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438

[러시아] 스타벅스(Starbucks), 러시아 시장 복귀하나?

[러시아] 스타벅스(Starbucks), 러시아 시장 복귀하나? ■ 스타벅스(Starbucks), 러시아 연방 지식재산서비스(Rospatent)에 14 건의 상표 등록 신청서 제출□ 주요 내용 러시아 경제지 베도모스티(Vedomosti)는 스타벅스(Starbucks)가 5월 말부터 6월 초까지 러시아 연방 지식재산서비스(Rospatent)에 총 14 건의 상표 등록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2022년 3월 스타벅스는 우크라이나 사태 직후 러시아 시장에서 공식 철수했고, 유명 러시아 래퍼 티마티(Timati)와 요식업자 안톤 핀스키(Anton Pinskiy)가 공동으로 스타벅스의 러시아 자산을 인수하면서 ‘스타스 커피(Stars Coffee)’로 재개장한 바 있다. 베도모스티의 보도에 따르면 스타벅스..

러시아 2024.06.16

[러시아] 새로운 식품 생산 트렌드, 크레이지 믹스(crazy mix)

[러시아] 새로운 식품 생산 트렌드, 크레이지 믹스(crazy mix) ■ 새로운 식품 생산 트렌드, 크레이지 믹스(crazy mix)□ 주요 내용 5일 개최된 러시아 소매 주간(Russian Retail Week) 행사에서 마리아 벨로리코바(Maria Belolikova) 크래프트 하인즈(Kraft Heinz) 러시아 사업부 이사는 최근 전세계와 러시아에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식품 생산 트렌드 ‘크레이지 믹스(crazy mix)’에 관한 발표를 했다. 벨로리코바 이사는 소비자들의 커져가는 호기심을 충족하기 위해 최근 들어 식품 생산업체들이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재료들을 사용한 이상한 조합, 즉 크레이지 믹스(crazy mix) 제품들을 연이어 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 크래프트 하..

러시아 2024.06.16

[러시아] 주류 전문매장 내 일반 식품 판매 비중 증가

[러시아] 주류 전문매장 내 일반 식품 판매 비중 증가 ■ 주류 전문매장 내 제품 판매 현황□ 주요 내용리서치 센터 ‘빅 데이터 플랫폼(Platforma bol'shikh dannykh)’은 주류 전문매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러시아인들의 소비패턴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했다. 동 연구는 하기의 주요 주류 전문매장의 2022~2023년 판매 데이터에 기반하여 실시되었으며, 관련 매장들이 주류 이외에도 무알콜 음료, 식품 등 판매 제품의 범위를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주류 전문매장출처: Retail.ru 기사와 각 업체 홈페이지 참조 후 모스크바 지사 작성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판매..

러시아 2024.06.06

[러시아] 식품가격 및 외식비 상승에 따른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갈등

[러시아] 식품가격 및 외식비 상승에 따른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갈등 ■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판매가 협상 난항□ 주요 내용 러시아 연방 통계청(Rosstat)에 따르면 최근 2년간 식품가격 및 외식비가 평균 물가상승률을 상회하며 꾸준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만이 곳곳에서 제기되자 당국은 업체간 담합 등 불공정 거래를 집중 단속하면서, 동시에 관련 법령의 의거해 소매업체와 공급업체에게 자발적으로 가격 상승을 통제해줄 것을 권고하는 등의 가격 안정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판매가 협상을 두고 소매업체와 공급업체간 갈등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으며, 실제로 최근 들어 소매업체와 공급업체의 판매가 협상 결렬에 따라 일부 소매업체에서 특정 제품의 판매가 중..

러시아 2024.06.06

벨라루스, K-Food 진출 동향과 커져가는 수출 잠재력

벨라루스, K-Food 진출 동향과 커져가는 수출 잠재력트렌드벨라루스민스크무역관 장윤성2024-05-27출처 : KOTRA한류 영향으로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 증가 추세이나 한국식품점, 한식당 전무K-Food는 러시아, 중국 유통망을 통해 수입되고 있어 직수입 수요 증가 추세벨라루스 식품 시장 규모 시장 조사분석기관 Statista에 따르면 벨라루스의 식품에 대한 소비자 지출은 2024년 기준 전년대비 14.1% 증가한 약 146억 달러에 달할 것이며, 연평균 약 9.5%씩 성장하여 2028년에는 21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Statista의 전문가들은 향후 5년간(2024~2028년) 벨라루스 식품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빵·쌀·곡물류, 파스타(면류 포함), 제과류, 유제..

