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두바이 초콜릿 열풍 : 글로벌 시장에서의 새로운 디저트 트랜드
2025년, "두바이 초콜릿"이 새로운 유행으로 부상하여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이 초콜릿의 특징은 바삭한 식감과 진한 피스타치오 맛으로, 다양한 디저트들이 한때 큰 인기를 끌었던 가운데, 올해의 본격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 두바이 초콜릿의 시작
두바이 초콜릿은 두바이에 거주하는 영국계 이집트인, 사라 하무다(Sara Hamouda)가 부업으로 시작한 "FIX 초콜릿"에서 비롯되었다.
FIX 초콜릿은 바삭한 퀴나페(밀가루로 만든 세밀한 면 상태의 반죽)에 피스타치오와 타히니(생깨를 갈아 만든 페이스트)를 조합한 초콜릿 브랜드로, 모든 제품은 수공예로 제작되어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다.
이 초콜릿은 2023년 12월, 음식 인플루언서 마리아 베헤라(Maria Vela)가 TikTok에 FIX 초콜릿을 먹는 ASMR(청각적, 시각적 자극으로 쾌감을 느끼는 현상) 영상을 올린 것이 큰 전환점을 맞았다. 마리아의 영상은 3만 건 이상의 주문을 일으켰고, 이 초콜릿은 급속히 전 세계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다.
그 후,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영상들이 이어졌고, 한국에서는 FIX 초콜릿을 먹는 영상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현지 제과점이나 편의점에서도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들이 등장했다. 이러한 현상은 일본을 포함한 다른 아시아 국가들로도 확산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한국풍 카페에서 두바이 초콜릿을 선보이기 시작했다.
이와 같은 배경을 통해, 두바이 초콜릿은 단순히 한 국가에 국한되지 않고, 전세계적으로 유행을 이끌고 있다.
■ 두바이 초콜릿의 일본 진출과 현지 반응
지난해 12월부터 일본에서는 두바이 초콜릿을 브랜드화한 제품들이 칼디나 드럭스토어 등에서 출시되었으며, 초콜릿샵 divan 또한 두바이 초콜릿을 출시했다. 이 초콜릿은 가격이 2,916엔으로 다소 높은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지만, 그 품질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구입자들은 만족감을 표했다.
일본 시장에서 두바이 초콜릿의 인기는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앞으로 이 제품이 얼마나 더 인기를 끌지 주목되고 있다.

<시사점>
두바이 초콜릿의 성공은 그 독특한 맛과 식감, 그리고 수공예적인 특징 덕분이다. 이는 한국 식품업체들에게도 차별화된 상품 개발과 독창적인 브랜딩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한국의 전통적인 디저트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해외 시장에 맞춘 고유한 제품을 개발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바이에서 시작된 FIX 초콜릿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이유는 그 지역 특성을 살린 브랜드 전략 때문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한국 고유의 전통 디저트 역시 전통적 맛과 식문화의 특성을 살려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자료 및 사진 출처>
https://news.yahoo.co.jp/articles/c1d93ec6ffa6841bfcfc9eb3912abbff4b11a46d?page=4
https://news.yahoo.co.jp/articles/004f906bb6519e76f0f8aa9d545608487e1ccfe6/images/000
https://news.yahoo.co.jp/articles/c191f4aeeab5a69e2ff5c4b90b15cbc441f953d5
문의 : 도쿄지사 신연호(tokyo@at.or.kr)
'일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일본의 2025년 농식품 히트 기대 품목 (0) | 2025.02.18 |
---|---|
[일본] 일본의 지속 가능한 식품 트렌드 확산과 한국 농식품 기업의 기회 (0) | 2025.02.17 |
[일본] 인스턴트 라면, 국물 없는 제품 호조 (1) | 2025.02.15 |
[일본] 2025년 일본 식품 트렌드 예상 (0) | 2025.02.06 |
[일본] 과자 식품 기업의 냉동식품 사업 확장 시도 (1)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