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12

나만을 위한 식단부터 신선도 관리까지, 스마트한 미국 식품 산업의 미래

나만을 위한 식단부터 신선도 관리까지, 스마트한 미국 식품 산업의 미래트렌드미국시카고무역관 조민주2025-05-07출처 : KOTRA 글로벌 식음료 AI 시장, 연 39.1%씩 급성장 전망AI 영양사 및 품질 관리사까지 다각도로 발전하는 스마트 식품 기술스마트 식품 기술이란? 스마트 식품 기술은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분석 등을 활용하여 식품의 생산부터 유통 전 과정에 걸쳐 품질, 안전성, 영양 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AI 기반 맞춤형 영양 솔루션과 AI 기반 품질 관리 시스템 등, AI를 활용한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AI 기술과 함께 빠르게 성장하는 스마트 식품 시장 시장 조사 기관인 Grand View Research에 의하면 글로벌 스마트 식품 시장 규모..

[미국] 석유 기반 합성 식용색소에 대한 단계적 퇴출 발표

[미국] 석유 기반 합성 식용색소에 대한 단계적 퇴출 발표미국 비관세장벽 이슈 미국 보건복지부(HHS)와 식품의약국(FDA), 2027년까지 석유기반 주요 색소 퇴출 계획 발표2025년 4월 22일, 미국 보건복지부(HHS)와 식품의약국(FDA)은 식품 공급망에서 석유 기반 합성 식용색소를 단계적으로 퇴출하겠다고 발표함. FDA는 관련 산업과 협력하여 천연 색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적색 3호(Red No. 3)의 경우 당초 예정된 시한보다 앞선 시점에 사용 중단을 요청함 1. 배경: 본 조치는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Make America Healthy Again)' 캠페인의 일환으로, 식품첨가물이 어린이 건강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됨. FDA는 NIH와 협..

[영국] 非통밀가루 제품에 엽산 강화 의무화 추진 (2026년 12월 전면 적용)

[영국] 非통밀가루 제품에 엽산 강화 의무화 추진 (2026년 12월 전면 적용)영국 비관세장벽 이슈 영국, 빵 및 밀가루 규정 개정 통해 영양소 기준 정비2025년 4월 17일, 영국 정부는 세계무역기구(WTO)에 '빵 및 밀가루 규정(Bread and Flour Regulations)' 개정 사실을 공식 통보함. 이번 개정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 전역에서 적용되며, 기타 조항은 이미 시행 중이고, 엽산(folic acid) 강화 의무화 등 주요 조항은 2026년 12월 13일부터 전면 시행될 예정임. 1. 배경: 영국 정부는 국민의 엽산 섭취를 높이고 임신 초기 태아의 신경관 결손 예방을 위해 기존 ‘빵 및 및가루 규정 (Bread and Flour Regulations)..

[인도] 유제품 대체품에 대한 라벨링 및 유통기준 이행 강화 추진

[인도] 유제품 대체품에 대한 라벨링 및 유통기준 이행 강화 추진인도 비관세장벽 이슈 인도 FASSAI, 유제품 대체품의 명확한 표시와 오인 방지를 위한 공청회 문서 발표2025년 4월 16일, 인도 식품안전기준청(FSSAI)은 식품안전기준규정 내 ‘유제품 대체품(Analogue in dairy context)’에 관한 협의문(Consultation Paper)을 발표함. 해당 문서는 관련 조항의 규정 준수 현황을 점검하고, 세부적인 이행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마련된 것임. 현재 이해관계자로부터 60일 이내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최종 규정에 반영될 예정임. 1. 배경최근 언론 등을 통해 ‘유제품 대체품’을 ‘일반 유제품’으로 오인하기 쉬워 소비자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됨. 이에 따라,..

[카타르] 식품업체 대상 검사 결과 이의신청 전자서비스 도입 (2025년 4월 21일 시행)

[카타르] 식품업체 대상 검사 결과 이의신청 전자서비스 도입 (2025년 4월 21일 시행)카타르 비관세장벽 이슈 카타르 보건부(MoPH), 식품업체 대상 이의신청 전자서비스 도입2025년 4월 21일, 카타르 공공보건부(Ministry of Public Health, MoPH)는 ‘Watheq’ 전자식품안전시스템을 통해 식품 검사 결과, 행정 조치, 실험실 결과에 대해 식품업체가 전자적 형태로 이의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서비스의 도입을 발표함. 1. 배경: 카타르 공공보건부(MoPH)는 'Watheq' 전자식품안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식품 등록, 검역 승인, 검사 요청, 인증서 발급 등 다양한 식품안전 관련 절차를 디지털화 하여 운영하고 있음. 기존 시스템에는 검사 결과 및 행정 조치에 대해 ..

