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438

[튀르키예] Z세대를 중심으로 커피 소비 증가세

[튀르키예] Z세대를 중심으로 커피 소비 증가세■ 주요내용튀르키예의 커피 역사는 16세기에 시리아 상인들이 이스탄불에 커피를 소개하면서 시작됐다. 튀르키예의 전통커피는 체즈베(Cezve, 손잡이가 긴 작은 냄비)에 아라비카 원두를 잘게 갈아 넣고 끓여서 만드는데, ‘13년에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을 정도로 튀르키예만의 독특하고 고유한 문화이다. 커피 가루를 따로 여과하지 않고 바닥에 가라앉힌 후 마시며, 에스프레소와 달리 한 모금씩 천천히 음미하면서 즐긴다. 기성세대 사이에서 커피는 단연코 전통커피를 의미할 정도로 수요(전체 커피 수요의 약 70%로 추정)가 탄탄한 편인데, 요즘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서양식 커피 문화가 정착하면서 일상, 모임 등에서 에스프레소 기반 커피(아메리카노, 카페라테 등)..

러시아 2024.10.02

튀르키예 식품산업, '지속가능한' 주력 수출 분야로 주목 받다

튀르키예 식품산업, '지속가능한' 주력 수출 분야로 주목 받다트렌드튀르키예이스탄불무역관 이요섭2024-09-25출처 : KOTRA 고물가, 경기 하락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수출 주력 산업으로 주목식품에 대한 안전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튀르키예의 식품산업은 최근 변화를 겪고 있다. 변화의 핵심은 국가 주도의 계획 농업과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으로의 전환이다. 이는 최종적으로 안정적인 식품 공급망의 확보, 농업 생산력의 증대, 튀르키예의 주요 수출처인 EU의 식품 위생 기준에 맞추어 식품 수출을 늘리기 위함이다.  '지속가능성'이라는 키워드는 튀르키예 전 산업에 걸친 주요 가치가 됐고 이는 식품 산업도 예외가 아니다. 코로나19 이후 튀르키예 식품 산업계는 지속 가능한 생산 과정이 튀르키예 ..

러시아 2024.09.27

[러시아] 2024년 신규 브랜드 순위

[러시아] 2024년 신규 브랜드 순위■ 주요 내용□ Top-10 브랜드 리서치 센터 닐슨아이큐(NielsenIQ)는 판매량 기준 상위 25개의 신규 브랜드를 선정, 가장 성공적인 1분기를 보낸 브랜드 순위를 발표했다. 닐슨아이큐에서 발표한 올해 1분기 상위 25개의 신규 브랜드 중 10위권에 진입한 브랜드 및 제조업체는 다음과 같다.  2024년 1분기 1~10위 신규 브랜드출처: Retail.ru 게시 기사 참조 후 모스크바 지사 작성  닐슨아이큐(NielsenIQ)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만 총 3,327개의 신규 브랜드가 출시되었고, 러시아 제조업체에 인수된 서방 브랜드 및 현지 제조업체가 새롭게 출시한 브랜드의 총 매출액은 75억 루블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타나트 니사노바(Saltanat ..

러시아 2024.09.26

[러시아] 비건식 및 채식 식품 시장 동향

[러시아] 비건식 및 채식 식품 시장 동향 ■ 러시아 비건식 및 채식 식품 시장 현황□ 생산 동향 2023년 리서치 센터 비즈니스스타트(BusinesStat)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러시아 비건 식품 판매량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30% 이상의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리서치 센터 전문가들은 러시아 중산층들 사이에서 건강한 식습관 및 채식 식단 대한 관심이 비건 식품의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러-우 전쟁 이후 제기된 경제의 불확실성, 높은 식품 물가 상승률 등으로 인해 2022년 비건 식품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했다. 이를 두고 비즈니스스타트는 비건 식품이 고품질의 프리미엄 식품군으로 분류되고, 이에 따라 판매가가 기타 식품군보다 항..

러시아 2024.09.26

[러시아] 푸드쉐어링 관련 세제 혜택 제공 법안 발의

[러시아] 푸드쉐어링 관련 세제 혜택 제공 법안 발의□ 푸드쉐어링 관련 법안 발의 러시아 타스(TASS) 통신은 러시아 행정부가 푸드쉐어링에 대한 세제 혜택을 도입하는 법안에 공개적으로 지지를 표명했다고 보도했다. 푸드쉐어링은 소매업체들이 아직 판매되지 않은 식품을 비영리 단체에 무료로 양도하는 전 과정을 뜻하며, 해당 법안은 여당인 통합 러시아당 소속 아르톰 메텔레브(Artem Metelev) 의원에 의해 올해 2월 발의되었고, 이번 달 초 심리를 위해 국가두마(러시아 연방 하원)에 제출되었다.  해당 법안에 명시된 내용에 따르면 정부 당국은 특별목록 제정을 통해 푸드쉐어링공유에 참여할 식품 제조업체 및 소매업체들을 선정하고, 푸드쉐어링 대상 식품에 대한 부가가치세(VAT)를 면제하고, 자선단체에 양도..

