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1434

[베트남] 친환경 모빌리티 빈패스트, 푸드 딜리버리 사업 진출 모색

[베트남] 친환경 모빌리티 빈패스트, 푸드 딜리버리 사업 진출 모색친환경 모빌리티 빈패스트, 푸드 딜리버리 사업 진출 모색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베트남 친환경 모빌리티 빈패스트, 푸드 딜리버리 사업 진출 모색- 베트남 최대 민간기업 빈그룹의 전기차 제조회사 빈패스트(VinFast)는 `17년 설립되었으며, `24년 1~10월 베트남 국내 차량 판매 실적에서 도요타(4만9천239대), 현대(4만8천546대)를 제치고 5만 1천대를 판매하며 베트남 자동차 판매 1위 제조사에 등극하였음- 또한, `23년 전기차 택시 호출 서비스 Xanh SM을 출시, 시장조사기관 모르도르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24년 베트남 택시 호출 서비스 시장 점유율은 37.4%로..

[베트남] 주요 기념일

[베트남] 주요 기념일베트남 주요 기념일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베트남 주요 공휴일 및 기념일- 양력설 (양력 1.1) : 음력 계산 시 연말의 마지막 공휴일로서 현지 소비자들에게 음력설을 준비하는 휴무로 인식되고 있음- 음력설 (`25년 기준 양력 1.25 – 2.2, 총 9일) : 베트남 현지 가장 긴 연휴로, 현지 근로자 대부분이 상여금에 해당하는 13개월 급여를 받아 소비 규모가 연간 가장 큰 기간임과 동시에 가장 다양한 상품군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기간이며, 붉은색을 선호하는 베트남의 성향에 맞춰 주로 붉은색으로 제품 포장 후 판매되고 있음- 발렌타인데이 (양력 2.14) : 주로 초콜릿과 꽃을 선물하며, 백화점 및 다양한 브랜드에서는 기념일 한정 상품을 출시하여 고객들의 구매..

[인도] 인도에서 불고 있는 한국 라면 열풍: K-컬처와 디지털 유통의 시너지

[인도] 인도에서 불고 있는 한국 라면 열풍: K-컬처와 디지털 유통의 시너지[사진: Indiafoodbev] ▢ 주요 내용 1. 인도에서 급부상하는 한국 라면의 인기 ㅇ 최근 인도의 인스턴트 라면 시장에서 라면이 빠르게 필수 식료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K-팝, K-드라마 등 한국 문화(K-컬처)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는데, K-컬처가 인도에서 큰 인기를 얻으면서, 현지 소비자들은 자연스럽게 한국 요리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정통 한국 맛을 찾는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 특히 불닭볶음면, 진라면, 신라면과 같은 대표적인 한국 라면들이 매운맛과 독특한 풍미로 주목받으며,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ㅇ NielsenIQ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 라면..

[베트남] 신선품목 지속 증가세

[베트남] 신선품목 지속 증가세베트남의 신선품목 수입 지속 증가세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신선품목의 수입 지속 확대- 베트남 세관의 자료에 따르면 `24년 베트남의 신선품목 수입액은 *240억 달러를 기록, 전년도 동기 대비 24%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과 미국으로 확인되며 양 국가에서 수입액의 합계는 **150억 달러로 중국 10억 달러, 미국 5억4천4백만 달러로 전체의 약 62.5%를 차지하였음* 한화 약 34조 6,632억 원** 한화 약 21조 6,645억 원- `24년 가장 많이 수입된 상품은 사과, 포도, 피스타치오, 아몬드 순으로 확인되며, 과실류의 경우 품목의 다양화와 함께 다양한 가격대의 상품 수입을 통해 대중적인 상품부터 고급 제품까지 폭넓게 수입을 하고..

[태국]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심화 속 Lawson의 차별화 전략과 전망

[태국]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심화 속 Lawson의 차별화 전략과 전망[사진: prachachat] ▢ 주요 내용 1.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상황과 전망 ㅇ 태국의 편의점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100만 명당 260개의 편의점을 보유해 ASEAN 6개국 중 가장 높은 밀도를 자랑하고 있다. 앞으로 태국 편의점 업계는 프리미엄 제품, 국가별 특화 메뉴, 새로운 기술 도입 등을 통해 더욱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ㅇ 특히 태국 7-Eleven을 운영하는 Charoen Pokphand Group(CP)의 편의점 시장 점유율이 전체 시장점유율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기타 브랜드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2. 태국 편의점 시장에서의 Lawson 편..

