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 2024년 4분기 오프라인 소매시장 소비현황
[지구촌 리포트]
통계데이터는 마상잉(马上赢) 오프라인 소매 모니터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중국 전역 현급 이상 각급 도시(향, 진, 촌 제외), 핵심 도시 등을 대상으로 업태는 대·소형마트, 편의점, 식료품점(규모가 가장 작은 소매 업태, 주로 사탕·과자·음료·담배·술·일용품 등을 판매함)을 포함한다. 조사대상인 매장 내 주문 거래는 실시간 POS기 데이터로 자동 집계된다. 현재 오프라인 소매 모니터링 네트워크에는 브랜드가 30만 개 이상, 상품 바코드 수량이 1,400만 개 이상, 연간 주문 수량이 50억 건을 초과한다.
아래 내용은 2024년 4분기의 오프라인 소매 소비상황을 요약한 것으로, 참조 대상 중 전년 동기 대비 대상은 2023년 4분기, 전월 대비 대상은 2024년 3분기이다. 조사대상이 되는 매장은 2025년 1월 이전 15개월 동안 마상잉(马上赢) 오프라인 소매 모니터링 네트워크에서 집계되어, 23년 4분기, 24년 3분기 및 24년 4분기 조사 매장의 규모는 동일하게 일치하여 조사대상의 일관성을 보장한다.
▶ 전체 개요
2023년과 2024년 4분기의 동일 매장 내 식품, 음료, 주류, 일용품 등 4가지 주요 부류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지표는 매출액 및 주문량, 주문당 평균금액으로, 2024년 4분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23%, 3.40% 및 6.03%가 감소했다. 하지만 2024년의 지난 세 분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액과 주문당 평균금액에서 하락 폭이 어느 정도 축소되었다.
- 3분기 분석결과

- 2분기 분석결과

- 1분기 분석결과

연간 4분기 데이터를 관찰한 결과, 1분기의 춘절 요인 외 주문량의 전년 동기 대비 감소폭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매출액과 주문당 평균금액의 하락 폭이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한편으로 전체 소비재 가격이 회복되는 것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주문당 평균금액의 하락 폭이 축소되는 이유는 소비자 신뢰가 회복되고 있음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상잉(马上赢) 가격지수 중 식품, 음료 및 주류 부류의 가격지수 변화를 바탕으로 정리한 표로, 2024년 4분기에 세 가지 주요 부류의 가격지수가 모두 연중 최고 수준에 달한 것이 눈에 띈다. 또한, 식품과 음료 부류의 가격지수가 하반기에 일정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류별 가격지수는 여전히 기준선인 100을 밑돌고 있지만 회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주요 부류별 시장점유율 분석 결과
앞서 언급한 4가지 주요 부류의 품목 중 오프라인 소매 채널에서 판매 규모가 비교적 큰 일부 선포장식품 품목*을 기준으로 시장점유율에 대한 추가 비교를 진행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식품 : 즉석 소시지, 순우유, 요구르트, 성인분유, 치즈, 냉동 탕위안(速冻汤圆), 냉동 교자, 냉동 딤섬, 견과류, 팽화식품, 육포, 서양식 과자, 젤리/푸딩, 초콜릿, 과자, 라면, 뤄쓰펀(螺蛳粉), 쏸라펀(酸辣粉)
**음료 : 탄산음료, 즉석 주스, 식물성 단백질 음료, 이온음료, 즉석 차음료, 즉석 밀크티, 유음료, 유산균음료
- 비고 : 4분기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식품, 음료 카테고리에 겨울 계절적 특성을 가진 품목을 추가·조정하였다

