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203

[베트남] 신선품목 지속 증가세

[베트남] 신선품목 지속 증가세베트남의 신선품목 수입 지속 증가세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신선품목의 수입 지속 확대- 베트남 세관의 자료에 따르면 `24년 베트남의 신선품목 수입액은 *240억 달러를 기록, 전년도 동기 대비 24%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과 미국으로 확인되며 양 국가에서 수입액의 합계는 **150억 달러로 중국 10억 달러, 미국 5억4천4백만 달러로 전체의 약 62.5%를 차지하였음* 한화 약 34조 6,632억 원** 한화 약 21조 6,645억 원- `24년 가장 많이 수입된 상품은 사과, 포도, 피스타치오, 아몬드 순으로 확인되며, 과실류의 경우 품목의 다양화와 함께 다양한 가격대의 상품 수입을 통해 대중적인 상품부터 고급 제품까지 폭넓게 수입을 하고..

[태국]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심화 속 Lawson의 차별화 전략과 전망

[태국]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심화 속 Lawson의 차별화 전략과 전망[사진: prachachat] ▢ 주요 내용 1.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상황과 전망 ㅇ 태국의 편의점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100만 명당 260개의 편의점을 보유해 ASEAN 6개국 중 가장 높은 밀도를 자랑하고 있다. 앞으로 태국 편의점 업계는 프리미엄 제품, 국가별 특화 메뉴, 새로운 기술 도입 등을 통해 더욱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ㅇ 특히 태국 7-Eleven을 운영하는 Charoen Pokphand Group(CP)의 편의점 시장 점유율이 전체 시장점유율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기타 브랜드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2. 태국 편의점 시장에서의 Lawson 편..

[베트남] 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

[베트남] 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베트남 현지 한국 식품기업 공장 설립 확대- 베트남은 한국 식품기업의 주요 거점지역으로 불리며, 다양한 한국 식품업체들이 현지에서 공장을 설립 후 상품을 제조하여 판매 및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식품안전정보원에서 발표한 `23년 한국 가공식품 업체 순위에 따르면 상위 10개 업체 중 5개 업체가 베트남 공장 설립 후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현재 베트남 공장 설립 진행 예정인 업체들이 있으므로, 향후 그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현지 진출 한국 식품 기업별 생산 제품 및 유통 현황 - 한국 식품기업의 베트남 진출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

[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

[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필리핀 라면 시장 현황- Euoromonitor의 필리핀 라면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4년 시장규모는 11억 1천4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6% 성장하였으며, 향후 5년간 (`24~`28년) 연평균 6.9%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음- 필리핀에서 주로 소비되는 면류는 주로 인스턴트면으로, 봉지라면은 시장 규모 8억2천78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74.3%를 차지하였으며, 컵라면은 2억1천67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19.4%, 일반면은 6천96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6.2%를 차지하였음○ 기업별 시장 점유율 및 유통 현황- 필리핀 라면시장의 경우, 몬데 니신(Monde Nissin)사가 전체 ..

[독일] 농식품 박람회, 베를린 그린위크 2025

[독일] 농식품 박람회, 베를린 그린위크 2025[독일] 베를린 그린위크 2025  *사진출처: BMEL2025년 2월 17일부터 26일까지, 세계적인 농업·식품 박람회인 베를린 그린위크(Green Week)가 ‘건강한 음식, 강한 국가. 미래지향적인 농업’을 슬로건으로 개최되었다.1926년 2월 처음 개최된 이래, 2026년이면 100주년을 맞이하는 전통 있는 행사로, 농업, 원예, 식품 과학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무역 박람회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독일의 한 매체 ftd에 의하면, 2025년에는 2024년에 비교하여 약 13% 증가한 31만명이 방문하였고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방문객들은 800개의 식품 가판대를 포함해 1인당 160유로 이상을 지출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번 박람회는 총 8..

[러시아] 일부 제과제빵 및 유제품 제조업체, 납품 가격 인상 요구

[러시아] 일부 제과제빵 및 유제품 제조업체, 납품 가격 인상 요구 □ 주요 내용 러시아 경제지 베도모스티(Vedomosti)와 이즈베스티야(Izvestiya)는 일부 제과제빵 및 유제품 제조업체가 소매업체와의 계약에서 납품 가격 인상을 통보했다고 보도했다.  관련 매체들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식품 제조업체 몰베스트(Molvest, 유제품 브랜드 브쿠스노테예보(Vkusnoteevo) 소유)와 미국계 제과제빵 제조업체 마스(Mars)와 몬델리즈(Mondelez)가 각각 원자재 및 물류 등의 생산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소매업체들에게 납품 가격 인상을 통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월 말부터 브쿠스노테예보의 유제품 가격은 5%, 마스와 몬델리즈의 제과제빵 제품 가격은 최대 19%까지 ..

