양과실파리(Oriental fruit fly)가 발견됨에 따라 과일과 채소의 이동을 제한하는 법적 통제가 시행되고 있음   - 노스쇼어 버크데일(Birkdale) 지역에 설치된 덫에서 수컷 동양과실파리 한 마리가 발견되었음   - 올해 들어 오클랜드에서 해당 해충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두 번째임. 첫 번째 사례는 파파토에토에(Papatoetoe) 지역에서 보고된 바 있음   - 뉴질랜드 생물보안국(Biosecurity New Zealand)의 마이크 잉글리스 커미셔너는 현재 해당 지역의 다른 덫에서는 추가적인 파리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음. 현재까지 번식..

[홍콩] 홍콩의 차(茶)시장 트렌드 분석 및 향후 전망

[홍콩] 홍콩의 차(茶)시장 트렌드 분석 및 향후 전망■ 치열한 경쟁 속 차별화된 맛과 제품 개발로 소비자 수요 확보홍콩의 차 시장은 오랜 역사를 지닌 성숙된 시장으로 홍콩 소비시장 공략을 위해 업계의 치열한 제품 개발과 프리미엄화 마케팅이 활발하고 전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홍콩 차 시장의 주요 선도 브랜드 중의 하나인 Lipton社는 작년 무설탕, 제로칼로리의 과일맛 콜드브루 티백 제품 3종을 출시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또 다른 현지 업체는 프리미엄화를 강조하기 위해 티백이 아닌 찻잎을 말린 상태로 현대적 감각으로 포장하였고, 와인 티, 진토닉 티, 위스키 티 등 다양한 상품군으로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한국의 차 전문 수출업체인 T사도 작년에 우엉차와 옥수수수염차를 유통매장에 입점시키면서 소비자들에게..

[말레이시아] 확장하는 K-베이커리 프랜차이즈

[말레이시아] 확장하는 K-베이커리 프랜차이즈 ❍ SPC그룹은 말레이시아 2선 도시 조호르(Johor)에 할랄 인증을 받은 파리바게뜨 제빵 공장을 준공   - 파리바게뜨 조호르 생산센터는 연면적 1만2900㎡ 규모로 7개 생산라인을 통해 하루 최대 30만개, 연간 최대 1억 개의    베이커리 제품을 생산 가능   - 말레이시아를 거점으로 무슬림 인구가 많은 주변국 동남아시아 및 중동국가 등 세계 할랄식품을 공급하는 허브로 활용할 예정    ❍ 파리바게뜨는 2022년 6월 현지 파트너사 버자야 푸드 그룹(Berjaya Food)과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  - 2023년 1월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최대 사업지역인 부킷 빈탕(Bukit Bintang) 내 프리미엄 백화점 파빌리온(Pavil..

[중국] 스낵 할인점, 종합 할인마트로 전환 전략

[중국] 스낵 할인점, 종합 할인마트로 전환 전략 최근 몇 년 동안 스낵 분야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시장 변화와 소비자 수요에 적응하기 위해 많은 스낵 할인점이 업그레이드를 모색하기 시작했으며, 스낵 매장의 경계를 넘어 종합 마트를 운영하는 것이 새로운 트렌드가 되었다. 업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스낵 할인점은 더 이상 간식 마트에 국한되지 않고, 링시요우밍(零食有鸣), 아이링시(爱零食), 링시요우슈안(零食优选), 하오샹라이(好想来) 등 많은 스낵 기업들이 이미 종합 할인 마트를 오픈하였다. 업계 관계자들은 “스낵 할인점과 동네 종합 마트가 새로운 기회를 맞이했으며, ‘더 나은 품질과 더 합리적인 가격’이 새로운 발전 방향이 되었다.”고 말했다. ▲스낵 할인점, 동네 종합 마트로..

중국 2025.03.03

[베트남] 친환경 모빌리티 빈패스트, 푸드 딜리버리 사업 진출 모색

[베트남] 친환경 모빌리티 빈패스트, 푸드 딜리버리 사업 진출 모색친환경 모빌리티 빈패스트, 푸드 딜리버리 사업 진출 모색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베트남 친환경 모빌리티 빈패스트, 푸드 딜리버리 사업 진출 모색- 베트남 최대 민간기업 빈그룹의 전기차 제조회사 빈패스트(VinFast)는 `17년 설립되었으며, `24년 1~10월 베트남 국내 차량 판매 실적에서 도요타(4만9천239대), 현대(4만8천546대)를 제치고 5만 1천대를 판매하며 베트남 자동차 판매 1위 제조사에 등극하였음- 또한, `23년 전기차 택시 호출 서비스 Xanh SM을 출시, 시장조사기관 모르도르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24년 베트남 택시 호출 서비스 시장 점유율은 37.4%로..