식품 부류를 분석해보면, 겨울에 인기 있는 냉동 품목으로 냉동 딤섬과 냉동 탕위안의 동기대비 시장점유율은 냉동 교자보다 훨씬 높았다. 이는 소비자가 단순한 요깃거리 수요보다 탕위안, 딤섬 등 정서적 가치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제품의 참신함을 추구하는 소비로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즉석 면류인 라면, 뤄쓰펀(螺蛳粉), 쏸라펀펀(酸辣粉)은 전년 동기대비 시장점유율의 증가율이 상반된다. 라면이 +5%의 시장점유율로 상위권에 있는 반면 뤄쓰펀과 쏸라펀은 -13%의 성장률로 거의 최하위를 기록하여 즉석식품 선택에서 소비자의 선택이 라면으로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성인분유는 지속해서 성장 추세를 이어가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순우유와 요구르트 등의 시장점유율도 일정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육포, 젤리/푸딩 등은 여전히 마이너스 증가율을 유지하고 있다. 견과류도 4분기에 시장점유율 동기대비 수치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음료 부류에서 식물성 음료는 전년 동기 대비 시장점유율의 증가율 1위 품목이며, 2024년 하반기에 큰 인기를 끌었던 품목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37.01%에 달하며 매우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다. 이에 비해 이온음료는 지난 2년 동안 인기 있는 품목으로, 성장 속도가 줄지 않고 여전히 17.99%의 높은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 또 다른 성장 품목인 유음료는 2024년 글로벌 마케팅(이리(伊利)는 2024년 파리 올림픽 중국 스포츠 대표단의 공식 유제품 파트너가 되었음) 영향을 받아 카테고리 전체의 회복을 이끌었으며, 잠재력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즉석 주스도 어느 정도 상승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즉석 차음료는 2023~2024년에 가장 인기 있는 음료 품목으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 속도가 빠르게 둔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2023년 4분기부터 시장점유율이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이미 높은 기준에 달했음과 관련이 있다.
시장점유율이 감소한 품목 중 식물성 단백질 음료, 즉석 밀크티, 즉석 커피는 전통적으로 겨울철에 강세를 보였던 음료 카테고리였으나, 현재는 눈에 띄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수제 차음료 전문 판매점의 다양한 음료 판매를 포괄하고 지속적인 가격 경쟁과 관련이 있다. 유산균음료의 시장점유율이 감소한 이유는 소비자들이 유산균 기능 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짐에 따라, 더이상 맹목적으로 구매하지 않으며 기능성 음료 제품이 풍부해져서 이 품목의 경쟁이 치열해졌기 때문이다.
▶ 업태별, 지역별 소비상황

4분기에는 각 업태의 매출액, 주문량 및 주문당 평균금액이 여전히 전반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하락하는 추세이다. 이 중 매출액을 보면 대형 슈퍼마켓, 식료품점, 편의점은 마이너스 10% 이하, 대형마트와 소형 슈퍼마켓은 마이너스 10% 이상을 기록하였다.
각 업태의 주문량 및 주문당 평균금액은 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규모가 큰 업태 주문량은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2% 이내로 변화하였으나, 주문당 평균금액이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5% 이상을 기록하였다. 주문당 평균금액의 감소가 매출액 감소의 주요 요인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규모가 작은 업태의 경우, 주문량은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5% 이상, 주문당 평균금액은 마이너스 5% 이내로 나타났다. 이는 쇼핑빈도의 감소가 규모가 작은 업태의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되었다.

▶시사점
출처: https://www.jiemian.com/article/12210926.html
문의 : 상하이지사 정하패(penny0206@at.or.kr)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만] 대만 스낵 제품 시장 트렌드 (0) | 2025.02.21 |
---|---|
[중국] 스낵 소비 수요 지속 증가 (0) | 2025.02.21 |
[대만] 대만 타이난시, 수입산 버섯에서 카드뮴 기준치 2.5배 초과 발견 (0) | 2025.02.15 |
[홍콩] 2025년 홍콩 식품 트렌드 전망 (0) | 2025.02.15 |
[중국]2025년 중국 오프라인 소매업계 현황 및 전망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