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 스낵류 산업의 발전

곡산 2025. 4. 12. 21:45

[중국] 스낵류 산업의 발전

중국 스낵 산업의 발전

 

 최근 중국 소비 업그레이드 추세 속 스낵 산업은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소비 트렌드가 진화하고 있다. 칸써(Kan Ce) 소비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25 중국 스낵 산업 보고서 : 새로운 소매 시장>(이하 보고서)에서는 중국 스낵 산업이 건강화, 시나리오화, 디지털화의 동력으로 지속적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 전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스낵 산업은 2020~2022년 산업 성장세가 다소 주춤했으나 대량 유통 모델의 등장과 소비 시장 회복으로 다시 성장 궤도에 올랐다. 지난해 중국 스낵류 시장 규모는 1.4조 위안(한화 약 280조 원)에 달하며 강한 시장 활력과 성장 잠재력을 보였다. 

 

 현재 중국 스낵류 시장은 '기초 품목 기반, 신규 품목 성장, 틈새 품목 준비'의 3개 구조를 보인다. 비스킷·견과류 등 기초 품목은 광범위한 소비층과 안정적인 수요로 산업 성장의 초석이 되고 있다. 소비자의 건강 의식이 강화되면서 저당, 저지방 제품이 많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고 있으며, 신규 품목은 건강 기능성을 강화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채소, 임산물 활용 간식 등 틈새 품목도 다양한 소비자 입맛과 수요를 충족시키며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있다. 

 

 보고서는 유통 채널 다변화를 최근 스낵 산업 발전의 핵심 동력 중 하나로 꼽았다. 2024년 대형 유통매장이 중국 스낵 유통채널에서 40% 이상 점유하며 오프라인 주력 채널로 자리매김했다. 기존 유통 단계를 최적화해 중간 유통비용과 가격 인상률을 낮추면서, 다품종·고품질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공급할 수 있다. 간식 전문매장에서는 다양한 스낵류 제품을 무게당 단가를 적용하여 판매하면서, 저렴한 가격에 대량 구매를 가능하게 하였다. 

 

 스낵류의 대량 유통은 2010년부터 시작됐으며, 2022년 가성비 소비 트렌드 확산과 함께 자본이 대규모 유입되며 관련 브랜드가 빠르게 성장했다. 기존 스낵류 기업에게 대량 유통 모델은 새로운 도전이다. 보고서는 전통 기업이 공급망 관리, 제품 혁신, 채널 전략을 조정해 새 시장 구조에 적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 스낵 산업의 급속도로 성장한 가운데 전통 스낵류 강자들은 브랜드 영향력, 제품 혁신력과 추억마케팅 전략으로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전통 유통채널 축소, e커머스 수익 감소, 오프라인 확장 비용 증가 등 압박 속에 건강 제품 라인 출시, 신규 채널 확장, 고급 가성비 전략 등으로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 

 

 신흥 스낵 브랜드는 가성비와 빠른 시장 확장 전략으로 공급망 최적화, 구매 협상력 강화, 3-4선 도시 시장 공략 등을 통해 순식간에 시장 점유율을 확보했다. 일부 브랜드는 브랜드 합병을 통해 규모를 늘리고 매장수와 매출을 확대했다. e커머스 플랫폼도 과자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숏폼 동영상 플랫폼이 신제품 홍보의 주요 채널로 자리 잡고 있고, 라이브커머스 등으로 새로운 유통 경로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플랫폼 광고비 상승은 기업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보고서는 소비자 수요 변화와 신규 품목 등장으로 중국 스낵 산업이 앞으로도 안정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건강, 디지털화가 혁신의 핵심 동력으로 될 것으로 예측된다. 건강화 트렌드에 힘입어 저당, 저지방, 클린라벨 제품이 시장 주류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곤약, 견과류 등 건강요소를 갖춘 간식 제품의 성장 가능성도 높다. 기업들은 제품 개발 과정에서 건강 요소를 강조해 대중적 수요에 부응할 계획이다. 소비 시나리오 혁신도 중요한 방향이다. 오피스 간식, 피트니스 간식, 여행용 간식 등 생활 방식 변화에 따른 맞춤형 제품 개발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전환도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수요 분석 마케팅 전략, SNS홍보를 통해 시장 확장을 이루고 있다. 스낵류 기업 간의 경쟁 측면에서는 시장 변화에 대응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하며 3,4선 도시 시장 공략을 위한 채널, 제품 전략 최적화도 필요하다. 

 

 

출처 : http://www.cnfood.cn/article?id=1909417992921387010


문의 : 베이징지사 박원백(beijingat@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