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2 20

건강과 웰니스 시대,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 전망

건강과 웰니스 시대,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성장 전망트렌드대만타이베이무역관 심은진2025-01-20출처 : KOTRA 고령화와 건강 의식 증가로 인한 건강기능식품 수요 확산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화하는 중·고령 소비자 구매 트렌드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대만 건강기능식품 수요 최근 대만 소비자들의 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이 대만의 주요 소비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 시장 트렌드 조사 업체 Kantar Taiwan이 2024년에 발표한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대만 인구 100명 중 55명이 지난 1년간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했으며, 1인당 연평균 소비 금액은 약 8600대만 달러(약 38만2100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 1TWD=44KRW (2..

중국 2025.01.22

[체코] 체코 식음료 시장동향

[체코] 체코 식음료 시장동향글로벌 통계 및 시장 조사 플랫폼인 Statista에 따르면 체코 2025년 식품시장 매출은 약 26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식품시장은 매년 약 5%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는 체코 식품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새로운 진입 기회와 사업 확장의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Statista에서 분석한 체코의 식음료 트렌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관련 기업들이 시장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본 자료를 작성하였다.  Statista에 의하면 체코 식품 시장에서 가장 큰 부문은 육류(약 54억 달러)이며 이어 과자류(약 50억 달러)와 유제품 및 달걀 (약 40억 달러)이다. 2025년에는 전체 매출의 3.4%가 온라..

러시아 2025.01.22

[일본] 마이바스켓, 우버이츠 도입 1,000점포 달성

[일본] 마이바스켓, 우버이츠 도입 1,000점포 달성우버이츠가 레스토랑의 음식 이외에 배달을 확대하고 있다. 12월에는 이온그룹의 소형 슈퍼 마이바스켓에서 우버이츠의 서비스 도입이 1000점포를 달성했다.  레스토랑 음식 배달에서 식료품으로의 확장우버이츠는 단순히 레스토랑 음식을 배달하는 서비스에서 시작해 현재는 식료품, 편의점 제품, 의약품까지 다루는 종합 배달 플랫폼으로 확장하고 있다. 일본 시장에서 우버이츠는 이온그룹의 소형 슈퍼마켓인 마이바스켓과 협력하며 배달 서비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 2023년 기준, 우버이츠의 글로벌 식료품 카테고리 총매출은 70억 달러(약 1조 1000억 엔)에 달하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100만 개 이상의 가맹점과 협업한 결과이다.PPP 도입으로 더욱 강화된 서..

일본 2025.01.22

[일본] 물류 및 소비자들 편의를 고려한 형식의 패키지 제품 개발

[일본] 물류 및 소비자들 편의를 고려한 형식의 패키지 제품 개발일본에는 직장인 및 학생들의 도시락 수요가 높아 일반적으로 식품가공업체에서는 도시락용 반찬으로 활용할 수 있는 냉동제품군을 갖추고 있다. 일본의 식품기업인 아지노모토가 개발한 '오벤토PON' 시리즈는 기존 일본 내에서 판매하고 있는 냉동식품과 다른 형식의 패키지로 매장 내에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참고 가격: 약 279엔) '오벤토PON' 시리즈는 '시간 단축'과 '편리함' 등 소비자들의 수요가 높은 부분을 충족시키는 제품으로, 기존의 도시락용 냉동식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큰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의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얇은 스틱 형태의 패키지를 갖고 있다. 이는 일본의 작은 냉동고 사이즈를 고려하여,냉동고 내에서 따로 흩어지지..

일본 2025.01.22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중산층 대폭 감소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중산층 대폭 감소▶ 주요내용‧ 작년 인도네시아의 중산층 수가 대폭 감소함 ‧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4년 인도네시아 인구의 17.13%가 중산층인데, 이는 ‘19년 21.45%와 비교해 크게 감소한 수치임 ‧ 중앙통계청은 작년 중산층 기준을 월 지출이 약 204만~991만 루피아인 계층으로 정의하며, 중산층은 빈곤층의 월 지출 58만 루피아의 3.5~17배에 해당됨  ‧ 월 지출이 빈곤선 이상이거나 빈곤선의 1.5배 사이면 빈곤 취약 계층으로 분류되고, 빈곤선의 1.5~3.5배 사이이면 중산층 열망 계층으로 분류됨  ‧ 중산층 열망 계층과 빈곤 취약 계층이 타격을 받음 ‧ 최근 5개년 간 빈곤층은 9%대를 유지했지만, 빈곤 취약 계층은 21%에서 24%로 증가했고..

