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402

[홍콩] 2025년 홍콩 식품 트렌드 전망

[홍콩] 2025년 홍콩 식품 트렌드 전망[지구촌 리포트]▶ 홍콩의 식품 시장 현황  국제 리서치 기관인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홍콩의 식품 매출액은  USD 46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2023년 USD 45억 달러 보다 약 0.7% 증가한 수치이다. 2025년 식품시장 규모는 USD 5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식품 시장 규모는 연평균 1.66%의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5년 식품 트렌드 1. 건강 관련 식품  홍콩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은 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비건 정보 플랫폼인 Taste of Veg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2023년에 비해서 홍콩의 채식주의자 및 비건 인구가 14%..

중국 2025.02.15

[중국]2025년 중국 오프라인 소매업계 현황 및 전망

[중국]2025년 중국 오프라인 소매업계 현황 및 전망[지구촌 리포트] 중국의 소매업계에 대한 낙관론과 비관론의 시각차이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낙관론자는 명창유품(名创优品)의 창시자인 엽곡부(叶国富)가 대표적이다. 오프라인 매장의 라이징스타로 떠오른 팡둥라이(胖东来) 매장을 눈여겨보면 엽CEO는 작년 63억 위안(한화 약 1조 2,600억 원)을 투자하여 오프라인 유통매장 융후이를 인수하였으며, 팡둥라이와 같은 유통매장으로 업그레이드 하겠다고 선포했다. 일부는 오프라인 유통매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의 리스크가 크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엽CEO는 소매업계에 대한 낙관적인 판단으로 유통매장 인수를 결정하였다.   이에 반해 비관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알리바바 산하의 오프라인 유..

중국 2025.02.15

[중국] 간식 제품의 건강 트렌드

[중국] 간식 제품의 건강 트렌드중국 간식 제품의 건강 트렌드   최근 소비 생활의 질이 지속적으로 향상하면서 소비자들은 삼시 세 끼뿐만 아니라 간식도 건강하게 먹는 것을 원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관념이 간식 산업의 발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한다. 소비자들의 건강과 복지에 대한 수요는 간식 제품 소비의향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간식 제품 브랜드 사에서는 시장 동향을 정확히 파악하고 기술 개발과 기업 경영을 통해 소비자의 건강 수요와 식습관에 부합하는 고품질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건강 간식이라는 새로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최근 Innova에서 발표한 (이하 보고서)에서 소비자조사, 신제품 현황, 건강 발전 추이 등 측면에서 건강 간식 산업 트렌드를..

중국 2025.02.15

[중국] 유제품 시장 내 수급 전환점 기대

[중국] 유제품 시장 내 수급 전환점 기대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초 내몽골, 허베이, 닝샤, 산둥, 간쑤 등 중국 10대 주요 생산 지역의 젖소 사육두수는 550만 마리로 전년대비 감소했으며, 3분기에는 사육 두수가 513만 마리로 연초 대비 감소하였다. 이는 업계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 증가를 가져왔고, 연간 원유 생산량 감소폭은 젖소 감소폭보다 낮았다.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원유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으며, 그중 2024년 4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9.0% 감소했다.   2024년 12월 중순, 주요 생산 지역의 대용량 우유 가격이 한때 킬로그램당 3위안의 고점까지 올랐으나, 소비 부진으로 인해 킬로그램당 2.3위안으로 빠르게 하락하여 시장의 극..

중국 2025.02.15

[마켓트렌드]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 고령화와 건강 관심 증가로 급성장

[마켓트렌드]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 고령화와 건강 관심 증가로 급성장 김민 기자 승인 2025.02.04 06:00지난해 전년비 17.4% 증가한 1조 1100억 원 규모 형성65세 이상 인구 17.6% 차지...올해 초고령사회 진입 전망최근 대만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코트라 타이베이무역관이 시장 조사 업체 Kantar Taiwan이 발표한 ‘2024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 트렌드 보고서’를 인용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만 인구의 절반 이상인 100명 중 55명이 지난 1년간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했으며, 1인당 연평균 소비 금액은 약 8,600대만 달러(약 38만 2,100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Kantar Taiwan ‘Tai..

