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1440

[태국]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심화 속 Lawson의 차별화 전략과 전망

[태국]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심화 속 Lawson의 차별화 전략과 전망[사진: prachachat] ▢ 주요 내용 1. 태국 편의점 시장의 경쟁 상황과 전망 ㅇ 태국의 편의점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100만 명당 260개의 편의점을 보유해 ASEAN 6개국 중 가장 높은 밀도를 자랑하고 있다. 앞으로 태국 편의점 업계는 프리미엄 제품, 국가별 특화 메뉴, 새로운 기술 도입 등을 통해 더욱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ㅇ 특히 태국 7-Eleven을 운영하는 Charoen Pokphand Group(CP)의 편의점 시장 점유율이 전체 시장점유율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기타 브랜드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2. 태국 편의점 시장에서의 Lawson 편..

[베트남] 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

[베트남] 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한국 식품기업 현지 생산 가속화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베트남 현지 한국 식품기업 공장 설립 확대- 베트남은 한국 식품기업의 주요 거점지역으로 불리며, 다양한 한국 식품업체들이 현지에서 공장을 설립 후 상품을 제조하여 판매 및 수출을 진행하고 있음-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식품안전정보원에서 발표한 `23년 한국 가공식품 업체 순위에 따르면 상위 10개 업체 중 5개 업체가 베트남 공장 설립 후 현지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현재 베트남 공장 설립 진행 예정인 업체들이 있으므로, 향후 그 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현지 진출 한국 식품 기업별 생산 제품 및 유통 현황 - 한국 식품기업의 베트남 진출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

[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

[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필리핀, 라면 시장 동향 2025년 2월, 하노이지사□ 키워드 :○ 필리핀 라면 시장 현황- Euoromonitor의 필리핀 라면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4년 시장규모는 11억 1천400만 달러로 전년대비 6.6% 성장하였으며, 향후 5년간 (`24~`28년) 연평균 6.9%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음- 필리핀에서 주로 소비되는 면류는 주로 인스턴트면으로, 봉지라면은 시장 규모 8억2천78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74.3%를 차지하였으며, 컵라면은 2억1천67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19.4%, 일반면은 6천960만 달러로 전체 시장의 6.2%를 차지하였음○ 기업별 시장 점유율 및 유통 현황- 필리핀 라면시장의 경우, 몬데 니신(Monde Nissin)사가 전체 ..

[말레이시아] 식품 소비 구매력 여건 양호에도 불구 물가상승 분위기 상존

[말레이시아] 식품 소비 구매력 여건 양호에도 불구 물가상승 분위기 상존 ❍ 말레이시아 재무부의 2025년 예산안에 따르면 공무원 임금 및 최저 임금 인상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력은 긍정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   - 공무원은 2024년 12월부터 단계적으로 최대 15%까지 임금 인상 및 계약직 포함한 56급 이하 공무원은 500링깃(약 15만원) 특별 수당      지급 예정    - 최저 임금은 2025.2월부터 기존 월 1,500링깃(약 45만원)에서 월 1,700링깃(약 51만원)으로 인상(근로자 5명 미만의 사업체의 경우      2025.8월로 연기) ❍ 통계청은 2024년 연말 소비증가에 따른 12월 도·소매업도 성장 가속임을 발표   - 도매 및 소매 거래는 비전문 소매점과 전문 도매 매..

빠르게 성장하는 베트남의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진출 기회

빠르게 성장하는 베트남의 외식산업, 프랜차이즈 진출 기회트렌드베트남호치민무역관 문서윤2025-02-24출처 : KOTRA 소득 증가와 배달 서비스 확대로 베트남 외식 시장 급성장현지화 전략과 브랜드 차별화가 외식 프랜차이즈 진출 성공의 핵심베트남은 지난 5년간 연평균 6~7%에 달하는 GDP 성장과 더불어 관광 산업이 발달하면서 외식 산업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팬데믹을 거치며 급격하게 성장한 온라인 배달 주문 산업과 상호 시너지 효과를 내며 외식 프랜차이즈 시장 또한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 외식산업 동향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베트남의 외식 산업은 연평균 약 13% 성장률을 보였으며, 2024년 매출액은 265억578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베트남의 전반적인 경제 성장과 함께..