러시아 2024.06.03

[러시아] 사회적 중요도가 높은 필수식품 가격 통제 제도

[러시아] 사회적 중요도가 높은 필수식품 가격 통제 제도■ 정부 당국에 의한 필수식품 가격 통제 □ 주요 내용러시아 당국은 연방 정부령 제530호에 의거, 사회안정을 위해 비교적 중요도가 높은 24개의 식품을 선정해 직접적으로 가격을 통제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해당 정부령은 2010년 7월 15일에 채택되었으며 현재까지 총 4번에 걸쳐 개정되었다. 연방 정부령 제530호에 의해 선정된 필수식품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러시아 당국이 정한 필수식품 목록출처: 러시아 연방 법령 포털(Garant.ru) 참조 후 모스크바 지사 작성  러시아 지방정부들은 매달 24개의 필수식품 가격을 모니터링하고, 가격 상승에 관한 정보를..

러시아 2024.05.27

[러시아] 식품 관련 소비 동향

[러시아] 식품 관련 소비 동향■ 식품 부문 국산품 구매 의지종합분석센터 NAFI는 국산품이 러시아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달 14일에 발표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산품 구매 의지에 따라 제품군을 크게 세 범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식품(70%)과 음료(70%)에서 다른 제품에 비해 국산품 구매 의지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드러났다.                                                   품목별 국산품 구매 의지 출처: 종합분석센터 NAFI 게시 기사 참조 후 모스크바 지사 작성 동시에 “국산품 구매를 왜 선호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의 41%는 ‘국가 경제의 독립성’ 때문이라고 답했으며, 40%는..

러시아 2024.05.27

[러시아] 요식업 및 식품 부문 러시아 ‘대체 브랜드’ 동향

[러시아] 요식업 및 식품 부문 러시아 ‘대체 브랜드’ 동향■ 요식업 및 식품 부문 러시아 ‘대체 브랜’드의 등장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사태 발발 이후 약 한 달 만에 무려 400여개 이상의 기업들이 러시아 사업 철수를 발표하거나, 실제로 러시아 사업 자산을 매각했다. 이후 우크라이나 사태가 2년 넘게 지속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탈러시아 추세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글로벌 기업들의 공백을 매꾸는 러시아 현지 기업, 일명 ‘대체 브랜드’가 등장했다.요식업 부문의 대표적인 ‘대체 브랜드’로는 맥도날드(McDonald's)를 대체한 ‘브쿠스노 이 토치카(Vkusno i Tochka)’, KFC를 대체한 ‘로스틱스(Rostic’s)’ 그리고 스타벅스(Starbucks)를 대체한 ‘스..

러시아 2024.05.17

[러시아] “불에 구워 조리한다”…버거킹, 허위광고 혐의로 러 연방반독점청 조사중

[러시아] “불에 구워 조리한다”…버거킹, 허위광고 혐의로 러 연방반독점청 조사중러시아 연방반독점청(FAS) 상트페테르부르크지부가 패스트푸드 체인점 버거킹(BurgerKing)을 상대로 허위광고에 대한 조사에 나선다. 연방반독점청은 «버거킹은 햄버거를 불에 굽습니다. 논리적이죠. 그런데... 도스타옙스키(Dostaevsky)*가 어떻게 햄버거를 요리할지 생각하면 무섭네요»라는 광고문구가 경쟁사 제품을 부당하게 비하했다고 판단했다.*도스타옙스키(Dostaevsky): 2014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영업을 시작한 완제품(피자, 햄버거 등) 배달 서비스 업체.  «광고에 관한» 러시아 연방법 제5조 2항 1호는 다른 판매자가 유통 중인 제품과의 부정확한 비교를 불공정한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연방반..

러시아 2024.05.17

[러시아] 인스턴트 봉지커피 수요가 급증한 이유는?

[러시아] 인스턴트 봉지커피 수요가 급증한 이유는?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Kommersant)는 닐슨아이큐(NielsenIQ)의 보고서를 인용하여 러시아인들 사이에서 인스턴트 봉지커피에 대한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닐슨아이큐에서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해 봉지커피에 대한 수요는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닐슨아이큐는 보고서에서 러시아 소비자들이 저축을 늘려 나감에 따라 다른 유형의 뜨거운 음료 판매량은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그러나 러시아 음료 생산업체들은 내년부터 프리미엄 브랜드의 차와 커피에 대한 수요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따뜻한 음료 부문에서 커피가 전체 판매량의 63% 이상을 차지했으며, 그중 인..

러시아 2024.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