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OVATION&TREND

[INNOVATION&TREND(87)]Innovadatabase Analysis-Key top 10 chocolate trends프리미엄 코코아빈 사용하고 함량 강조

곡산 2014. 2. 4. 11:27

[INNOVATION&TREND(87)]Innovadatabase Analysis-Key top 10 chocolate trends프리미엄 코코아빈 사용하고 함량 강조
무가당에 사각형 벗어나 다양한 모양

식품음료신문  |  fnbnews@thinkfood.co.kr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4.02.03  01:18:47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요즘네이버구글msn

최근 글로벌 초콜릿 제품분야에서 나타나는 10가지 주요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 Cocoa beans (코코아 빈)

코코아빈의 새로운 원산지 또는 건강을 위한 코코아빈의 영양성분, 프리미엄 코코아빈 임을 사용제품에서 강조한다. 이들 코코아 빈은 맛과 향을 향상시키거나, 공정무역 인증을 받기도 하고, 새로운 텍스처를 위해서 전체 또는 분말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New Shapes (새로운 형태)

전통적인 사각형의 초콜릿에서 벗어난, 다양한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고 있고,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다. 얇은 슬림형태 또는 정육면체의 큐브, 긴 스틱, 큰 거품모양 등이 글로벌 초콜릿분야에서 출시되고 있다.

■ No Added Sugar (무가당)

무가당(No added sugar)의 강조표현은 많은 식음료 분야의 제품 표시면에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초콜릿분야에서도 설탕을 대체하는 소재들이 적용 시도되고 있으며, 천연감미료로 알려진 스테비아(리바우디오사이드A)의 단맛을 적용한 초콜릿도 출시되고 있다.

■ Artisan (장인)

수퍼프리미엄 초콜릿 역시 지속적으로 출시가 증가하고 있다. Artisan 초콜릿은 프리미엄 초콜릿에서 찾을 수 있다. Artisan을 강조한 초콜릿 제품은 소규모의 제조뿐만 아니라 대기업 브랜드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 Savory Flavor (세이보리 풍미)

몇몇 유명 쉐프들은 디저트에 향신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향은 초콜릿에서도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다양한 허브와 향신료들이 초콜릿 풍미의 차별화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 High % Cocoa (높은 코코아 함량)

초콜릿에서의 코코아 함량을 강조한 제품이 유행하던 때가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여전히 제품에서 적절히 사용되고 있다. 초콜릿의 깊은 맛과 강도를 전달할 때, 포함된 코코아의 함량을 제품에서 강조할 수 있다.

  
 

■ For The Home Chocolatier (홈 쇼콜라티에)

DIY(do-it-yourself) 초콜릿 만들기 키트 제품들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고, 이러한 초콜릿 만들기는 보다 더 전문화되고 프리미엄으로 확대되고 있다. 때로는 유명 쉐프가 광고로 나와서 제품을 홍보하기도 한다.

■ Minis & Bites (미니와 바이트 사이즈)

많은 지역에서 한 입 크기의 초콜릿 카테고리가 다른 초콜릿 타입보다 인기를 나타내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또한 이들 초콜릿의 모양은 서로 비슷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 Ethical (윤리적 소비)

윤리적 소비를 강조한 초콜릿 제품의 출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공정무역 인증 초콜릿 등을 볼 수 있다.

■ Seasonal & Limited Edition (시즌제품, 한정판)

계절제품이나 한정판매 제품들은 글로벌 초콜릿 분야에서 새로운 경향은 아니다. 하지만, 새로운 제품의 경험을 소비자가 할 수 있고, 자사의 브랜드를 알릴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