[미국] FDA 전면 영양 표기 라벨 (FOP Nutrition Label) 제안 법안 발표

[미국] FDA 전면 영양 표기 라벨 (FOP Nutrition Label) 제안 법안 발표 FDA가 대부분의 포장 식품에 대해서 “전면 영양 표기 (front-of-package nutrition label)”를 의무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번 제안 법안에 대하여 FDA는 5월 16일까지 공공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 있다. FDA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만성 질환을 앓고 있거나 그런 질환을 겪고 있는 사람을 알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제는 소비자가 정보를 보고 한눈에 쉽게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한 때라고 밝혔다. FDA는 이번 식품 전면 영양 표기 제도를 계기로 소비자가 영양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능한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규정이 최종 확정이 되면 소비..

[태국] 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성장과 요인

[태국] 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성장과 요인[사진: Marketeeronline] ▢ 주요 내용 ▶ 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성장  ㅇ 태국의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KResearch에 따르면, 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19% 이상의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2023년 시장 규모는 약 360억 바트(한화 약 1조 5천억 원)로, 2022년보다 32.4%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4년 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 규모는 2023년 대비 15.8% 성장한 417억 바트(한화 약 1조 7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ㅇ 반려동물 사료의 소비량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태국의 반려동물 사료 소비량은 2020년 약 29만 톤에..

[일본] 새로운 도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상품 개발

[일본] 새로운 도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상품 개발히로시마의 전통 요리 오코노미야키를 대표하는 소스 제조업체, 오타후쿠홀딩스는 세계로의 도약을 꿈꾸고 있다. 이들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소스 개발에 혁신을 일으키며, 새로운 맛을 창조하고 있다. 실제로 오타후쿠는 연간 200종 이상의 새로운 소스를 선보이고 있다.AI와 함께 오코노미야키 소스의 미래를 열다 식품 개발에서 AI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 인간의 감각을 AI로 재현한다면, 지금까지 없었던 맛의 소스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AI는 기존 셰프들의 조리법 데이터를 분석하고, 다양한 레시피를 활용해 효율적으로 새로운 맛을 만들어낸다.  소스 개발에는 수많은 패턴이 존재하지만, 인간의 힘으로 이를 모두 실험하기란 불가능하다. 반면, ..

일본 2025.01.22

[베트남] 식품 트렌드 예측

[베트남] 식품 트렌드 예측[지구촌 리포트]▶ 소비 플랫폼 :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확장    - 다양한 배달 APP 및 전자 상거래 업체의 발전에 따라, 온라인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비중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오프라인 유통 매장들도 온라인 상거래 APP에 진출하여 온라인 전용관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 Momentum Works에서 발표한 동남아시아 배달 APP 보고서에 따르면,‘23년 베트남에서 배달 APP을 통해 주문된 음식 금액의 총액은 14억 달러로, 하루 평균 약 60만 달러가 온라인 주문을 통해 소비된다고 밝혔다. 이는 ’22년도 대비 30% 성장한 수치로, 같은 기간 인도네시아는 46억 달러, 태국 37억 달러, 싱가포르 및 필리핀은 각각 25억 달러를 기록하..

[UAE] 할랄 인증 한국 식품 현황 및 향후 전망

[UAE] 할랄 인증 한국 식품 현황 및 향후 전망[지구촌 리포트]▷ UAE 할랄 시장 현황 UAE는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 지역에서 할랄 식품 산업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있다. 할랄 식품은 이슬람 율법에 따라 생산되고 가공된 식품으로, 전 세계 무슬림 소비자들에게 필수적인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에는 할랄 식품이 건강식으로 인식되면서 비무슬림 국가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UAE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인증 기준을 도입하고, GCC 지역을 중심으로 할랄 제품의 재수출을 촉진하며, 말레이시아를 넘어 글로벌 할랄 식품 산업의 허브로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UAE의 할랄 식품 시장 규모와 성장1. 시장 규모 전 세계 할랄 식품 시장은 약 2조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