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1432

[말레이시아] 글로벌 SNS 트렌드로 더욱 확산되는 말차 열풍

[말레이시아] 글로벌 SNS 트렌드로 더욱 확산되는 말차 열풍 ❍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틱톡(TikTok) 등 글로벌 SNS 트렌드의 영향을 받아 말차 전문 카페 및 말차 기반 메뉴가 눈에 띄게     증가하는 추세  - 말차는 이미 말레이시아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으며 꾸준히 사랑받아왔으나, 최근 글로벌 SNS 트렌드의 영향으로    다시 한번 주목받으며 폭넓은 소비층의 관심을 끌고 있음  ❍ 말차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말레이시아에서는 일본계와 현지 말차 전문 프랜차이즈들이 매장을 꾸준히 확장하고 있음  - 일본계 말차 전문 디저트 프랜차이즈 말차 사로 108, 말차 8 등을 비롯한 말레이시아 현지 브랜드인 니코네코(Niko Neko)가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추세  ❍ 말차 트렌드는 타국 프랜차이..

[UAE] 아랍에미리트의 독특한 미식 세계

[UAE] 아랍에미리트의 독특한 미식 세계■ 주요내용‘세계 최초’, ‘세계에서 가장 큰’, ‘세계에서 가장 비싼’ 등의 수식어가 자연스럽게 따라붙는 럭셔리의 대명사, 아랍에미리트(UAE)에서는 음식마저도 범상치 않다. UAE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미식 세계를 소개한다. 1. 세계에서 가장 큰 요리: 낙타 통구이UAE의 전통적인 잔치 음식 중 하나인 ‘낙타 통구이(Stuff A Camel)’는 그 규모만으로도 압도적이다. 닭과 양, 달걀, 쌀을 가득 채운 낙타 한 마리를 통째로 구워낸 이 요리는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큰 요리’로 등재된 바 있다. 주로 왕족의 특별 행사나 대규모 결혼식에서만 만나볼 수 있으며, 이는 ‘스케일이 다른’ 중동의 호스피탈리티를 보여준다.  2. 세계에서 가장 비싼 칵..

[싱가포르] 주류 소비 동향 및 한국 전통주 소비확산을 위한 프로모션 기회

[싱가포르] 주류 소비 동향 및 한국 전통주 소비확산을 위한 프로모션 기회 ❍ 2025년 싱가포르 주류 시장 규모는 3,463백만불 수준으로 지속 성장할 전망   - 시장조사 전문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싱가포르 내 주류 유통 구조는 오프트레이드(Off-Trade)와    온트레이드(On-Trade) 비율이 7:3 수준   * 오프트레이드는 슈퍼마켓, 주류 전문점 등 유통매장에서 구매하여 집에서 소비하는 형태를 뜻하며 온트레이드는 식당,     호텔, 바 등 식·음료 업장에서 소비하는 형태를 의미    - 기존에 오프라인에서 주로 소비되던 싱가포르 주류는 팬데믹 여파로 온라인 배달 수요가 급증하며, 온라인 판매 비중이     2029년까지 12.4%로 성장할 전망  ❍ 싱가포르는 젊은층..

[태국] 태국 건강보조식품 시장의 성장과 최신 트렌드

[태국] 태국 건강보조식품 시장의 성장과 최신 트렌드 [출처 : Shopee 이미지] ▢ 주요 내용  1. 태국 건강보조식품 시장, 젤리형 제품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 ㅇ 태국 건강보조식품 시장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헬스케어 소비시장 중 하나로 꼽힌다. 2023년 기준 태국의 건강보조식품 시장 규모는 약 777억 바트(한화 약 3조 3천억 원)에 달하며, 2025년까지 연평균 5~8%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ㅇ 이 같은 성장은 주로 ① 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 ②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뷰티-웰니스 트렌드 확산, ③ 도시화와 고령화에 따른 기능성 제품 수요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비롯되고 있다. 특히 MZ세대를 포함한 젊은 세대는 예방 중심의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인도 뭄바이서 맛보는 K-푸드…식품산업협회, 산업부ㆍKOTRA와 판촉전 개최

인도 뭄바이서 맛보는 K-푸드…식품산업협회, 산업부ㆍKOTRA와 판촉전 개최 나명옥 기자 승인 2025.03.25 16:44 인도 뭄바이 Food Square 매장에서 열리고 있는 K-푸드 판촉전 및 시식행사 ‘SEOUL FOOD To-go in Mumbai’. 사진=식품산업협회 한국식품산업협회(회장 이효율)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KOTRA(사장 강경성)와 함께 24일부터 28일까지 인도 최대 도시 뭄바이에서 ‘SEOUL FOOD To-go in Mumbai’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식품전시회인 ‘SEOUL FOOD 2025’ 세계화의 일환으로, 인도 시장에서 한국식품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고자 기획됐다.‘SEOUL FOOD To-go in Mumbai’는 인도의 ..

