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1434

[태국] K-FOOD의 글로벌 위상, KFC x 불닭, 태국 시장에서 매운맛의 바람 일으키다

[태국] K-FOOD의 글로벌 위상, KFC x 불닭, 태국 시장에서 매운맛의 바람 일으키다 [사진: Sanook.com] ▢ 주요 내용 1. KFC 태국 x 불닭, 매운맛 협업으로 주목 ㅇ KFC 태국이 삼양식품의 '불닭' 브랜드와 협업한 신제품을 출시하며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한국을 대표하는 매운맛 브랜드 불닭과의 협업을 통해 KFC의 시그니처 치킨을 한층 더 매운맛으로 업그레이드했다. 이를 통해 매운맛을 선호하는 고객층을 공략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2. '불닭 덩크 윙즈', 강렬한 한국의 매운맛으로 승부 ㅇ KFC 태국은 최근 불닭 핫소스를 활용한 '불닭 덩크 윙즈(BULDAK DUNKED WINGS)'를 선보였다. 바삭한 KFC 치킨 윙에 불닭의 강렬한 매운..

급성장하는 베트남 외식 시장…프랜차이즈 연 27% 성장

급성장하는 베트남 외식 시장…프랜차이즈 연 27% 성장 배경호 기자 승인 2025.03.07 10:25외국인 100% 투자 가능…한국 등 외국계 진출 활발롯데리아 브랜드 파워 4위…1위 제품 ‘치킨+밥’ 메뉴온라인 주문 배달 빈도 높아…‘1주에 1번 이상’ 49% 베트남 경제의 빠른 성장과 함께 중산층의 소득 증가 및 소비 확대로 현지 외식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관련 프랜차이즈 및 산업의 진출 기회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화된 메뉴, 서비스, 마케팅 전략은 물론 최적화된 배달 서비스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코트라 호치민무역관에 따르면, 베트남은 지난 5년간 연평균 6~7%에 달하는 GDP 성장과 더불어 관광 산업이 발달하면서 외식 산업 역시 빠른 속도로 성장..

몽골 식문화 변화와 한식의 기회

몽골 식문화 변화와 한식의 기회트렌드몽골울란바토르무역관 Nandintsatsral Amarsanaa2025-03-06출처 : KOTRA 몽골인들에게 인기 대세 한국 음식, 한식 관련 식자재 수요 확대외식업 프랜차이즈 및 브랜드 진출 기회가 다대시장 개요 몽골의 총 인구는 약 350만 명으로, 국토 면적은 한반도의 약 7배에 달하지만,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이 수도 울란바토르에 집중 거주하여 높은 인구 밀집도를 보인다. 또한, 전체 인구 중 35세 미만이 60%를 차지하며, 인구 구조상 젊은 층의 비율이 높은 국가다. 몽골의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2024년 기준 254만 투그릭(약 100만 원)으로 집계되어 전년 대비 17.8% 상승했다. 한편, 가구 소비 지출에서 식료..

말레이시아 2025 펫푸드 시장의 키워드 "프리미엄"

말레이시아 2025 펫푸드 시장의 키워드 "프리미엄"트렌드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무역관 최혜민2025-03-06출처 : KOTRA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면서 반려동물 관련 시장 성장세펫푸드 분야에서는 프리미엄 사료 선호도가 높아지는 추세말레이시아 반려동물 산업의 성장 배경 말레이시아의 반려동물 산업은 최근 몇 년간 괄목할 만한 변화를 겪어왔다. 과거에는 개와 고양이를 비롯한 주요 반려동물 사료가 주로 일반적인 대량 생산 제품에 의존하였으며,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제한적이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처분 소득과 반려동물의 사회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에서 기인한 결과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경제 성장이 지속됨에 따라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고,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문화가 확산하면서 산업 전반..

[태국] 태국 식품 산업의 성장과 미래 식품 시장에서의 한국 식품 기업 진출 기회

[태국] 태국 식품 산업의 성장과 미래 식품 시장에서의 한국 식품 기업 진출 기회[사진: thansettakij] ▢ 주요 내용 1. 태국 식품 산업의 현재와 성장 ㅇ 태국은 세계 최대의 식품 생산국이자 수출국 중 하나로, 식품 산업이 GDP의 24.6%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태국 식품 수출액은 1조 6,384억 4,500만 바트(한화 약 70조 원)로, 전년 대비 7.3%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ㅇ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쌀, 애완동물 사료, 통조림 참치, 소스·조미료, 즉석식품, 코코넛 제품 등이 있으며, 대부분이 1차 가공 제품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태국 식품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가치를 높이기 위해 혁신적인 기술과 연구를 기반으로 미래 식품 산업(Future Food In..