[베트남] 주요 기념일

[베트남] 주요 기념일베트남 주요 기념일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베트남 주요 공휴일 및 기념일- 양력설 (양력 1.1) : 음력 계산 시 연말의 마지막 공휴일로서 현지 소비자들에게 음력설을 준비하는 휴무로 인식되고 있음- 음력설 (`25년 기준 양력 1.25 – 2.2, 총 9일) : 베트남 현지 가장 긴 연휴로, 현지 근로자 대부분이 상여금에 해당하는 13개월 급여를 받아 소비 규모가 연간 가장 큰 기간임과 동시에 가장 다양한 상품군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기간이며, 붉은색을 선호하는 베트남의 성향에 맞춰 주로 붉은색으로 제품 포장 후 판매되고 있음- 발렌타인데이 (양력 2.14) : 주로 초콜릿과 꽃을 선물하며, 백화점 및 다양한 브랜드에서는 기념일 한정 상품을 출시하여 고객들의 구매..

[중국] 애니메이션 <나타2> 인기에 따른 협업 열풍

[중국] 애니메이션 인기에 따른 협업 열풍중국 애니메이션 인기에 따른 협업 열풍  영화 가 흥행 열풍을 일으키면서 브랜드 협업과 굿즈 시장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2월 27일 중국의 인기 차 음료 브랜드 ‘바왕차지(霸王茶姬)’ 와 커피 브랜드 ‘쿠디커피(库迪咖啡)’가 잇따라 와의 협업을 발표했다. 이에 관련 키워드가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오르며 높은 관심을 끌었다.  차 음료 브랜드 바왕차지는 업계 최초로 와 협업하며 “동양의 차로 세계와 친구가 되자”라는 메시지를 담은 캠페인을 공개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바왕차지가 향후 협업 패키지, 스페셜 메뉴 등을 출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커피 브랜드 쿠디 커피도 같은 날 협업 소식을 발표했다. 쿠디 커피는 오는 3월 17일부터 주인공 ..

중국 2025.03.03

[일본] 2024년 일본의 인기상품 한눈에 보기

[일본] 2024년 일본의 인기상품 한눈에 보기  일본의 대표적인 식품 전문지인 일본식량신문사에서 지난 2월 20일에 2024년도「제43회 식품 히트 대상」을 발표했다. 3년만에 선정된 대상에 1개 상품, 우수 히트상 22개 상품, 롱셀로(long seller)상 4개 상품, 쇼와 100년 기념 롱셀러 특별상 1개 상품이 선정되었다. 관련해서 수상한 상품과 일본의 식품시장 트렌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히트 키워드 : 건강, 즐거움, 시간단축  2024년 주류업계는 세율 개정으로 발포주 및 신장르 주류와의 가격차가 축소됨에 따라 맥주가 재주목을 받은 해가 되었다.        식품 히트 대상으로 선정된 「기린 맥주 하래카제(キリンビール 晴れ風)」는 맥주 애호가 외에도 폭넓게 타겟을 설정하여, 맥주의..

일본 2025.03.03

[독일] 초콜릿 가격 상승으로 인한 초콜릿 시장동향

[독일] 초콜릿 가격 상승으로 인한 초콜릿 시장동향코코아 가격이 지난 12월부터 두 달 연속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물 질병, 기후 변화 등 으로 인해 전세계 80%를 차지하는 서아프리카의 재배지가 황폐화되어 코코아 생산량이 사상 최저를 기록한 탓이다. 올 해 작황이 좋을 것이라는 낙관론도 있지만 초콜릿을 원자재로 공급받는 기업들은 2025/26년도에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몬델레즈나 허쉬같은 초콜릿을 원자재로 공급하는 대기업에서는 위험성 부담을 위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제코코아 기구(ICCO)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1월 초부터 2025년 1월까지 코코아 1톤의 평균 가격은 약 14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초콜릿 가격 상승 및 브랜드별 대응 독일에서도 ..

[인도] 인도에서 불고 있는 한국 라면 열풍: K-컬처와 디지털 유통의 시너지

[인도] 인도에서 불고 있는 한국 라면 열풍: K-컬처와 디지털 유통의 시너지[사진: Indiafoodbev] ▢ 주요 내용 1. 인도에서 급부상하는 한국 라면의 인기 ㅇ 최근 인도의 인스턴트 라면 시장에서 라면이 빠르게 필수 식료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K-팝, K-드라마 등 한국 문화(K-컬처)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는데, K-컬처가 인도에서 큰 인기를 얻으면서, 현지 소비자들은 자연스럽게 한국 요리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정통 한국 맛을 찾는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불닭볶음면, 진라면, 신라면과 같은 대표적인 한국 라면들이 매운맛과 독특한 풍미로 주목받으며,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ㅇ NielsenIQ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 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