[베트남] 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

[베트남] 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베트남 현지 한국 식품기업 공장 설립 확대- 베트남은 한국 식품기업의 주요 거점지역으로 불리며, 다양한 한국 식품업체들이 현지에서 공장을 설립 후 상품을 제조하여 판매 및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식품안전정보원에서 발표한 `23년 한국 가공식품 업체 순위에 따르면 상위 10개 업체 중 5개 업체가 베트남 공장 설립 후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현재 베트남 공장 설립 진행 예정인 업체들이 있으므로, 향후 그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현지 진출 한국 식품 기업별 생산 제품 및 유통 현황 - 한국 식품기업의 베트남 진출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

[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

[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필리핀 라면 시장 현황- Euoromonitor의 필리핀 라면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4년 시장규모는 11억 1천4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6% 성장하였으며, 향후 5년간 (`24~`28년) 연평균 6.9%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음- 필리핀에서 주로 소비되는 면류는 주로 인스턴트면으로, 봉지라면은 시장 규모 8억2천78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74.3%를 차지하였으며, 컵라면은 2억1천67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19.4%, 일반면은 6천96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6.2%를 차지하였음○ 기업별 시장 점유율 및 유통 현황- 필리핀 라면시장의 경우, 몬데 니신(Monde Nissin)사가 전체 ..

[말레이시아] 식품 소비 구매력 여건 양호에도 불구 물가상승 분위기 상존

[말레이시아] 식품 소비 구매력 여건 양호에도 불구 물가상승 분위기 상존 ❍ 말레이시아 재무부의 2025년 예산안에 따르면 공무원 임금 및 최저 임금 인상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력은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   - 공무원은 2024년 12월부터 단계적으로 최대 15%까지 임금 인상 및 계약직 포함한 56급 이하 공무원은 500링깃(약 15만원) 특별 수당      지급 예정    - 최저 임금은 2025.2월부터 기존 월 1,500링깃(약 45만원)에서 월 1,700링깃(약 51만원)으로 인상(근로자 5명 미만의 사업체의 경우      2025.8월로 연기) ❍ 통계청은 2024년 연말 소비증가에 따른 12월 도·소매업도 성장 가속임을 발표   - 도매 및 소매 거래는 비전문 소매점과 전문 도매 매..

빠르게 성장하는 베트남의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진출 기회

빠르게 성장하는 베트남의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진출 기회트렌드베트남호치민무역관 문서윤2025-02-24출처 : KOTRA 소득 증가와 배달 서비스 확대로 베트남 외식 시장 급성장현지화 전략과 브랜드 차별화가 외식 프랜차이즈 진출 성공의 핵심베트남은 지난 5년간 연평균 6~7%에 달하는 GDP 성장과 더불어 관광 산업이 발달하면서 외식 산업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을 거치며 급격하게 성장한 온라인 배달 주문 산업과 상호 시너지 효과를 내며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 또한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 외식산업 동향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베트남의 외식 산업은 연평균 약 13% 성장률을 보였으며, 2024년 매출액은 265억578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베트남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과 함께..

[뉴질랜드] 1월 먹거리 가격 급등

[뉴질랜드] 1월 먹거리 가격 급등▶ 주요내용‧ 금년 1월 뉴질랜드의 식료품 가격이 전월 대비 1.9% 상승했으며 ‘22년 7월 식료품 가격이 2.1% 상승한 이후 월간 상승폭으로는 가장 큰 수치임 ‧ 연간 기준으로 ‘24년 12월에 먹거리 물가는 1.5% 상승한 데 비해 금년 1월까지 2.3%로 오름폭이 커지면서 안정 추세로 향하던 물가에 빨간등이 켜짐 ‧ ‘24년 12월 식료품 가격은 전달에 비해 0.1% 올랐지만 1월 기준으로 식료품 지수에 포함된 품목 중 약 65%의 가격이 상승함 ‧ 작년 연간 평균이었던 54%보다 높은 수준이며, 특히 5% 이상 가격이 폭등한 품목의 비율이 20%를 차지하여 최근 5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함  ‧ 먹거리 물가 급등은 잡화식품이 3% 상승하면서 주된 원인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