러시아 2025.03.03

[러시아] 2025년 사회적 중요도가 높은 필수식품 가격 통제 제도

[러시아] 2025년 사회적 중요도가 높은 필수식품 가격 통제 제도 □ 정부 당국이 규정한 필수식품 러시아 당국은 연방 정부령 제530호에 의거, 사회안정을 위해 비교적 중요도가 높은 24개의 식품을 선정해 직접적으로 가격을 통제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해당 정부령은 2010년 7월 15일에 채택되었으며, ‘2013년 3월 4일’, ‘2014년 9월 17일’, ‘2016년 3월 21일’, ‘2020년 12월 30일’ 그리고 ‘2025년 2월 1일’에 걸쳐 총 5차례 개정되었다. 현재 당국이 연방 정부령 제530호 채택을 통해 규정한 필수식품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하기의 필수식품 가격이 60일 이내에 10% 이상 증가하는 경우 정부는 해당 정부령에 명시된 바에 따라 가격 상한선을 설정할 수 있는 권한..

러시아 2025.03.03

[일본] 사가현(佐賀県) 냉동망김 입찰회 개최, 2월 출품량 저조

[일본] 사가현(佐賀県) 냉동망김 입찰회 개최, 2월 출품량 저조  일본의 주요 김 양식지역인 사가현(佐賀県)에서는 2025년 2월 20일, 올해 두 번째 냉동망김 도매입찰을 실시하였다. 지난 6일 1차 입찰회에서는 악천후 등의 영향으로 출품량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이번 2회차 입찰은 이번 시즌 처음으로 본격적인 거래가 이루어진 자리였으나, 냉동망김 출품량이 저조하여 업계 관계자들이 우려를 표했다. ㅁ 저조한 출품량과 품질 저하  이번 입찰회에는 전국 49개 상사에서 약 250명이 참여하였으며, 양식장 14개지소에서는 6,465만 6,400장의 김을 출품하였다. 이날 입찰회에서 판매총액은 15억 5,358만엔으로, 김 1장당 평균단가는 24.03엔, 최고단가는 80.99엔으로 평년대비 높은 수준이었다. ..

일본 2025.03.03

[일본] 고령친화식품의 수요 확대

[일본] 고령친화식품의 수요 확대  최근 일본에서는 국내 고령친화식품의 수요 확대에 따라 요양 시설이나 식품 대기업이 고령자를 위한 식품의 개발과 공급 확대를 시작했다. ㅁ 고령화 및 일손 부족으로 수요 확대  현재 일본에서는 고령화와 더불어 일손 부족이 심각해진 요양 시설에서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기성품 고령친화식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후지경제신문에 따르면 고령친화식품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련 회사인 베네세 홀딩스(HD) 그룹은 고령친화식품의 생산 능력을 5배 증가시킬 것을 발표하였으며, 메이지(明治) HD는 적절한 점성을 첨가하여 고령자가 먹기 쉬운 상품을 늘린다고 한다. ㅁ 기업들의 생산 확대 상황  베네세 HD 산하에서 고령자용 배식 등을 다루는 베네세 팔레트(도쿄 ..

일본 2025.03.03

맛있는 건강 ‘헬시 플레저’ 제품 눈에 띄네

맛있는 건강 ‘헬시 플레저’ 제품 눈에 띄네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2.28 12:20‘저속노화’등 식품 산업 트렌드 자리잡아삼립 또띠아 다이어트 조리법 화제…매출 20% 증가풀무원지구식단 ‘두유면’ 월생산량 4배로 늘려CJ ‘햇반 라이스플랜’ 곤약밥 등 라인업 확장‘매일두유’ 에드워드 리와 제휴 저당 식단 소개 ‘헬시플레저’가 식품산업 트렌드를 바꾸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식품도 맛있고 건강하게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MZ세대를 중심으로 식품산업의 한 트렌드로 자리 잡은 헬시플레저는 이미 메가트렌드 반열에 올랐다.특히 보건·의료 기술 발달로 기대수명 평균이 늘어나면서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통해 신체 노화 속도를 늦추는 ‘저속노화’ 트렌드가 확산되며..

식품뉴스 2025.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