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멈추지 않는 임금인상 릴레이
- 올 들어 18개 성시 최저임금 잇달아 올려 -
- 인상폭 15% 초과, 重慶 32.8%로 최고 -
![](http://www.globalwindow.org/wps/editor/ALL/2139706/E$$00000.jpg)
□ 하반기에도 계속
ㅇ 2011년 들어 현재까지 총 18개 성시가 최저임금 인상을 단행
- 중국은 1분기에 물가압박으로 인한 빈부격차 해소를 위해 13개 지역이 최저임금을 평균 20.6% 올린데 이어 영하, 신강, 안휘, 하북, 요녕 등 5개 성시에서 잇달아 인상함.
- 인상폭은 대부분 15%를 넘어섰고 중경이 32.8%로 가장 큼.
ㅇ 올해 최저임금 인상 조치는 하반기에 지속될 전망임.
- 올 들어 아직 인상하지 않은 지역의 지난해 인상일자가 하반기에 있어 최근 최저임금 인상 주기가 1년임을 감안할 때 기타 지역도 하반기 인상이 불가피해 보임.
□ 인상 동향
ㅇ 전국 32개 성시(심천을 별도 계산) 중 3개 성시의 최저임금이 1300위안을 돌파했으며 총 13개 성시가 1000위안을 돌파함.
- 심천, 절강, 광동 3개 지역이 각각 1320위안, 1310위안, 1300위안 이상으로 1~3위를 기록했고 다음으로 상해(1280위안)와 북경(1160위안)이 4, 5위
- 상승폭은 중경이 최고(32.8%)이고 안휘성이 29.0%로 그 뒤를 이음.
2011년 상반기 중국 최저임금표준 인상표
지역 |
시행일자 |
월 최저임금 표준 |
시급제 |
|
인상 전 |
인상 후 |
증가폭 |
인상 전 |
인상 후 |
증가폭 |
북경 |
2011.1.1 |
960 |
1160 |
20.8% |
11.1 |
13.1 |
18.2% |
섬서 |
2011.1.1 |
1급지: 760
2급지: 680
3급지: 630
4급지: 480 |
1급지: 860
2급지: 780
3급지: 730
4급지: 580 |
15.3% |
1급지: 7.6
2급지: 6.8
3급지: 6.3
4급지: 4.8 |
1급지: 8.6
2급지: 7.8
3급지: 7.3
4급지: 5.8 |
15.3% |
중경 |
2011.1.1 |
1급지: 680
2급지: 560
3급지: 520 |
1급지: 870
2급지: 750
3급지: 710 |
32.8% |
미발표 |
1급지: 8.7
2급지: 7.5
3급지: 7.1 |
- |
강소 |
2011.2.1 |
1급지: 960
2급지: 790
3급지: 670 |
1급지: 1140
2급지: 930
3급지: 800 |
18.6% |
1급지: 7.8
2급지: 6.4
3급지: 5.4 |
1급지: 9.2
2급지: 7.5
3급지: 6.5 |
18.5% |
산동 |
2011.3.1 |
1급지: 920
2급지: 760
3급지: 600 |
1급지: 1100
2급지: 950
3급지: 800 |
26.0% |
미발표 |
1급지: 11.5
2급지:9.8
3급지: 8.7 |
- |
복건 |
2011.3.1 |
1급지: 900
2급지: 800
3급지: 700
4급지: 600 |
1급지: 1100
2급지: 950
3급지: 850
4급지: 750 |
21.9% |
1급지: 9.6
2급지: 8.5
3급지: 7.5
4급지: 6.5 |
1급지: 11.6
2급지10.0:
3급지: 9.0
4급지: 7.9 |
20.0% |
광동 |
2011.3.1 |
1급지: 1030
2급지: 920
3급지: 810
4급지: 710 |
1급지: 1300
2급지: 1100
3급지: 950
4급지: 850 |
20.7% |
1급지: 9.9
2급지: 8.8
3급지: 7.9
4급지: 6.9 |
1급지: 12.5
2급지: 10.5
3급지: 9.3
4급지: 8.3 |
20.9% |
천진 |
2011.4.1 |
920 |
1160 |
26.1% |
8.8 |
11.6 |
31.8% |
산서 |
2011.4.1 |
1급지: 850
2급지: 780
3급지: 710
4급지: 640 |
1급지: 980
2급지: 900
3급지: 820
4급지: 740 |
15.5% |
1급지: 9.3
2급지: 8.6
3급지: 7.8
4급지: 7.0 |
1급지: 10.8
2급지: 9.9
3급지: 9.0
4급지: 8.1 |
15.6% |
절강 |
2011.4.1 |
1급지: 1100
2급지: 980
3급지: 900
4급지: 800 |
1급지: 1310
2급지: 1160
3급지: 1060
4급지: 950 |
18.5% |
1급지: 9.0
2급지: 8.0
3급지: 7.3
4급지: 6.5 |
1급지: 10.7
2급지: 9.5
3급지: 8.6
4급지: 7.7 |
18.5% |
상해 |
2011.4.1 |
1120 |
1280 |
14.3% |
9.0 |
11.0 |
22.2% |
영하 |
2011.4.1 |
1급지: 710
2급지: 660
3급지: 605 |
1급지: 900
2급지: 820
3급지: 750 |
25.0% |
1급지: 7.6
2급지: 7.2
3급지: 6.8 |
1급지: 9.0
2급지: 8.5
3급지: 8.0 |
18.0% |
심천 |
2011.4.1 |
1100 |
1320 |
20.0% |
9.8 |
11.7 |
19.4% |
길림 |
2011.5.1 |
1급지: 820
2급지: 780
3급지: 730
4급지: 680 |
1급지: 1000
2급지: 950
3급지: 890
4급지: 830 |
22.0% |
1급지: 6.3
2급지: 6.0
3급지: 5.6
