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국 냉동식품 41조 원대…‘냉동면’이 절반

곡산 2025. 5. 24. 08:29
중국 냉동식품 41조 원대…‘냉동면’이 절반
  •  배경호 기자
  •  승인 2025.05.23 11:18

면·만두 등 주식류에 피자·치킨랩 등 포함…냉동 간식 5조8100억 원
냉동 베이커리 호황…연간 두 자릿수 성장
프리미엄 베이커리 온라인 판매 6조 원대
냉동 훠궈 재료 16조 원…육류·어묵 비중 높아
 

밀키트, 가정간편식(HMR)의 수요가 증가와 힘께 콜드체인 물류 인프라의 발전, 온라인 플랫폼의 성장 등으로 중국 냉동식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코트라 시안무역관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냉동식품 시장 규모는 이미 한화 35조 5700억 원에 달했으며, 2025년에는 41조 269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냉동 간식 시장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2023년 시장 규모는 4조55690억 원을 기록했고, 2025년에는 5조813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아미메이컨설팅
 

품목별로 살펴보면, 주식으로 활용되는 냉동면, 빵, 만두 등을 포함하는 냉동면류는 이미 다양한 제품이 시장에 출시돼 있다. 2021년 중국 냉동면 시장 규모는 약 15조 1540억 원, 2022년 약 16조 3000억 원, 2023년 약 17조 5230억 원으로 추산되며, 2025년에는 시장 규모가 20조 2620억 원에 도달할 전망이다.

 

냉동면 제품은 만터우, 빠오즈 등을 비롯한 전통 주식류(49.3%)와 피자, 치킨랩 등으로 대표되는 비전통 주식류(46.7%)로 구분되며, 현재 냉동면 제품은 슈퍼마켓, 편의점 등 오프라인 유통채널(84%)의 판매량이 압도적으로 많다. 주 소비자층은 가정주부이며, 슈퍼마켓 및 편의점이 핵심 유통 채널이다.

 

냉동 베이커리 시장 규모도 날로 커지고 있다.

아이메이컨설팅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베이커리 식품 소매 시장 규모는 한화 약 108조 8980억 원으로 전년 대비 9.2% 성장했다. 1인당 소비 수준 향상과 외식 소비 구조 조정으로 수요는 커지고 있으며 2029년 시장 규모는 약 166조 746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베이커리가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면서 집에서도 간편히 즐길 수 있는 냉동 베이커리도 각광을 받고 있다. 토우바오연구원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냉동 베이커리 시장 규모는 2013년 3880억 원에서 2021년 2조 1520억 원으로 성장했으며, 연평균 성장률은 23.7%를 기록했다. 2032년 냉동 베이커리 시장 규모는 약 17조 455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같은 성장세는 온라인 판매 플랫폼에서도 확인된다. 티몰의 2021~2023년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프리미엄 냉동 베이커리의 202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8.6% 증가한 6조 510억 원으로 빠르게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냉동 베이커리의 비중이 30~50%에 달하는 일본, 미국에 비해 현재 중국의 냉동 베이커리 점유율은 5~10%에 불과해 앞으로 성장 잠재력이 큰 시장이라 할 수 있다.

 

냉동 베이커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결합한 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중심 유통 형태인 신유통 채널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냉동 베이커리 생산 대표기업인 리가오푸드의 신유통 채널 판매 성장률은 25%를 기록했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채널인 슈퍼마켓, 편의점이 아닌 프리미엄 베이커리를 판매하는 카페, 레스토랑이 신유통채널로 부상하고 있다.

 

루이싱커피, 나이쉐디차, 스타벅스 등 중국의 주요 카페는 음료와 베이커리 제품을 세트 메뉴로 구성해 판매하고 있는데, 베이커리 제품은 주로 프리미엄 냉동 베이커리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훠궈의 인기로 냉동 훠궈재료 시장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중국인들의 ‘소울푸드’라 할 수 있는 훠궈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한화 약 116조 2200억 원에 달했다. 설리번에 따르면, 중국 훠궈 시장 규모는 2028년 145조 350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소비자들의 냉동식품 구매 품목 중 냉동 훠궈재료 비중은 53.3%이며, 완자, 육류 제품 등이 대표적이다. 식품 시장조사기관 신식재료 위챗 공식 계정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냉동 훠궈재료 시장 규모는 16조 1390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냉동 훠궈 재료의 생산·수요량도 2023년 기준 각각 247만6000톤, 222만2000톤을 기록했다. 재료별로 살펴보면 육류, 어묵 제품의 비중이 높으며 2023년 냉동육류 제품 비중은 약 46.7%, 어묵 제품은 53.3%를 차지했다.

 

중국 밀키트 시장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상치산업연구원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중국 밀키트 시장 규모는 99조 91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3.1% 성장했다. 향후 3~5년간 중국 밀키트 시장은 연평균 20% 성장률로 2026년 207조 3670억 원, 2028년 251조 270억 원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냉동 밀키트 기업을 살펴보면, 즉석조리형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 44%로 가장 많으며, 그중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안징푸드, 얌 차이나 등이 있다. 그 외에도 국련수산, 허마셴성 등 대형마트의 PB 상품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