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413

[중국] 유니레버 통해 살펴본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

[중국] 유니레버 통해 살펴본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글로벌 소비재 대표 그룹인 유니레버는 조용한 혁신이 진행 중이다. 유니레버는 ‘소셜 퍼스트’ 마케팅 신시대를 목표로, 미디어 예산의 최대 50%를 소셜미디어에 투자하고 KOL 협력 규모를 20배로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러한 급진적인 전략은 구조조정과 마케팅 투자 15.5% 증액이라는 배경에서 진행되고 있다. 2024년 31억 달러에서 2025년 51억 달러(한화 약 6조 7,000억 원)로 증가한 예산이 소셜미디어에 집중될 전망이다. 유니레버는 ‘소비자들이 기존 기업이 전달해주는 정보에 대한 경계심을 강화함에 따라 브랜드는 전통적 광고에서 벗어나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인플루언서 마케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

중국 2025.04.12

[홍콩] 홍콩 신선 야채 시장, 2030년까지 연평균 5.37% 성장 전망

[홍콩] 홍콩 신선 야채 시장, 2030년까지 연평균 5.37% 성장 전망■ 신선 야채 시장 현황홍콩의 신선 야채(Fresh Vegetables*) 시장 규모는 코로나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으며 앞으로도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홍콩의 신선 야채 제품 매출액은 2023년 대비 5.9% 증가한 약 USD 4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2025년에는 매출액이 USD 44억 달러에 이를것으로 예상되며 아울러 2030년까지 연평균 5.37%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 Fresh Vegetables : ‘Cabbage Vegetables, Leafy Vegetables, Onions, Potatoes, Root Vegetables & Mush..

중국 2025.04.12

[중국] 스낵류 산업의 발전

[중국] 스낵류 산업의 발전중국 스낵 산업의 발전  최근 중국 소비 업그레이드 추세 속 스낵 산업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소비 트렌드가 진화하고 있다. 칸써(Kan Ce) 소비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이하 보고서)에서는 중국 스낵 산업이 건강화, 시나리오화, 디지털화의 동력으로 지속적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스낵 산업은 2020~2022년 산업 성장세가 다소 주춤했으나 대량 유통 모델의 등장과 소비 시장 회복으로 다시 성장 궤도에 올랐다. 지난해 중국 스낵류 시장 규모는 1.4조 위안(한화 약 280조 원)에 달하며 강한 시장 활력과 성장 잠재력을 보였다.   현재 중국 스낵류 시장은 '기초 품목 기반, 신규 품목 성장, 틈..

중국 2025.04.12

중국 즉석죽, 건강식 부상…식품 기업 외 유통사 진출

중국 즉석죽, 건강식 부상…식품 기업 외 유통사 진출 배경호 기자 승인 2025.04.11 10:51위장 건강·영양 보충…고객 충성도 높아 반복 구매신제품 800종…물 부어 완성하는 ‘동결건조’ 잘 나가망고 등 활용한 디저트화…한방 소재 기능성 제품도 그동안 큰 주목을 받지 못했던 중국의 즉석죽 시장이 최근 간편식과 건강식 트렌드의 확산, 경제성, 그리고 낮은 진입 장벽 등으로 현지에서 주목받는 분야로 부상하고 있다.KATI에 따르면, 최근 중국 즉석 죽 시장이 확대되면서 하이푸셩과 즈스 등 현지 식품기업이 잇따라 관련 사업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가운데 샘스클럽, 허마, 푸푸마트 등 유통기업도 즉석죽 PB제품을 출시하며 시장 경쟁에 뛰어들었다.이는 소비 시장 확장과 편의성 및 건강 수요 증가, 유통 채널..

중국 2025.04.12

중국 라벨 사항 개정…알레르기 표시 의무화

중국 라벨 사항 개정…알레르기 표시 의무화 배경호 기자 승인 2025.04.11 10:50영양 성분에 설탕·포화지방 추가…디지털 라벨 도입2년 유예…2027년 3월16일 시행중국의 포장식품 중문라벨 및 영양성분 표시사항이 최근 개정돼 수출 시 주의가 요구된다.KATI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및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50개의 국가식품 안전표준과 9개의 표준 개정안을 발표했다. 이 가운데 식품라벨 표준은 식품 표시 요구사항을 전면적으로 최적화하고 개선했으며, 식품 디지털 표시도 적용해 소비자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아울러 개정안은 2년 간 유예 기간을 두고 2027년 3월 16일부터 정식으로 실시된다.주요 개정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알레르기 유발 물질 표시화를 의무화했다. 따라서 글..

