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17

건강과 기능성, 지속가능성과 투명성으로 변화하는 아르헨티나 식품시장

건강과 기능성, 지속가능성과 투명성으로 변화하는 아르헨티나 식품시장트렌드아르헨티나부에노스아이레스무역관 배성용2025-05-16출처 : KOTRA 소비자, 건강과 기능성 겸비한 식품 적극 모색기업, 지속가능성·투명성 강화로 소비자 신뢰 공략디지털 결제 확산 속 유통 채널도 앱 기반으로 유저 경험 확대 중아르헨티나 중소기업연합회(CAME)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의 MZ세대 ‘신소비자’는 "우리가 먹는 것이 곧 우리 자신이다(We are what we eat)"라는 인식하에 건강한 식습관을 추구하고 있다. Forbes는 이를 더 구체화하며, 가공되지 않은 자연식품, 유기농 원료 및 인공첨가물 배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무엇을 먹는가"보다 "어떻게, 어디서, 왜" 먹는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분석한..

K-아이스크림, 헝가리의 여름을 얼려라!

K-아이스크림, 헝가리의 여름을 얼려라!트렌드헝가리부다페스트무역관 이수현2025-05-16출처 : KOTRA 프리미엄과 건강, 그리고 K-컬처...이국적인 맛과 건강 지향 아이스크림, 헝가리 소비자에게 어필 가능진출 초기엔 대형 마트 입점보다 온라인 플랫폼 또는 전문 수입업체를 통한 유통 테스트가 유리여름 축제, 팝업 부스 등 계절성 이벤트를 활용한 브랜드 노출 고려 필요헝가리 아이스크림 시장 개요 헝가리 아이스크림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2억6770만 달러(3748억 원)의 규모를 기록했으며, 지난 10년간 연평균성장률은 6.3%에 달했다. 아이스크림 시장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 Euromonitor Passport에선 2029년까지 3.2% 수준의 완만한 연평균성장률을 예상했으며, S..

일본 편의점, 위기 속에서 생활 플랫폼으로 진화하다

일본 편의점, 위기 속에서 생활 플랫폼으로 진화하다트렌드일본오사카무역관 김대수2025-05-16출처 : KOTRA 인구감소, 인력난, 시장 포화, 디지털화 속에서 구조 전환을 모색하는 일본 편의점 업계'이동 편의점', 무인화·자동화, 점포 기능 다변화, DX를 통한 UX 고도화일본의 편의점은 이제 단순한 소매 채널을 넘어, 지역 생활을 떠받치는 기반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유통기업과 지방자치단체에도 유의미한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 오늘날 일본의 편의점은 소매의 영역을 넘어 지역사회의 일상 인프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한 업계 트렌드를 넘어, 일본 사회가 직면한 구조적 과제인 인구 감소, 고령화, 인력난, 시장 포화, 디지털 전환 등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

일본 2025.05.18

[중국] 미중 관세 인하 합의, 무역 갈등 일시적 완화

[중국] 미중 관세 인하 합의, 무역 갈등 일시적 완화[중국] 미중 관세 인하 합의, 무역 갈등 일시적 완화 미국과 중국이 고율 관세를 둘러싼 갈등을 일부 해소하며 미-중간 무역 갈등이 일시적으로 완화되었다. 현지시간 5월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미중 경제무역 고위급 회담을 통해 양국은 상호 관세 인하를 골자로 한 을 발표했다. 1월 시진핑 국가주석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간 통화 이후 양국이 구체적 조치를 도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합의는 최근까지 이어졌던 미중 간 강경한 관세 공방 국면에서 나온 결과다. 미국은 올해 4월 기존 고율 관세에 더해 '상응관세'라는 명목으로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했으며, 그 비율은 34%에서 84%, 최대 125%까지 단계적으로 인상됐다..

중국 2025.05.18

[일본] 건강식 트렌드로 ‘생강’ 주목…식음료업계 활용 확대

[일본] 건강식 트렌드로 ‘생강’ 주목…식음료업계 활용 확대 일본 식품 업계에서 면역력 강화, 체온 상승, 혈류 개선 등의 효능을 지닌 생강이 건강식 재료로 다시금 주목 받고 있다. 생강은 일본에서 전통적으로 즐겨온 식재료이지만, 최근에는 기능성을 강조한 음료, 간편식, 조미료 제품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며 시장이 재조명되고 있다. 특히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코로나 이후, 생강을 활용한 제품 출시가 더욱 활발해졌다.■ 생강 활용 제품 다양화…음료부터 간식까지 확대 일본 식품업계에서는 생강을 활용한 제품 출시가 활발하다. 산토리식품인터내셔널은 고치현산 생강과 4종의 농축과즙(토마토, 자몽, 레몬, 오렌지)을 조합한 기능성 음료 ‘GINGER SHOT +’를 선보이며, 제품별로 차별화된 영양소 섭취..

