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홍콩 신선 야채 시장, 2030년까지 연평균 5.37% 성장 전망
■ 신선 야채 시장 현황
홍콩의 신선 야채(Fresh Vegetables*) 시장 규모는 코로나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으며 앞으로도 성장세를 이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홍콩의 신선 야채 제품 매출액은 2023년 대비 5.9% 증가한 약 USD 4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2025년에는 매출액이 USD 44억 달러에 이를것으로 예상되며 아울러 2030년까지 연평균 5.37%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 Fresh Vegetables : ‘Cabbage Vegetables, Leafy Vegetables, Onions, Potatoes, Root Vegetables & Mushrooms, Tomatoes 그리고 Other Fresh Vegetables로 이루어진 제품군

■ 엽채류(Leafy Vegetables) 제품 선호
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홍콩의 신선 야채(Fresh Vegetables) 제품군 중 시장 규모가 가장 큰 품목군은 엽채류(Leafy Vegetables**)이며 2024년 해당 제품군의 매출액은 전년 대비 5.7% 증가한 USD 12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엽채류 제품군은 2030년까지 평균 5.2%의 매출성장률을 이어가며 2030년에는 약 USD 17억 달러의 매출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Leafy Vegetables: 배추, 상추 등의 제품을 포함하는 제품군으로 Chinese celery, Celery, Tientsin cabbage, Mini Tientsin cabbage, Green Chinese cabbage, Chinese white cabbage, Watercress, Matrimony vine, Pea shoot, Indian lettuce, Mustard leaf, Chinese kale, Curly kale, White mugwort, Emperor vegetable, Garland chrysanthemum, Chinese spinach, Wild amaranth, Water spinach, Spinach, Flowering Chinese cabbage, Indian spinach, Chinese flat cabbage, Chinese lettuce, Iceberg lettuce, Cabbage Cauliflower, Broccoli, Chinese chive Bud chive 가 이에 해당한다.

■ 신선 야채 시장 전망
홍콩 신선 야채(Fresh Vegetables)에 대한 수요는 신선함과 품질을 중요시하는 홍콩 소비자들의 기호와 더불어 건강을 우선시하면서도 고품질을 추구하는 젊은 소비층 증가와 맞물려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유기농 신선 야채 시장이 더욱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홍콩의 유기농 신선 야채 제품을 포함한 유기농 식품의 경우 2024년 8월 조사기관 Euromonitor에서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7년까지 평균 4.9%의 성장률로 2027년에는 포장 유기농 식품(Organic Packaged Food***)의 소매판매액이 약 USD 1.2억 불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 Organic Packaged Food: Organic Snacks, Organic, Dairy Products and Alternatives, Organic Cooking Ingredients and Meals, Organic Staple Foods로 이루어진 제품군으로 이중 ‘Organic Staple Foods’에 ‘Organic Processed Fruit and Vegetables’가 포함되어 있다.

■ 시사점
글로벌 OTT 플랫폼 내 한국 관련 콘텐츠 인기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 요리와 식품에 관해 관심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의 고유한 맛과 문화를 선호하는 경향 역시 생겨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지 소비자들에게 한국인들이 일상에서 즐겨 섭취하는 한국 신선 채소와 다양한 유기농 신선 제품의 특장점을 홍보함으로써 홍콩 소비자들의 한국 신선 야채류에 관심을 더욱 높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출처:
- 스태티스타(Statista) 유료 정보 조사기관 정보 (Market Insight > Fresh Vegetables Hong Kong, China)
- 유로모니터(Euromonitor) 유료 정보 조사기관 정보 (Health and Wellness in Hong Kong, China)
- 홍콩식물환경위생서(Food and Enviromental Hygiene Department)에서 정의하는 Leafy Vegetable 구분
문의 : 홍콩지사 허진규(paul.hur@at.or.kr)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식품라벨 표시 기준 전면 개정 발표 (2027년 3월 16일 적용) (0) | 2025.04.16 |
---|---|
[중국] 유니레버 통해 살펴본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 (0) | 2025.04.12 |
[중국] 스낵류 산업의 발전 (0) | 2025.04.12 |
중국 즉석죽, 건강식 부상…식품 기업 외 유통사 진출 (0) | 2025.04.12 |
중국 라벨 사항 개정…알레르기 표시 의무화 (0) | 2025.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