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203

소비자 ‘눈 건강’ 관심 최고…약국 건기식 판매 1위

소비자 ‘눈 건강’ 관심 최고…약국 건기식 판매 1위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3.12 07:57기능성 원료로 ‘루테인지아잔틴 추출물’ 5년 새 6배 증가EPA 등 고시형 원료 4종…개별인정형 6종한국암웨이·뉴트립 등 업계 신제품 개발 활발소비자들이 ‘눈 건강’ 건강기능식품을 가장 많이 찾는 것으로 나타났다.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 인구가 증가했기 때문인데, 이러한 기기에 자주 노출될 경우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 안구표면이 마르고 건조해진다. 게다가 건조한 겨울철 온풍기 등의 난방기구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니 눈이 건조함과 동시에 시력 감퇴까지 느끼기 때문이다.특히 눈은 신체 중 노화가 가장 빠른 기관이다. 40대 이후 수정체가 점점 경화되며 노안이 오고 이때 수정체의 탄력도가 떨어져 원근조절이 어렵..

식품뉴스 2025.03.12

세계 5위 캐나다 커피 시장…한국형 QSR도 확산

세계 5위 캐나다 커피 시장…한국형 QSR도 확산 배경호 기자 승인 2025.03.12 15:10성인 10명 중 7명 매일 마시는 인기 음료…31조 원 규모생산량 감소로 원두 가격 상승…일회용 커피 수요 증가혁신 기술 접목 로봇이 제조…AI로 수요 예측·품질 평가카페, 커피 외 식사하는 QSR 개념…햄버거·피자 등 제공파리바게뜨 진출 10개 매장 운영…한국식 편안한 공간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3년 세계 커피 시장 규모는 약 660조 8400억 원에 달하며 2028년에는 78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세계 커피 시장이 계속 성장하는 데는, 먼저 도시화의 진행과 함께 생활 수준의 향상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아‧태 지역의 도시화와 경제 성장이 커피 시장 규모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불합리한 수입식품관련 규제 대폭 개선...원료 공급 차질 시 용도변경 확대

불합리한 수입식품관련 규제 대폭 개선...원료 공급 차질 시 용도변경 확대 나명옥 기자 승인 2025.03.11 11:25 식약처, 글로벌 공급망 악화 대비 수입 식품원료 안정적 공급 추진행정구역 개편 따른 영업등록사항 변경 시 수수료 면제​​​​​​​수입식품 등 인터넷 구매대행업 범위, 수입신고 시 제품사진 기준 명확화식약처,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해외에서 수입되어 국내 대형 유통업체에서 판매되고 있는 치즈. 제품. 사진=나명옥 기자 전쟁 등 국제정세 변화로 수입이 어려운 제조용 원료까지 용도변경 승인 요건 확대된다. 또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영업등록사항 변경 시 수수료가 면제되는 등 불합리한 수입식품관련 규제 정책이 전향적으로 개선된다.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식품뉴스 2025.03.12

경쟁 치열한 중국 요식업 시장, 최신 트렌드 살펴보기

경쟁 치열한 중국 요식업 시장, 최신 트렌드 살펴보기트렌드중국상하이무역관2025-03-11출처 : KOTRA 중국 요식업 산업, 2024년 매출액 5억5000만 위안 돌파하며 안정적인 성장세 기록중국 요식업 경쟁 새로운 시대 맞아, 요식업 생존을 위한 차별화된 전략 필요중국의 요식업은 도시화와 중산층 확대를 기반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중국 요식업 시장의 진입 장벽이 낮아지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업들은 차별화된 가치로 소비자 니즈를 선점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는 단순한 트렌드 적응을 넘어, 혁신과 전략적 현지화의 융합이 성패를 가르는 시대가 도래했음을 의미한다. 차별화 전략은 중국 시장 진출에 있어 반드시 고려돼야 할 중요한 과제다.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중국 요식업 시장, 성장..

중국 2025.03.12

일본 Z세대의 똑똑한 소비 전략! 가성비를 추구하는 ‘제네릭◯◯’ 소비

일본 Z세대의 똑똑한 소비 전략! 가성비를 추구하는 ‘제네릭◯◯’ 소비트렌드일본도쿄무역관 진석순2025-03-11출처 : KOTRA 닮은 것, 비슷한 것... 가성비 좋은 대체품을 소비하는 '제네릭〇〇' 소비문화 강세디지털 네이티브인 Z세대의 소비 트렌드를 겨냥한 디지털 마케팅 활용 필요장기간에 걸친 경기 침체와 고용 불안, 코로나19 팬데믹, 인플레이션 등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소비자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젊은 세대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해 절약 성향이 강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네릭 ○○' 소비문화가 확산하는 추세다. 경제적 부담을 줄이면서도 고품질의 대체 제품을 선택하는, 이른바 '가성비' 소비를 똑똑하게 추구하는 이들에게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제네릭 소비에 대..