[홍콩] 곤약 함유 젤리류 제품 규제 개정안 발표

[홍콩] 곤약 함유 젤리류 제품 규제 개정안 발표홍콩 비관세장벽 이슈 홍콩, 곤약 함유 젤리류 제품의 질식 위험 방지를 위한 규제 개정안 제안2025년 4월 17일, 홍콩 식품안전센터(CFS)는 「식품 및 의약품(조성 및 라벨링) 규정(Cap. 132W)」 개정안을 발표함. 이번 개정안은 곤약 함유 미니컵 젤리 제품의 제조 및 유통 기준을 명확히 하고, 포장 제품에 대한 질식 경고 표시 의무를 도입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해당 제안은 2025년 6월 8일까지 의견 제출이 가능함 1. 대상 제품과 개정 배경: ① 대상 제품: 곤약 - 정의: 얌가루, 글루코만난 또는 E425로도 알려져 있음 - 특징: 국제 식품규격위원회(Codex)에 따르면 곤약은 안전한 식품 첨가물로 간주되지만, 곤..

중국 2025.05.08

[중동] GCC 국가별 한국 장류 수출 동향

[중동] GCC 국가별 한국 장류 수출 동향■ 주요내용2025년 3월 누계 기준, GCC 국가 대상 한국 장류 총 수출액은 39만 4,814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2.51% 증가했다. 이는 중동 내 K-푸드 저변 확대를 반영하는 지표로, 한식에 대한 관심이 수출 실적으로 연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국가 및 품목별로 수출 실적은 뚜렷한 온도차를 보였다. 사우디아라비아: 간장 수출 증가, 된장·춘장·고추장 감소 사우디아라비아는 GCC 내 최대 수출 대상국 중 하나로, 2025년 3월 누계 기준 장류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63.68% 증가했다. 그러나 품목별로는 명확한 희비가 갈렸다. 간장은 142.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뚜렷한 성장세를 보인 반면, 된장(45.8%↓), 춘장(..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즉석식품 시장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즉석식품 시장[지구촌 리포트]▶ 인도시아 즉석식품 시장 개요 ‧ 2024년 인도네시아 즉석 식사 및 수프 시장은 물량과 가치 측면에서 긍정적인 성장을 기록했으며 판매량은 4,040억 루피아를 달성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 전망됨 ‧ MZ세대의 빠르게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즉석 식사와 수프의 인기가 상승 중임 ‧ 바쁜 현대인들 사이에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식사 옵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사 도우미가 없는 가정에서 즉석 식사 및 수프의 인기가 높음 ‧ 수프를 즐겨 먹는 현지인들 사이에서 즉석수프는 고기 육수를 우려내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주기 때문에 구매량이 상승하고 있음▶ 인도네시아산 즉석식품 현황 ‧ 인..

[태국] 식품 속 합성색소, 소비자 건강 우려 확산으로 안전성 검토 필요

[태국] 식품 속 합성색소, 소비자 건강 우려 확산으로 안전성 검토 필요 [사진: khaosod] ▢ 주요 내용 ㅇ 태국 소비자재단(Foundation For Consumers) 산하 “Smart Buy Magazine”은 지난 4월 25일, 유명 브랜드 15곳에서 판매 중인 타이 밀크티(Thai Milk Tea) 제품을 수거해 합성색소 사용 실태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ㅇ 본 조사는 식품 안전성과 소비자 보호 수준 제고를 위한 '소비자 감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태국 건강증진재단(Thaihealth)의 지원 아래 2025년 3월에 실시됐다. 조사 대상은 실제 소비자가 일반 매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브랜드 제품 15종으로 구성되었다. ㅇ 분석 결과, 조사 대상 전 제품에서 식품용으로 허용..

[중국] 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시장 긍정적 발전 전망

[중국] 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시장 긍정적 발전 전망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시장 긍정적 발전 전망 최근 베이징에서 열린 농업전망대회에서 (이하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이 보고서는 향후 10년간 중국 농산물 시장의 수급 상황에 대해 예측을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생산량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며, 유제품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유제품 수입은 감소세에서 반등할 것이며, 생우유 가격은 안정세를 찾은 후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유제품은 중국 국민 식단에서 점차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식품 소비에서 유제품 소비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소비수요 증가와 생산 수준 향상으로 인해 유제품 생산량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소..

중국 2025.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