[호주] 호주 스낵류 트렌드

[호주] 호주 스낵류 트렌드[지구촌 리포트]▶ 호주 스낵류 시장 개요  ‧ 2023년 고물가, 고금리로 인해 2024년 호주 스낵류 소비는 다소 부진했지만 소비판매량은 17억7천4백만 호주 달러를기록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됨  ‧ 금리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호주 소비자들은 여전히 재정적인 부담을 느끼고 있어 스낵류와 같은 비필수재에 소비할 여력이 감소함  ‧ 호주인들은 가성비 좋은 스낵 브랜드로 눈을 돌리고 있으며, 특히 할인 체인인 알디(Aldi)에서 스낵류를 더 자주 구매하기 시작함   ‧ 짭짤한 스낵류 카테고리에서는 저렴한 브랜드의 성장세가 뚜렷한 반면, 초콜릿 과자류에서는 상대적으로 고가 제품의 수요가 높음  ‧ 초콜릿 과자는 고급스러움과 만족감이 중시되는 간식으로 인식되어 소..

라오스, 한류 영향으로 한국 라면 인기도 지속 증가

라오스, 한류 영향으로 한국 라면 인기도 지속 증가트렌드라오스비엔티안무역관 박세연2025-02-28출처 : KOTRA 한국 라면, 매운 맛을 좋아하는 라오스 소비자의 입맛과도 딱 맞아 탄탄한 소비층 형성여러 신규 유통망의 등장으로 한국 라면의 유통 범위도 확장라오스 라면 시장 동향 데이터 기반 컨설팅 업체 Strategy Helix 사의 2024년 라오스 인스턴트 라면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부터 2029년까지 1190만 달러 가량의 시장규모 증가 및 연평균 5.2% 성장률의 눈에 띄는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라오스에서 한국 라면의 인기는 최근 몇 년 동안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데, K-드라마나 예능에서 라면을 즐겨 먹는 장면이 자주 등장함에 따라 라오스 소비자들에게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있기 ..

[뉴질랜드] 식품 안전, 생산기록 미관리 문제, 리콜사례 등 유의 사항

[뉴질랜드] 식품 안전, 생산기록 미관리 문제, 리콜사례 등 유의 사항  ㅁ 주요내용  ㅇ 과일 초파리 발생   - 오클랜드 노스쇼어 지역에서 동양과실파리(Oriental fruit fly)가 발견됨에 따라 과일과 채소의 이동을 제한하는 법적 통제가 시행되고 있음   - 노스쇼어 버크데일(Birkdale) 지역에 설치된 덫에서 수컷 동양과실파리 한 마리가 발견되었음   - 올해 들어 오클랜드에서 해당 해충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두 번째임. 첫 번째 사례는 파파토에토에(Papatoetoe) 지역에서 보고된 바 있음   - 뉴질랜드 생물보안국(Biosecurity New Zealand)의 마이크 잉글리스 커미셔너는 현재 해당 지역의 다른 덫에서는 추가적인 파리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음. 현재까지 번식..

[홍콩] 홍콩의 차(茶)시장 트렌드 분석 및 향후 전망

[홍콩] 홍콩의 차(茶)시장 트렌드 분석 및 향후 전망■ 치열한 경쟁 속 차별화된 맛과 제품 개발로 소비자 수요 확보홍콩의 차 시장은 오랜 역사를 지닌 성숙된 시장으로 홍콩 소비시장 공략을 위해 업계의 치열한 제품 개발과 프리미엄화 마케팅이 활발하고 전개되고 있는 추세이다. 홍콩 차 시장의 주요 선도 브랜드 중의 하나인 Lipton社는 작년 무설탕, 제로칼로리의 과일맛 콜드브루 티백 제품 3종을 출시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또 다른 현지 업체는 프리미엄화를 강조하기 위해 티백이 아닌 찻잎을 말린 상태로 현대적 감각으로 포장하였고, 와인 티, 진토닉 티, 위스키 티 등 다양한 상품군으로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한국의 차 전문 수출업체인 T사도 작년에 우엉차와 옥수수수염차를 유통매장에 입점시키면서 소비자들에게..

[말레이시아] 확장하는 K-베이커리 프랜차이즈

[말레이시아] 확장하는 K-베이커리 프랜차이즈 ❍ SPC그룹은 말레이시아 2선 도시 조호르(Johor)에 할랄 인증을 받은 파리바게뜨 제빵 공장을 준공   - 파리바게뜨 조호르 생산센터는 연면적 1만2900㎡ 규모로 7개 생산라인을 통해 하루 최대 30만개, 연간 최대 1억 개의    베이커리 제품을 생산 가능   - 말레이시아를 거점으로 무슬림 인구가 많은 주변국 동남아시아 및 중동국가 등 세계 할랄식품을 공급하는 허브로 활용할 예정    ❍ 파리바게뜨는 2022년 6월 현지 파트너사 버자야 푸드 그룹(Berjaya Food)과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말레이시아 시장에 진출  - 2023년 1월 수도 쿠알라룸푸르의 최대 사업지역인 부킷 빈탕(Bukit Bintang) 내 프리미엄 백화점 파빌리온(Pav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