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1391

[UAE] 아부다비 정부, 2025년 6월1일 부터 Nutri-Mark 도입 시행 발표

[UAE] 아부다비 정부, 2025년 6월1일 부터 Nutri-Mark 도입 시행 발표■ 주요 내용2024년 11월 26일, UAE 아부다비 품질준수 위원회(ADQCC)와 아부다비 공공보건 센터(ADPHC)는 영양가가 높은 제품을 강조하기 위해 포장 전면 영양 표시인 'Nutri-Mark' 도입 계획을 발표하였다.  아부다비 정부는 국민들의 높은 비만율을 개선하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조치로, 내년 2025년 6월 1일부터 새로운 영양 등급 제도인 ‘Nutri-Mark’를 도입할 예정이다. 주요 배경은 아부다비에서 과체중 및 비만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61%에 달하며, 그중 22%는 비만으로 분류된다. 특히 아동의 경우, 37%가 과체중 또는 비만에 해당하며, 이 중 18%는 비만으로 진단받아 이 제도에 ..

[사우디] 사우디아라비아 카페 시장 동향

[사우디] 사우디아라비아 카페 시장 동향■ 주요 내용사우디 아라비아는 가족 중심의 문화와 종교적 가치가 결합되어 출산율이 약 2.8명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사우디의 평균 가족 규모는 3.8명(사우디인 4.8명, 외국인 2.7명)으로 아랍권에서 인구가 네 번째로 많은 국가에 해당한다. 또한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유입으로 사우디의 인구 증가를 더욱 촉진하고 있다.2024년 기준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총 인구는 약 3,747만 명으로 예상되며, 그 중 25~54세 인구는 약 1,834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49%를 차지한다. 이는 사우디의 인구가 젊은 구성 비율이 높음을 나타내며, 이러한 인구 구조와 경제적 배경 속에서 커피와 음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태국] 태국의 쌀 산업 동향

[태국] 태국의 쌀 산업 동향[지구촌 리포트]▶ 태국의 쌀 생산 동향 · 쌀 농업은 전체 태국 농지의 49.1%를 차지하며, 520만 가구(농업 부문 전체 가구의 67.1%)가 이 산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생산량 기준으로 전 세계 쌀 생산량의 4.1%를 차지하고 있는, 태국에서 가장 중요한 농작물이자 주요 농업 수출 품목으로 꼽힌다. 2023년 태국의 쌀 생산량은 약 2,220만톤으로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세를 보여오고 있었다.*출처: Statista· 하지만 태국의 쌀 부서(Rice Department)는 2024년 엘니뇨의 영향으로 우기가 늦게 시작되고 가뭄으로 농업을 위한 물 공급이 감소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파종이 중단되거나 생산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태국의 쌀 생산량이 다른 ..

[베트남] 베트남 명절 식품 소비 동향

[베트남] 베트남 명절 식품 소비 동향[지구촌 리포트]▶ 베트남 명절 식품 소비 트렌드  ◦ 베트남의 가장 큰 명절은 구정으로, 현지에서는 뗏(Tết)으로 불린다. ‘25년도 베트남 구정 휴무일은 1월25일부터 2월2일까지 총 9일로, 연휴 기간 대부분의 가족이 고향으로 돌아가 구정을 보내며, 베트남의 소비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도 뗏 전후이다.  ◦ 이는 베트남의 기업문화인 13개월 급여 (lương tháng thứ 13)의 지급과 연관이 있으며, 설 상여금으로 통칭되는 이 금액은 통상적으로 기본 월급의 100%에서 많게는 600%까지 지급이 된다.  ◦ 연말 및 구정 물량 확보를 위해 현지 수입업체 및 유통 매장들은 이르면 11월부터 구정 물량 준비에 들어가며, 연휴시기 마트와 같은 다양한..

젊은 동남아 시장 ‘가공식품’ 성장 주목

젊은 동남아 시장 ‘가공식품’ 성장 주목 황서영 기자 승인 2024.12.16 07:55인구 7억 명에 연간 4∼5% 신장…판매액 4년간 36% 급증전자상거래 폭발적…식품 54-음료 32-유제품 13%음료, 프로바이오틱스 등 기능성 제품·커피 인기분유·성인용 영양 분유, 베트남·인니·말련이 절반귀리음료 등 식물성 식품, 태국·싱가포르 잘 나가웰빙·전통식품 현대적 풍미에 친환경 포장 증가 동남아시아 식품시장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 주목을 받고 있다. 전 세계 경제가 불황으로 인한 불확실한 미래 구조를 띠는 반면 동남아시아는 인구 증가와 빠르게 확장되는 전자상거래로 강력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실제 약 7억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동남아시아 지역은 젊은 인구 통계적 프로파일을 가지고 있다. 인도..