[인도네시아] 위험한 성분 포함한 가공식품에 대한 사회적 홍보 활동 실시

[인도네시아] 위험한 성분 포함한 가공식품에 대한 사회적 홍보 활동 실시▶ 주요내용 ‧ 이슬람 명절 르바란을 앞두고, 인도네시아 국회의원인 누르하디(Nurhadi)는 국민들에게 먹거리를 선택할 시 더 신중을 기할 것을 당부함 ‧ 식품 구매 시 유통기한과 포장 상태를 반드시 확인 후 구매할 필요성이 강조됨 ‧ 식품뿐만 아니라, 최근 인플루언서 및 연예인들이 홍보했던 화장품 제품에 대해서도 해당 제품이 공식적인 유통 허가를 받았는지 반드시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함 ‧ 약품 구매 시에도 즉각적인 치유 효과를 강조하는 제품은 구매하지 말고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고 강조함 ‧ 수라바야 인도네시아 식품 의약청(BPOM) 대형 사무소 관계자에 따르면 자사에서 27개 지방자치단체에 걸쳐 약품과 식품에 대한 감독을계속하고..

말레이시아 키덜트 시장의 새로운 유행, 블라인드 박스

말레이시아 키덜트 시장의 새로운 유행, 블라인드 박스트렌드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무역관 최혜민2025-03-17출처 : KOTRA 중국 Popmart를 필두로 말레이시아 장난감 시장이 성장하는 추세랜덤이라는 특성으로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 자극말레이시아 키덜트 시장 개요 말레이시아 장난감 및 게임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3년 말레이시아의 장난감 및 게임 시장 규모는 약 53억 링깃(약 12억2000만 달러)으로 전년 대비 20% 성장했다. 이는 동남아시아 평균 성장률을 웃도는 수치다. 이 같은 성장세는 몇 가지 요인에 의해 촉진되고 있다. 첫째, 중산층 확대와 가처분 소득 증가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소득 수준을 유지..

[말레이시아] 현지 식품업계 SNS 바이럴 마케팅 성공사례

[말레이시아] 현지 식품업계 SNS 바이럴 마케팅 성공사례 ❍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5년 말레이시아의 인터넷 보급률은 97.7%로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함께 소셜 미디어 사용이 활성화되며, 2024년 기준 말레이시아 인구의 83.1%가 소셜 미디어를      활발히 이용하고 있음  - 이러한 환경 속에서 젊은 MZ 세대를 겨냥한 다양한 SNS 바이럴 마케팅 성공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음  ❍ 2025년 3월 19일, 글로벌 음료 브랜드 립톤(Lipton)은 「립톤 아이스티 복숭아 맛 단종」이라는 게시글을 인스타그램     계정에 게재하며 화제를 모음  - 해당 게시글은 「Rest in Peach」(Rest in Peac..

[카타르] 식품 안전 등급제 도입, 위생 관리 강화를 위한 식중독 예방

[카타르] 식품 안전 등급제 도입, 위생 관리 강화를 위한 식중독 예방■ 주요내용  카타르 공공보건부는 `25년 2월 20일에 공식적으로 `식품 업체 대상 안전 등급 프로그램(Food Safety Rating Programme for Food Establishments)`을 출범했다. 이번 조치는 카타르 국민들에게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고,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카타르 정부가 식품 안전 강화를 위해 도입한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카타르 내 다양한 음식점들이 식품 안전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독려하며, 소비자들이 직접 매장의 위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6단계 등급으로 평가...‘우수’부터 ‘긴급 개선 필요’까지카타르 새로운 식품 안전 등급 시스..

[말레이시아] 2025년 말레이시아 디저트 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2025년 말레이시아 디저트 시장 동향[지구촌 리포트]▶ 말레이시아 디저트 시장 동향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Statista)는 2025년 말레이시아 디저트(당과류, confectionery) 시장 규모를 약 2,849만 달러(한화 약 381억 원)로 평가했으며,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8.19%의 성장률(CAGR)을 기록할 것으로 보았다. 이 추세가 유지된다면 2029년에는 디저트 시장 규모가 약 3,903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스태티스타의 분류 기준에 따르면, 2025년 말레이시아 디저트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은 초콜릿류로, 전체의 약 28.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외 아이스크림, 페이스트리 및 케이크류, 설탕 과자류도 비슷한 수준의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