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스낵 소비 수요 지속 증가
중국 스낵 소비 수요 지속 증가
최근 억자국제(亿滋国际)에서 발표한 <2024년 글로벌 스낵 현황 보고서>(이하 보고)에 따르면 스낵 소비가 점차 다원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건강, 편의성, 즐거움, 사회적 교류 등 다양한 수요를 반영하고 스낵류를 구매하고 있다.
1. 스낵류 소비 증가 추세
보고에 따르면 지난해 스낵류 소비는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으며, 스낵류 소비는 이미 정식 식사 소비를 앞지르고 있다고 한다. 보고서 내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1일 식사 횟수는 평균 2.28회이며, 스낵류 또는 식사대용품 섭취 횟수는 일평균 2.22회로 나타났다. 91% 이상의 응답자는 하루 1번 이상 스낵류 제품을 섭취하고, 66%의 응답자는 스낵 없이 일상을 보낼 수 없다고 답했다. 이 응답자 중 73% 소비자는 밀레니엄 세대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는 식사보다 스낵을 통해 더 많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다고 나타났고, 응답자의 53%는 식사보다 스낵을 섭취하는 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MZ세대 중 65%는 1년 전과 비교하였을 때 현재 소비하는 스낵류가 더 많다고 답하기도 했다. 스낵 선호도 조사에 따르면 62% 소비자는 하루에 여러 번 소량으로 스낵을 섭취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2. 스낵 소비를 통한 감정적 수요 충족
보고에서는 감정적 요소가 스낵 소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언급했다. 젊은 층 소비자일수록 스낵을 통해 소비자 간의 감정적인 연결을 형성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난다고 덧붙였다. 약 80% 소비자는 “식품은 세계적으로 사랑을 표현하는 언어”라는 말에 공감한다고 응답했으며, 77%의 소비자는 ‘지난 6개월 동안 식품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 소통이 형성됐다’고 응답했다. 많은 소비자는 바쁜 일상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스낵을 타인과 공유함으로써 소통에서 오는 순수한 즐거움을 다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실제로 소비자는 스낵을 통해 감정을 증진시키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80% 소비자는 "때로는 사랑하는 사람과 맛있는 간식을 나누기 위해 더 많은 칼로리를 섭취해도 괜찮다"라고 답했다.
스낵은 점차 단순한 맛의 기능을 넘어 감정 교류와 사회적 교류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스낵을 통한 감정적 연결이 특히 두드러지고 있다. MZ세대 중 94%는 특별한 순간에 타인과 스낵을 공유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65% 소비자는 스낵이 일상의 고민을 잠시 잊게 해 준다고 답했다. 특히 스트레스가 많은 환경에서 스낵은 중요한 감정 조절 도구가 되고 있다. 소비자의 정신적 건강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스낵은 감정적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되고 있다.
3. 스낵류 구매 추세
소비자는 스낵류 구매 시에도 영양 가치와 제품의 품질을 중요시하고 있다. 74% 소비자는 영양가치가 높은 스낵류를 더 좋아한다고 답했으며 기존에 구매해 왔던 스낵을 더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교체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개인의 취향 또한 스낵류 구매 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66% 소비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스낵제품을 찾기 위해 여러 매장에 방문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중국 내 성장하는 스낵 전문매장부터 소셜미디어 플랫폼까지 소비자는 다양한 채널에서 제품을 구매할 수 있고 브랜드 스토리를 알아볼 수 있다. 스낵 제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채널 중 뉴미디어 플랫폼의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작년 한 해 동안 소셜미디어를 통해 스낵 제품 정보를 얻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64%에 달했고, 이 수치는 전년 대비 4%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숏 클립 영상, 식품 블로그, 온라인 커뮤니티 등 채널은 스낵 제품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주요 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출처: http://www.cnfood.cn/article?id=1891658306562396161
문의 : 베이징지사 박원백(beijingat@at.or.kr)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시아 건기식 시장] 중국, 젊은 어르신 ‘액티브 시니어’ 주소비층 부상 (0) | 2025.02.22 |
---|---|
[대만] 대만 스낵 제품 시장 트렌드 (0) | 2025.02.21 |
[중국] 중국, 2024년 4분기 오프라인 소매시장 소비현황 (0) | 2025.02.17 |
[대만] 대만 타이난시, 수입산 버섯에서 카드뮴 기준치 2.5배 초과 발견 (0) | 2025.02.15 |
[홍콩] 2025년 홍콩 식품 트렌드 전망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