[UAE] 식품 영양 라벨 공개 (2025년 6월 1일 도입 계획)

[UAE] 식품 영양 라벨 공개 (2025년 6월 1일 도입 계획)UAE 비관세장벽 이슈   UAE, 국제식품전시회에서 식품의 영양 가치를 나타낸 뉴트리-마크(Nutri-Mark) 발표2024년 11월 26일, 아부다비 품질 및 적합성 위원회(ADQCC)와 아부다비 공중보건센터(ADPHC)는 아부다비 국제 식품 전시회(ADIFE) 2024에서 Nutri-Mark라는 새로운 영양 라벨을 발표함. 라벨은 소비자들이 더 건강한 식품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품의 영양 가치를 A부터 E까지 등급으로 나타냄 1. 배경: UAE의 2023년 비만 연구에 따르면 성인의 27.8%와 어린이의 17.3%가 비만으로 고통받고 있음. 이러한 통계를 바탕으로 UAE 정부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촉진하기 위한 체계적 ..

[UAE] UAE 2024년 최식 식문화 트렌드

[UAE] UAE 2024년 최식 식문화 트렌드[지구촌 리포트]▷ UAE 최신 식문화 트렌드 UAE는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글로벌 허브로, 전통 아랍요리와 글로벌 요리가 독특하게 융합된 식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UAE는 전체 인구의 88% 이상이 외국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아시아계 59.4%(인도계 38.2%, 방글라데시계 9.5%, 파키스탄계 9.4%, 기타 2.3%), 이집트계 10.2%, 필리핀계 6.1%, 동아시아 및 유럽인 등 기타 12.5%로 중동에서 가장 높은 외국인 구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외국인 비율이 높은 탓에 중동 국가이긴 하지만 다양한 국가의 외식 문화가 오랫동안 자리 잡고 있으며, 비무슬림도 즐길 수 있는 돼지고기 및 주류 판매 식당들도 점차 늘어나..

[말레이시아] 한국산 조미김 소비 동향

[말레이시아] 한국산 조미김 소비 동향 ❍ 말레이시아 내 한국산 김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수입량도 지속 증가추세   - 말레이시아 내 한국산 김은 좋은 품질 및 우수한 맛으로 현지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어 높은 단가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수요가    받쳐주고 있음     - 한국산 김을 수입하는 현지 바이어에 따르면 김 판매량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일부 바이어는 전년 대비 매출이 50% 이상    증가했다고 밝힘對말레이시아 한국산 김 수출 동향>(단위 : 천$)2020202120222023~2024.103,095.74,488.44,284.04,005.74,418.5 * 출처 – KATI ▲ 한국을 방문한 현지 관광객 김 관련 인터뷰 장면 * 출처 – SBS  ❍ 최근 대형유통매장을 중심으로..

싱가포르 베이커리 시장 동향

싱가포르 베이커리 시장 동향상품DB싱가포르싱가포르무역관 윤지선2024-12-12출처 : KOTRA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이 반영된 특색 있는 제품군의 수요 증가고급화 전략으로 싱가포르 시장을 공략 중인 베이커리 업계싱가포르 베이커리 시장 규모 다민족 다문화 국가인 싱가포르에서는 현지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이 반영된 특색 있는 베이커리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건강한 고려한 제품군부터 프리미엄 제품군까지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싱가포르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또한 싱가포르 전역에서는 해외 유명 베이커리 프렌차이즈 매장을 쉽게 찾아볼 수 있기도 한다. Floss bun가 주력 제품인 Bread Talk나 레몬 타르트로 유명한 Tiong Bahru Bakery 같은 베이커리 기업들이 싱가포르에서 어..

[싱가포르] 식품 안전 및 보안 법안 도입 계획 발표

[싱가포르] 식품 안전 및 보안 법안 도입 계획 발표싱가포르 비관세장벽 이슈   싱가포르, 식품 안전 제도를 강화하여 안전 법안 적용 범위 확대 및 처벌 강화 계획 발표싱가포르 지속가능성 및 환경부(The Ministry of Sustainability and the Environment)는 식품 안전 및 보안 법안(FSSB, Food Safety and Sustainability Bill)을 의회에 제출함. 제안된 법안은 식품 관련 법규를 통합하고 안전을 강화하며, 식량 안보를 위한 과제를 수립하여 추진하고자 함. 이번 법안은 기존 법률의 정비와 더불어 새롭게 강화된 규제를 포함하며, 소비자 및 식품업계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됨 1. 배경 : 2023년 8월부터 싱가포르는 업계 이해관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