일본 2025.05.18

[말레이시아] Mother’s Day(어머니날) 맞이 식품·유통업계 특별 이벤트 동향

[말레이시아] Mother’s Day(어머니날) 맞이 식품·유통업계 특별 이벤트 동향 ❍ 말레이시아는 매년 5월 둘째 주 일요일을 어머니의 날을 기념하여 온 가족이 모여 어머니의 날을 축하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음 - 일반적으로는 어머니에게 감사 편지와 함께 꽃을 선물하거나 가족끼리 외식을 하는 식으로 기념되며 아버지의 날은 6월 셋째 주 일요일에 따로 기념 ❍ 말레이시아 외식업계는 어머니의 날을 맞이하여 각종 할인 및 이벤트를 기획 - 현지 이탈리아식 전문 프랜차이즈 Italiannies는 어머니날을 맞아 5월 10일부터 12일까지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특정 메뉴를 무료로 증정 - 현지 치킨 프랜차이즈 Marrybrown도 5월 9일부터 11일까지 치킨 세트 2개를 할인가로 제공하는 어머니날..

카테고리 없음 2025.05.18

[중동] 한국 식품, 매운맛 앞세워 중동 시장 확대

[중동] 한국 식품, 매운맛 앞세워 중동 시장 확대■ 주요내용한국의 식품 수출이 매운맛을 강조한 제품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중동 지역이 새로운 수출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KATI) 통계에 따르면, 2025년 4월 기준 중동(GCC) 지역으로의 한국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약 8,984만 달러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9.2% 증가했다. 특히, 라면과 소스류 품목 수출은 각각 41.9%, 43.8% 증가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매운맛 제품들은 중동 시장 내 인기를 주도하고 있다. 특히 매운 라면 제품은 GCC 지역 소비자들 사이에서 한국 식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며 수요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 농심과 삼양 등 주요 브랜드가 현지 시장에서 인기를 얻자, ..

[UAE] 한식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시장 동향

[UAE] 한식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시장 동향▷ UAE 내 한식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현황UAE 외식 시장에서 한식이 고급화 흐름을 타고 있다. 아부다비와 두바이의 럭셔리 호텔과 프리미엄 쇼핑몰을 중심으로, 정통 한식 바비큐를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한 파인다이닝 레스토랑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실제로 프리미엄 한식 바비큐 레스토랑 수는 2023년 1곳에서 2024년 4곳으로 급증했다. ▷ 주요 한식 파인다이닝 레스토랑1. 누리(NURI Grill & Bar) 아부다비 야스 아일랜드의 중심부, 힐튼 호텔 내에 위치한 ‘누리(NURI)’는 모던 한식 파인다이닝 컨셉의 프리미엄 바비큐 레스토랑이다. ‘누리’는 아랍어로는 '빛', 빛나는 또는 밝음을, 한국어로는 '세상'을 뜻하는 고유어로, 세상이 다양한 방식..

[중국] 중국식 건강빵, 새로운 중국식 양생 열풍의 신흥강자

[중국] 중국식 건강빵, 새로운 중국식 양생 열풍의 신흥강자새로운 중국식 양생(新中式养生)이 소셜미디어에서 유행하는 가운데, ‘약식동원(藥食同源)’ 화제어가 함께 태그가 된 중국식 건강빵이 젊은 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많은 이들은 중국식 건강빵 가게를 새로운 핫플레이스로 삼아 방문하며 다양한 후기를 생성하고 있고, 인기 후기 콘텐츠는 수천 개의 좋아요와 댓글을 기록 중이다. *이미지 출처 : 톈진중의약대학교 제일부속병원 내 베이커리점 소셜미디어 내 인기와 오프라인 줄서기 현상 외에도 중국식 건강빵의 인기를 증명하는 것은 ‘짝퉁’ 출현이다. 4월 하순, ‘약선 빵(药膳面包)’을 판매하기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양저우시 중의원(揚州市中醫院)은 “병원 식당 창구 외에는 정식 판매처가 없다.”..

중국 2025.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