[뉴질랜드] 1월 먹거리 가격 급등

[뉴질랜드] 1월 먹거리 가격 급등▶ 주요내용‧ 금년 1월 뉴질랜드의 식료품 가격이 전월 대비 1.9% 상승했으며 ‘22년 7월 식료품 가격이 2.1% 상승한 이후 월간 상승폭으로는 가장 큰 수치임 ‧ 연간 기준으로 ‘24년 12월에 먹거리 물가는 1.5% 상승한 데 비해 금년 1월까지 2.3%로 오름폭이 커지면서 안정 추세로 향하던 물가에 빨간등이 켜짐 ‧ ‘24년 12월 식료품 가격은 전달에 비해 0.1% 올랐지만 1월 기준으로 식료품 지수에 포함된 품목 중 약 65%의 가격이 상승함 ‧ 작년 연간 평균이었던 54%보다 높은 수준이며, 특히 5% 이상 가격이 폭등한 품목의 비율이 20%를 차지하여 최근 5년 동안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함  ‧ 먹거리 물가 급등은 잡화식품이 3% 상승하면서 주된 원인으..

[싱가포르] 호커센터 카페와 프리미엄 소비 확대 동향

[싱가포르] 호커센터 카페와 프리미엄 소비 확대 동향 ❍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생활비를 기록하는 국가 중 하나로 최근 몇 년간 물가 상승세가 지속   - ‘24년 싱가포르 외식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5% 증가하며 상승세가 완화되고 있으나, 소비자들의 물가 체감은 여전히 높은 상태  - 현지 시장 조사기관 Blackbox Research가 총선을 앞두고 유권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34.8%가 물가 상승이    가장 우려된다고 답변  - ‘24년 UOB 아세안 소비자 감정 조사 결과, 싱가포르인의 71%가 인플레이션을 주요 경제적 부담으로 인식하며 이는 아세안     평균(63%)보다 높은 수치  ❍ 물가 부담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 소비자들은 나라가 선진화되면서..

[아시아 건기식 시장] 말레이시아, 한국산 신뢰도 높아 진출 유리

[아시아 건기식 시장] 말레이시아, 한국산 신뢰도 높아 진출 유리 배경호 기자 승인 2025.02.21 12:021조7600억 원 규모…고령화로 연간 두 자릿수 성장 예상노인 3명 중 1명 섭취…비타민·칼슘·피쉬 오일 등 구매미용 관련 보충제 큰 비중…관절·기억력 향상 제품 등 출시 말레이시아의 고령화가 시작되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또한 이 시장은 고령화 인구가 늘면서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돼, 새로운 시장 진입자들에게도 다양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국의 건강기능식품(이하 건기식) 및 제약 연구개발 기술력은 말레이시아 관계자들 사이에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어, 향후 우리 기업의 현지 시장 진출과 사업 확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코트라 쿠..

[UAE] 할랄 인증 동등성 인정 관련 규정 강화

[UAE] 할랄 인증 동등성 인정 관련 규정 강화1. UAE, 할랄 인증 동등성 인정 관련 규정 강화◦ 최근 비인정인증기관(MUI, KMF)을 통해 할랄 인증을 받은 식품 대상으로 UAE 수입 통관 거부 사례 발생- UAE 지역은 공식적으로 MUI 할랄, KMF 할랄 등 동등성 인정이 안된 할랄 인증을 받은 식품에 대해 수입·유통 제재- 특히, KMF 할랄 인증 식품은 현재 UAE 할랄 식품 중 대부분을 차지- UAE로 수출하는 한국 가공식품 중 KMF 할랄 인증 받은 선적 대상 통관 거부 사례 발생- 특히 현지 UAE에 유통되고 있는 할랄 식품 중 대부분은 비인정인증기관(MUI, KMF등) 인증을 받은 식품들이 대부분으로, 현지 통관시 거부 가능성이 높으므로 잠재적 리스크 직면- UAE 지역은 현재 인..

인도 에어프라이어 시장, 건강 열풍 속 빠른 성장 전망

인도 에어프라이어 시장, 건강 열풍 속 빠른 성장 전망트렌드인도첸나이무역관 이민형2025-02-19출처 : KOTRA 인도 에어프라이어 시장 현황SWOT 분석정부지원정책 및 기업 현황인도에서 에어프라이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저유지(低油脂) 조리 방식의 인기가 확산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1790만 명의 사망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10억 명 이상의 인구가 비만 상태이며, 2025년까지 1억 6700만 명이 비만 또는 과체중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건강을 고려한 식습관이 중요해지면서 기름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에어프라이어에 대한 관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