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31 15

[UAE] 아랍에미리트의 독특한 미식 세계

[UAE] 아랍에미리트의 독특한 미식 세계■ 주요내용‘세계 최초’, ‘세계에서 가장 큰’, ‘세계에서 가장 비싼’ 등의 수식어가 자연스럽게 따라붙는 럭셔리의 대명사, 아랍에미리트(UAE)에서는 음식마저도 범상치 않다. UAE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미식 세계를 소개한다. 1. 세계에서 가장 큰 요리: 낙타 통구이UAE의 전통적인 잔치 음식 중 하나인 ‘낙타 통구이(Stuff A Camel)’는 그 규모만으로도 압도적이다. 닭과 양, 달걀, 쌀을 가득 채운 낙타 한 마리를 통째로 구워낸 이 요리는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큰 요리’로 등재된 바 있다. 주로 왕족의 특별 행사나 대규모 결혼식에서만 만나볼 수 있으며, 이는 ‘스케일이 다른’ 중동의 호스피탈리티를 보여준다.  2. 세계에서 가장 비싼 칵..

[중국] 포장식품 중문라벨 및 영양성분 표시사항 개정안 발표

[중국] 포장식품 중문라벨 및 영양성분 표시사항 개정안 발표 3월 2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및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이 50개의 국가식품 안전표준과 9개의 표준 개정안을 발표했다. 그중 새로 발표된 두 가지 식품라벨 표준은 식품 표시 요구사항을 전면적으로 최적화하고 업그레이드했으며, 식품 디지털 표시의 적용을 선도적으로 추진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식품라벨 표준이 식품 업계에서 원활하게 시행하기 위해 두 가지 식품라벨 관련 표준 모두 2년의 유예기간(2027.3.16. 실시)을 설정했다. 두 가지 식품라벨 관련 표준 개정안 주요 내용을 아래와 같다.►(알레르기 유발 물질 표시 의무화) 글루텐 함유 곡물, 갑각류, 생선, 달걀, 땅콩, 대두, 우유, 견과류 등 8대 알레르기 유발식품 및 그의..

중국 2025.03.31

[독일] 독일 식문화의 변화와 매운맛에 대한 수용성 확대

[독일] 독일 식문화의 변화와 매운맛에 대한 수용성 확대 ■ 독일 전통 음식과 맛의 특징독일의 전통 음식은 각 지역의 역사와 기후, 식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왔다. 공통적으로는 고기를 주재료로 하되, 강한 매운맛보다는 허브와 향신료의 풍미를 살린 것이 특징이다.독일 바덴 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주에서는 양파와 함께 로스트 비프를 즐겨 먹는다. 일요일 점심은 전통적으로 육즙이 풍부한 고기와 독일식 치즈 파스타, 슈페츨레(Spatzle)와 곁들여 먹는 것이 특징이다.바바리아(Bavaria)에서는 구운 돼지고기와 맥주소스, 그리고 독일식 감자만두 (Kartoffelklöße)을 곁들여 먹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돼지고기는 굽기 전 캐러웨이(Caraway)라는 향신료를 고기 표면에 문질..

[프랑스] 김치 및 김치를 응용한 가공식품 트렌드

[프랑스] 김치 및 김치를 응용한 가공식품 트렌드❍ 주요동향K-Food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인 가운데 한국의 대표 전통 발효 식품인 김치 또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다. 농식품 수출정보(KATI) 통계 자료에 따르면, 영국을 포함한 EU 국가로의 한국 김치 수출액은 2011년 이후 우상향하며 상승세를 타고 있다. 2011-2024년 한국 김치 EU시장(영국 포함) 수출액 추이출처: KATI                                              *백만 달러 단위년도‘11‘12‘13‘14‘15‘16‘17‘18‘19‘20‘21‘22‘23‘24수출금액2.32.63.04.04.45.06.27.48.511.814.715.117.922.3 2011년 2.3백만 달러였던 김치 수출액은 2017..

[미국] FDA, 식품 이력 추적 규정 준수 기한 30개월 연기 발표

[미국] FDA, 식품 이력 추적 규정 준수 기한 30개월 연기 발표 2025년 3월 20일, 미국 식품의약국 (FDA)은 기업 및 식료품점이 공급망 내 식품을 추적하여 오염 발생 시 해당 제품을 신속하게 진열대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의무화한 식품 이력 추적 규정의 준수 기한을 30개월 연기한다고 발표하였다. 당초 이 규정은 2026년 1월 20일부터 시행될 예정이었다.FDA는 이번 연기 조치가 규정 준수 대상자에게 준비 기간을 추가로 부여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FDA와 소비자 모두에게 더 높은 수준의 투명성과 식품 안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 연기는 단순히 시행 시점의 연기에 불과하며, 식품 안전을 개선하고 공중보건을 보호하기 위한 최종 규칙의 요구사항 자체에는 변경이 없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