일본 2025.03.12

[브라질] 딸기 시장 동향

[브라질] 딸기 시장 동향1. 생산 현황- 브라질은 2023년 딸기 생산량 188천 톤을 기록하며 세계 딸기 생산량의 9위를 차지했다.- 미나스제라이스 주가 브라질에서 가장 많이 딸기를 생산하는 주며, 특히 해당 주 남부에 위치한 푸소 알레그리(Pouso Alegre)가 브라질 최대의 딸기 생산지이다. 미나스제라이스 주에서 생산되는 딸기 중 87%가 푸소 알레그리에서 나온다.- 브라질의 딸기 생산은 소규모 농가들로 분산되어 있다. 국립통계원(IBGE)의 Agricultural Census(2017)에 따르면 딸기는 주로 10헥타르 이하의 농가에서 생산되고, 그 중 0.5~1헥타르가 가장 흔하다. 이런 이유로 딸기와 관련된 최신 공식 통계가 빈약하다.- 주로 소규모 재배를 하는 이유는 정식, 관리, 수확에..

[미국] 한 입 크기 미니어처 스낵, 편리성과 식사량 조절 트렌드에 맞춰 인기 급상승

[미국] 한 입 크기 미니어처 스낵, 편리성과 식사량 조절 트렌드에 맞춰 인기 급상승 소비자들이 편리함과 식사량 조절을 중시하면서 미니어처 (miniature)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컨아그라 (Conagra), JM 스머커 (JM Smucker), 허쉬 (Hershey), 펩시코 (PepsiCo) 등 주요 스낵, 제과, 음료 브랜드들이 인기 제품을 미니 버전으로 재출시하거나 리브랜딩하고 있다. 이들은 미니 제품이 허용된 탐닉, 양 조절, 이동성과 공유의 편리함을 제공한다는 점을 소비자 혜택으로 내세우고 있다. 컨아그라 브랜드 (Conagra Brands)의 CEO 션 코놀리 (Sean Connolly)는 최근 뉴욕 소비자 애널리스트 그룹 (Consumer Analyst Group..

CJ프레시웨이, 저속노화 급식 캠페인 ‘슬로잇(SlowEat)’ 실시

CJ프레시웨이, 저속노화 급식 캠페인 ‘슬로잇(SlowEat)’ 실시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3.10 09:52‘맛있게 건강한’ 콘셉트로 잡곡밥, 녹색 채소류, 콩·달걀·두부 등 고단백 식재료 사용CJ프레시웨이가 저속노화 식단을 통해 급식 이용객의 건강한 식생활 관리를 돕는 ‘슬로잇(SlowEat)’ 캠페인을 실시한다.최근 저속노화식 트렌드가 급부상하며 급식업계에서도 건강 식단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오피스, 산업체 구내식당 등 직원 복지를 중시하는 사업장의 관심이 도드라지는 추세다. 이에 CJ프레시웨이는 저속노화식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건강식 캠페인을 통해 고품격 서비스를 전개한다.슬로잇 캠페인은 ‘맛있게 건강한’이라는 콘셉트로 매월 ‘슬로잇 데이’를 지정해 저속노화 식단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

식품뉴스 2025.03.10

[일본] 슈퍼마켓트레이드쇼를 통해 본 일본 냉동식품 시장

[일본] 슈퍼마켓트레이드쇼를 통해 본 일본 냉동식품 시장일본에서는 지난 2월 식품전시회인 「슈퍼마켓 트레이드 쇼(SMTS)」가 개최되었다. 일본 식품기업 약 100개 사가 참석한 이 전시회에서는 일본의 현재와 미래를 보여주는 다양한 상품이 소개되었는데 그 중 특별히 주목받은 것은 냉동식품 시장의 전시품이었다. ㅁ 일본 냉동식품 시장의 확대 경향‘전국슈퍼마켓협회’에 따르면, 일본의 냉동식품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중 가정 내 식사의 기회가 증가하며 주목받게 되었다. 또한 조리의 간편함을 이유로 냉동식품 품목을 확대하는 마트도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협회는 업소용 식품 업계에서도 인력난이 가속화되는 현재 상황에서 냉동식품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 전망했다. ‘일본냉동식품협회’에 따르면, 2023년 냉동식..

일본 2025.03.10

[일본] 일본 식품가격 상승에 따른 소비경향 변화

[일본] 일본 식품가격 상승에 따른 소비경향 변화[지구촌 리포트]▶ 일본의 식품가격 상승과 정부의 대처 최근 일본에서는 전반적인 물가 상승의 추세 속에 식품 가격 상승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2024년 12월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하였으며, 이는 40개월 연속 상승한 수치이다. 특히 쌀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64.5% 상승하여 1971년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하였고, 양배추 125.7%, 초콜릿 30.6%, 귤은 25.2% 상승폭을 보였다. 이러한 식료품 가격 상승은 엔화 약세와 수입 비용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2023년 가을 이후 둔화되었던 상승세가 최근 다시 가속화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2024년 7월에 2.9%였던 식료품 가격 상승률은 1..

일본 202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