중국 2025.02.09

[중국] 유통기업, 기존 매장의 안정화 전략 돌입

[중국] 유통기업, 기존 매장의 안정화 전략 돌입  중국 프랜차이즈 협회는 최근 ‘2024년 중국 체인형 슈퍼마켓 발전상황 개요'를 발표했으며, 이번 조사의 유효 샘플에는 47개의 유통매장 기업과 1만여 개의 매장이 해당되며, 연간 총 매출액은 약 3,000억 위안에 달한다.   개요에 따르면, 작년에 체인형 슈퍼마켓 산업은 상당한 발전 압박에 직면했다. 방문객 수를 제외한 다른 주요 지표에서 전년 대비 성장을 이룬 기업의 비율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후베이 야스(湖北雅斯), 광둥 자룽(广东嘉荣), 허난 다장(河南大张), 베이징 화관(北京华冠), 안후이 홍푸(安徽红府), 하얼빈 중앙홍(哈尔滨中央红) 등 지역 기업들은 여전히 성장을 유지하며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올해..

중국 2025.02.07

[중국] 냉동 베이커리 제품 산업은 고속성장중

[중국] 냉동 베이커리 제품 산업은 고속성장중  중국 베이커리 시장이 성숙함에 따라 베이커리 제품의 맛, 안전성, 영양 및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제품도 사전 포장 제품에서 현장에서 굽는 제품으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굽는 제품의 주요 공급업체인 제과점은 전면엔 매장 및 후면엔 공장이 배치된 모델로 인해 비용, 품질, 맛, 안전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어서, 이는 냉동 베이커리 제품의 발전에 기회를 제공한다.   콜드체인 기술 향상과 기업의 비용 절감 및 효율성 향상 등의 요인으로 인해 냉동 베이커리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했으며, 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냉동 베이커리 제품 시장 규모는 452억 7천만 달러로 연간 4.2..

중국 2025.02.07

[중국] 설 명절 기간 전자상거래 소비 열풍

[중국] 설 명절 기간 전자상거래 소비 열풍[중국] 설 명절 기간 전자상거래 소비 열풍  온라인 소비시장의 발전과 전자상거래 소비 페스티벌 등 할인 행사에 따라 올해 설 명절 기간 동안 온라인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아이미디어리서치(艾媒咨询)에서 최근 발표한 (中国消费者春节黏糊哦消费行为调查报告)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가 명절을 준비하며 관련 용품·식품 등을 구매할 때 73.2%의 소비자는 타오바오, 텐마오 등 종합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하 보고)에 따르면 온라인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명절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소비하는 것은 일상화되고 있다. 각 브랜드에서도 소비 페스티벌 기간에 맞추어 할인 정책을 펼치는 등 마케팅을 통해 매출..

중국 2025.02.07

[홍콩] 홍콩의 혼합음료 제품 시장 분석

[홍콩] 홍콩의 혼합음료 제품 시장 분석■ 2024년 혼합 음료 제품 판매량 약 3.4억 리터 달성, 제품군 중 건강기능 음료가 가장 인기 홍콩은 비교적 긴 여름과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인하여 적절한 수분 섭취를 정부에서 강조하는 만큼 빠르고 소비자들은 간편한 수분 섭취가 가능한 제품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종식 이후 홍콩 방문객 수가 증가함에 따라 야외 관광 시 적정한 수분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음료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24년 11월에 발표된 유로모니터 보고에 따르면 2024년도 홍콩의 혼합음료 제품 판매량은 전년 대비 3.4% 증가한 3억 4,100만 리터로 추정되며 이 중 가장 성장세가 높은 제품군은 기능성 음료로써 2023년 대비 판매량이 4% 증가한 10..

중국 2025.02.06

[중국] 유제품 기업, 외식업과의 콜라보 마케팅

[중국] 유제품 기업, 외식업과의 콜라보 마케팅지난해부터 중국 유제품 소비는 약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원유는 공급과잉으로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소비 둔화와 수급의 불균형을 배경으로 유제품 제조업체는 끊임없이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있다. B2B 시장 진출은 점점 더 많은 기업의 선택이 되고 있다.   최근 유제품 대표 기업인 이리(伊利)는 하이디라오(海底捞)와 전략적 협력 협약을 공식적으로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측은 심도 있는 협력을 통해 시장 수요에 부합하는 더 많은 외식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이디라오(海底捞)와의 협력은 이리(伊利)가 외식 시장에 힘을 쏟는 일부 전략이다. 2024년 9월, 이리(伊利)는 밀크티 브랜드인 후상아이(沪上阿姨)와 협력을 체결하고, 차 음료의 ..

중국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