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태국 건강보조식품 시장의 성장과 최신 트렌드

[출처 : Shopee 이미지]
▢ 주요 내용
1. 태국 건강보조식품 시장, 젤리형 제품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
ㅇ 태국 건강보조식품 시장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헬스케어 소비시장 중 하나로 꼽힌다. 2023년 기준 태국의 건강보조식품 시장 규모는 약 777억 바트(한화 약 3조 3천억 원)에 달하며, 2025년까지 연평균 5~8%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ㅇ 이 같은 성장은 주로 ① 건강에 대한 인식 변화, ②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 뷰티-웰니스 트렌드 확산, ③ 도시화와 고령화에 따른 기능성 제품 수요 증가 등 복합적인 요인에서 비롯되고 있다. 특히 MZ세대를 포함한 젊은 세대는 예방 중심의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건강보조식품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일상 습관’으로 인식하고 있다.
ㅇ 주목할 만한 점은 제품 형태의 다양화이다. 기존의 캡슐형이나 분말형 제품에서 벗어나, 젤리·구미(Gummy)·드링크 형태의 제품들이 각광받고 있으며, 이들 제품은 섭취의 간편성, 감각적 만족감(맛·향), SNS 공유에 적합한 디자인 등의 요소로 인해 특히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다.
2. 한국 연예인 이미지 활용, 태국 건강보조식품 마케팅 전략 강화
ㅇ 태국 건강식품 제조업체 C Drink Co., Ltd.는 자사의 신제품 ‘C2 비타민 젤리’ 출시와 함께 한국 배우를 글로벌 브랜드 앰버서더로 선정했다. 한국 배우가 보유한 아시아 전역에 팬층과 브랜드 인지도 확대 및 타겟 소비자층과의 정서적 연결을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평가된다. 특히 한국과 한국 배우의 이미지가 태국 내 건강한 이미지로 인식되고 있어, 최근 태국에서는 한국 연예인의 건강한 이미지와 인기를 활용한 마케팅이 식품 및 건강 제품의 인지도와 신뢰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인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3. 건강·뷰티 중심의 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기능성 제품 개발
ㅇ 또한, 태국 내 건강보조식품 소비자는 단순한 기능성보다는 ‘피부 미용+면역력+체지방 감소’와 같은 복합 기능성 제품을 선호하며, 성분 또한 천연 유래, 비건, 설탕 무첨가, 방부제 없는 제품 등 ‘클린 라벨(Clean Label)’을 중요하게 여기는 추세다.
ㅇ ‘C2 비타민 젤리’는 피부 건강과 항산화 효과에 도움을 주는 13가지 성분(토마토 추출물, 아세로라 체리, 글루타치온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무설탕·무방부제 제품으로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를 겨냥했다. 이는 건강과 뷰티를 동시에 추구하는 태국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며, 트렌디한 포맷(젤리형)과 맛있는 향(과일향) 등 감각적 요소도 함께 고려되어 제품의 매력을 어필하고 있다.
▢ 시사점
ㅇ 태국은 건강과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장으로, 특히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간편하고 트렌디한 섭취 형태를 갖춘 젤리형 보충제는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며 시장 내 영향력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건강식품을 일상적인 라이프스타일 요소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해짐에 따라, 건강보조식품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ㅇ 이번 C Drink의 사례에서 보듯, 태국 시장은 한국 연예인을 활용한 마케팅에 친숙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보인다. 한국의 건강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활용한 전략은 건강보조식품·기능성 음료 등 건강 관련 제품군의 현지 진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향후 태국 시장을 겨냥한 맞춤형 제품 개발과 더불어, 현지 문화와 정서를 고려한 마케팅 및 홍보 전략이 병행될 경우 한국 건강보조식품의 경쟁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ㅇ 출처 : https://www.naewna.com/lady/869331
https://marketeeronline.co/archives/336967
문의 : 방콕지사 김창호(atbkkho@at.or.kr)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UAE] 아랍에미리트의 독특한 미식 세계 (0) | 2025.03.31 |
---|---|
[싱가포르] 주류 소비 동향 및 한국 전통주 소비확산을 위한 프로모션 기회 (0) | 2025.03.28 |
인도 뭄바이서 맛보는 K-푸드…식품산업협회, 산업부ㆍKOTRA와 판촉전 개최 (0) | 2025.03.26 |
[인도네시아] 위험한 성분 포함한 가공식품에 대한 사회적 홍보 활동 실시 (0) | 2025.03.26 |
말레이시아 키덜트 시장의 새로운 유행, 블라인드 박스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