러시아 2024.09.26

[러시아] ESG 관련 식품 부문 트렌드

[러시아] ESG 관련 식품 부문 트렌드[지구촌 리포트]○ 부문별 ESG 경영 평가 현황 러시아에서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은 정부 당국이 2021년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러시아 연방의 사회경제적 발전 전략”을 채택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 시점부터 러시아 최대 신용평가기관 RAEX는 매년 국내 기업들을 대상으로 ESG 경영 평가 순위를 산정해 발표하기 시작했으며, 해당 순위는 현재 기업들의 ESG 의제에 따른 경영 현황을 평가하는 가장 공신력 있는 평가 척도로 통용되고 있다.   올해 RAEX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농식품 부문의 경우 여전히 광업, 석유, 금속, 화학 그리고 에너지 산업 부문에 비해 낮은 수준의 ESG 경영 평가를 받고 있으나, 최근 몇 년간 농식..

러시아 2024.09.20

[러시아] 건강기능식품 시장 동향

[러시아] 건강기능식품 시장 동향□ 러시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식품 부문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시장 중 하나로, 최근 5년간 평균 269%의 기록적인 성장률을 기록했다. 현지 전문가들은 러시아 중산층들 사이에서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관심이 건강기능식품의 수요 증가를 견인한 직접적인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 연방 통계청(Rosstat)에 따르면 2021년 매일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는 인구는 2021년 약 20%로 집계되었지만, 2024년 그 비중은 30%대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전문가들은 러-우 전쟁 이후 경기가 과열되는 과정에서 평균소득 수준이 꾸준히 상승함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는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

러시아 2024.09.07

[러시아] 스위트 비스킷 시장 동향

[러시아] 스위트 비스킷 시장 동향 □ 러시아 스위트 비스킷 생산 동향 리서치센터 비즈니스스타트(BusinessStat)에 따르면 2019~2023년 러시아 스위트 비스킷 판매량은 68만 9천톤에서 76만8천톤으로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위트 비스킷 판매량은 지난해를 제외하고 2019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하게 증가했는데, 현지 전문가들은 ‘1) 소매업체들의 자체 PB 스위트 비스킷 제품 출시’, ‘2)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도시화‘ 그리고 ‘3) 스위트 비스킷 제품군의 저렴한 가격’ 등으로 인해 이와 같은 추세가 지속되었다고 분석하고 있다.  2019~2023년 러시아 스위트 비스킷 판매량 변동 추이 (단위: 천 톤)출처: 비즈니스스타트(Businesstat)  그러나 2023년 스위..

러시아 2024.09.07

[러시아] 라벨링 제도(체스니 즈낙) 적용 현황 Part 3

[러시아] 라벨링 제도(체스니 즈낙) 적용 현황 Part 3.  ■ 체스니 즈낙(Chestniy ZNAK) 라벨링 제도□ 체스니 즈낙(Chestniy ZNAK) 도입 배경 및 적용 대상  체스니 즈낙(Chestniy ZNAK)은 러시아어로 ‘정직한 표시’를 의미하며, 이름 그대로 소비자에게 생산, 유통, 판매 등 모든 과정에서 상품의 정보를 정직하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의무 라벨링 제도이다. 해당 라벨링 제도는 2019년 제품의 위조품 여부, 유통기한 확인, 불법 상품 거래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현재 총 19개 제품군에 체스니 즈낙(Chestniy ZNAK) 제도가 적용되고 있으며, 그 중 식품 부문으로는 맥주 및 저알콜 음료, 유제품, 생수, 담배, 캐비어, 건강기능식품, 무알콜 ..

러시아 2024.09.07

[러시아] 2024년 상반기 러시아 식품 트렌드

[러시아] 2024년 상반기 러시아 식품 트렌드[지구촌 리포트]○ 2024년 상반기 러시아 식품시장 규모 러시아 연방 통계청(Rosstat)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러시아 식품시장 규모는 최근 5년간 꾸준히 확대되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상반기 식품 소매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12조3천5백4십억 루블을 기록했으며, 요식업 시장 규모는 1조5천5백7십억 루블로 전년 동기 대비 15.8%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그림 1] 연간 상반기 식품 소매 시장 규모 변동 추이 (단위: 십억 루블) (좌) / [그림 2] 연간 상반기 요식업 시장 규모 변동 추이 (단위: 십억 루블) (우)출처: 러시아 연방 통계청(Rosstat) 공시 자료 참조 후 모스크바 지사 작성  ○ 2024년 상반..

러시아 202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