4급지: 5.2 |
1급지: 7.7
2급지: 7.3
3급지: 6.8
4급지: 6.5 |
22.6% |
신강 |
2011.3.1 |
1급지: 800
2급지: 660
3급지: 570
4급지: 530 |
1급지: 960
2급지: 770
3급지: 690
4급지: 620 |
18.7% |
1급지: 8.8
2급지: 7.7
3급지: 7.2
4급지: 6.2 |
1급지: 11.6
2급지: 9.6
3급지: 8.8
4급지: 8.0 |
25.0% |
안휘 |
2011.7.1 |
1급지: 720
2급지: 680 |
1급지: 1010
2급지: 800 |
29.0% |
1급지: 7.5
2급지: 7.1 |
1급지: 10.6
2급지: 8.4 |
29.8% |
하북 |
2011.7.1 |
1급지: 900
2급지: 840
3급지: 760
4급지: 690 |
1급지: 1100
2급지: 1040
3급지: 960
4급지: 860 |
24.2% |
1급지: 9.0
2급지: 8.4
3급지: 7.6
4급지: 6.9 |
1급지: 11.0
2급지: 10.4
3급지: 9.6
4급지: 8.6 |
24.2% |
요녕 |
2011.7.1 |
1급지: 900
2급지: 750
3급지: 650 |
1급지: 1100
2급지: 900
3급지: 780 |
20.7% |
1급지: 8.5
2급지: 7.0
3급지: 6.0
4급지: |
1급지: 11.0
2급지: 8.5
3급지: 7.5 |
25.3% |
자료원: 각 성시 노동사회보장국 수치 종합(이하 동일)
ㅇ 중국 지역별 최저임금은 1급지 기준으로 12개 성시가 1000위안 이상이고 절반 이상이 900위안 이상임.
- 2011년 7월 1일 기준으로 지역별 임금 수준 분포를 살펴보면 1300위안 이상 2개 지역, 1200위안 대 1개 지역, 1100위안 대 5개 지역, 1000위안 대 1개 지역, 900위안 대 6개 지역, 800위안 대 11개 지역, 700위안 대 5개 지역 등
중국 연도별 최저임금표준 인상 추이
구 분 |
2011년 |
2008년 |
2005년 |
2002년 |
1300위앤 이상 |
2 |
|
|
|
1200~1299 |
1 |
|
|
|
1100~1199 |
7 |
|
|
|
1000~1099 |
2 |
|
|
|
900~999 |
6 |
1 |
|
|
800~899 |
10 |
5 |
|
|
700~799 |
3 |
5 |
|
|
600~699 |
|
13 |
5 |
|
500~599 |
|
5 |
6 |
2 |
400~499 |
|
2 |
14 |
7 |
300~399 |
|
|
6 |
16 |
299위앤 미만 |
|
|
|
5 |
주: 1) 수치는 연도별 최저임금 범위에 해당하는 성시의 개수 2) 심천은 제외
ㅇ 지역별 최저임금 수준은 여전히 동부 연해지역이 높고 낙후된 중서부가 낮아 지역 격차가 뚜렷함
- 중국 내 최저임금(지역별 1급지 기준) 상위 10대 지역은 심천, 절강, 광동, 상해, 북경, 천진, 강소, 복건, 하북, 산동, 료녕 등임.
- 하위 10대 지역은 호남, 사천, 귀주, 운남, 해남, 광서, 하남, 청해, 감숙, 강서 등임.
중국 성별 최저임금표준 비교
순위 |
상위 10개 |
하위 10개 |
|
성 시 |
시행일 |
위안/월 |
위안/시간 |
성시 |
시행일 |
위안/월 |
위안/시간 |
1 |
심천 |
2011.4.1. |
1320 |
9.8 |
호남 |
2010.7.1. |
850 |
8.5 |
2 |
절강 |
2011.4.1. |
1310 |
10.7 |
사천 |
2010.8.1. |
850 |
8.9 |
3 |
광동 |
2011.3.1. |
1300 |
12.5 |
귀주 |
2010.10.1. |
830 |
8.0 |
4 |
상해 |
2011.4.1. |
1280 |
11.0 |
운남 |
2010.7.1. |
830 |
8.0 |
5 |
북경 |
2011.1.1. |
1160 |
11.1 |
해남 |
2010.7.1. |
830 |
7.2 |
6 |
천진 |
2011.4.1. |
1160 |
11.6 |
광서 |
2010.9.7. |
820 |
6.0 |
7 |
강소 |
2011.2.1. |
1140 |
9.2 |
하남 |
2010.7.1. |
800 |
9.0 |
8 |
복건 |
2011.3.1. |
1100 |
11.6 |
청해 |
2010.9.1. |
770 |
8.3 |
9 |
하북 |
2011.7.1. |
1100 |
11.0 |
감숙 |
2010.10.1. |
760 |
7.9 |
10 |
산동
요녕 |
2011.3.1.
2011.7.1. |
1100 |
11.5
11.0 |
강서 |
2010.7.1. |
720 |
6.8 |
□ 시사점
ㅇ 최저임금은 앞으로도 지속 인상이 불가피함.
- 중국노동사회보장국에서는 임금을 향후 5년간 매년 평균 13% 이상 인상하고 5년 내 현재의 2배 수준으로 올릴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ㅇ 기업들은 최저임금 추가인상 감내 폭을 판단하고 적합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함.
- 특히 내륙지역의 임금 상승률이 높으므로 내륙지역으로 진출 혹은 이전하는 기업들은 중장기적 임금전략을 잘 세워야 함.
첨부: 2011년 중국 성별 최저임금 현황
자료원 : 중국 각 성시 노동사회보장국, 코트라 베이징KB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