중국 2025.04.12

중국, 간편식 시장 급성장…2026년 200조 원 돌파 예상

중국, 간편식 시장 급성장…2026년 200조 원 돌파 예상 배경호 기자 승인 2025.04.11 10:42맛있고 저렴…도시 출근자 70% 주 2회 이상 구입라면·즉석밥·빵·만두 등 자주 구매…소포장 인기2030 새로운 메뉴 시도…매운맛 라면 5억 개 판매중국 간편식 시장이 도시화와 1인 가구 증가로 급성장하고 있다.코트라 칭다오무역관이 아이미디어 리서치 데이터를 인용한 바에 따르면, 2023년 중국 간편식 시장 규모는 한화 약 135조 6300억 원에 달했다. 또한 2026년에는 200조 원을 돌파해 2021년 대비 5년 만에 시장이 두 배 이상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이는 중국의 빠른 도시화에 따른 소비자 생활 방식의 변화와 관계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도시 상주인구 비율은 2010년 ..

중국 2025.04.12

‘윈난성 원두’ 세계 고급 커피 시장의 새로운 공급처로 주목

‘윈난성 원두’ 세계 고급 커피 시장의 새로운 공급처로 주목 배경호 기자 승인 2025.04.09 07:53고지대 ‘아라비카’ 재배 적합…자국 원두 생산 98% 차지작년 수출 3.5배 늘어난 3만2500톤에 금액 1억 불 넘어유기농 등 글로벌 인증…스페셜티 커피로 경쟁력 확보네슬레 주요 수입업체로 참여…글로벌 진출 확대 선도한국도 직거래 늘려…13위 조달처로 연간 수입 13%↑세계 커피 시장에서 윈난성 원두가 스페셜티 커피의 새로운 공급처로 입지를 넓혀 가고 있다.코트라 청두무역관에 따르면, 2024년 윈난성 원두커피 수출량은 3만2500톤을 기록했다. 이는 브라질 250만 톤, 베트남 150만 톤과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지만 전년 대비 무려 358%나 증가한 수치다. 또한 수출액도 전년 대비 3배 성장..

중국 2025.04.10

中 청두 ‘전국당주상품교역회’서 K-FOOD 905만 달러 규모 계약

中 청두 ‘전국당주상품교역회’서 K-FOOD 905만 달러 규모 계약 나명옥 기자 승인 2025.04.04 13:30 전국당주상품교역회 통합한국관. 사진=aT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홍문표)는 25일부터 27일까지 중국 청두에서 열린 ‘전국당주상품교역회(CFDF)’에 통합한국관으로 참가, 905만 달러 규모의 MOU와 현장 계약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1955년 시작돼 올해로 112회를 맞은 전국당주상품교역회는 중국 서부 내륙 최대 규모 식품박람회로, 이번 행사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싱가포르, 캐나다, 태국 등 52개국에서 2000여 식품·주류 브랜드가 참가했으며, 43만 명 이상이 방문했다.정부와 aT는 중국 2선 시장 개척을 위해 이번 박람회에 처음으로 참가, 통합한국관을 꾸렸다. ..

중국 2025.04.07

[중국] 연간 매출 6천억, 곤약 가공품의 성장

[중국] 연간 매출 6천억, 곤약 가공품의 성장3월 27일, 웨이룽(卫龙)은 2024년 재무 보고서를 공개했으며, 회사의 총 수익은 62.67억 위안(약 1조 2,51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8.6% 증가했다. 연내 이익은 10.68억 위안(약 2,13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3% 증가했다. 실적 고성장의 요인은 채소 제품의 폭발적인 성장이었다.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부류는 30억 위안(약 6천억 원)이 넘는 매출로 실적 성장의 새로운 엔진으로 부상하며 단숨에 전 품목 중의 새로운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웨이룽(卫龙)은 채소 가공품(주로 머위솽(魔芋爽, 곤약 스낵), 미역 제품, 샤오뭐뉘(小魔女, 곤약을 활용하여 소의 위와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진 스낵)) 등의 수..

중국 2025.04.04

[중국] 2025년 식품 소비 6대 트렌드 전망

[중국] 2025년 식품 소비 6대 트렌드 전망중국, 2025년 식품 소비 6대 트렌드 전망  중국 국무원이 3월 중순 발표한 (提振消费专项行动方案)에 따라 식품 소비 시장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전망이다. 13일 사천성 성도(成都)에서 열린 제112회 전국당주상품교역회(CFDF)에서는 식음료 산업 발전 대회를 개최하며 (2025中国食品消费趋势白皮书이하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식품 소비에 있어 핵심적인 6대 방향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최근 5년간 중국 소비 시장의 변화를 ▲건강·온라인 소비 확대 ▲신기술 도입 가속 ▲문화·관광 소비 증가로 분석하며, 2025년 중국 식품 소비 6대 트렌드를 아래와 같이 전망했다. 1. 오프라인-온라인 통합 구조 구축 보고서는 시장에서 공급망을 최적..

중국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