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10

[EU] 포장 및 포장 폐기물 규정 개정

[EU] 포장 및 포장 폐기물 규정 개정EU 비관세장벽 이슈 EU, 포장 및 포장폐기물 규정(PPWR) 개정유럽연합(EU)은 포장폐기물과 원자재 낭비를 줄이고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기존의 포장 및 포장폐기물 지침(PPWD)을 대체하는새로운 규정(PPWR, Packaging and Packaging Waste Regulation)을 2025년 2월에 도입함. 본 규정은 2026년 8월 12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재사용 및 재활용 가능한 포장 의무화, 유해물질 제한, 과대포장 금지 등을 포함하고 있음. 1. 배경: EU는 포장재로 인한 환경 오염과 자원 낭비 문제에 대응하고, 회원국 간 규제 차이를 해소하고자 포장 및 포장폐기물 규정(PPWR)을 도입함. 기존 지침(PPWD)은 국가별..

[중국] 보건식품 건강기능표시 인정목록에 “관절 건강 유지” 기능 신규 추가

[중국] 보건식품 건강기능표시 인정목록에 “관절 건강 유지” 기능 신규 추가중국 비관세장벽 이슈 중국, 보건식품 목록에 “관절 건강 유지” 기능을 신규 추가하는 개정안 발표2025년 4월 24일,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보건식품(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표시 인정목록(保健食品声称的保健功能目录)" 개정안 초안에 대한 공청회를 개시함. 이 개정안은 "관절 건강에 유지에 도움됨(有助于维持关节健康)"을 보건식품 건강기능표시 인정목록에 추가하는 것을 제안하며, 의견 수렴 기간은 2025년 6월 2일까지임 1. 배경 (상세한 내용은 원문 참조)1) 국제 기준 적용: 국제적으로는 미국, EU, 한국 등에서 이미 확립된 기능성 기준 및 연구 방법론을 참고함으로써, 국제적으로 통용 가능한 기준을 도입함2..

중국 2025.05.12

[태국] 잼, 젤리 및 마멀레이드 제품의 품질 기준 개정

[태국] 잼, 젤리 및 마멀레이드 제품의 품질 기준 개정태국 비관세장벽 이슈 태국, 잼/젤리/마멀레이드 제품의 품질 분석 기준 개정2025년 2월 14일, 태국 식약처(FDA)는 잼, 젤리 및 마멀레이드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분석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보건부 고시 제455호 (B.E.2568 / 2025년)」를 발표함. 동 개정은 기존에 다양한 규정에 산재해 있던 품질 분석 및 검사 기준에 대해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명시함 1. 배경: 태국 보건부는 잼, 젤리 및 마멀레이드 제품에 대한 품질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도록 고시를 개정함. 이번 개정은 유사 제품 간 규제를 한 고시에서 통합하여 복잡성을 줄임으로서, 무역과 제품 개발의 장벽을 완화하며, 소비자 안전 보호 및..

5월 1주차 주요 비관세장벽 이슈 뉴스레터

5월 1주차 주요 비관세장벽 이슈 뉴스레터5월 1주차 글로벌 식품 비관세장벽 뉴스레터 (이슈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o 중국, 건강기능표시 인정목록에 “관절 건강 유지” 기능 신규 추가o 한국, 라벨링과 영양성분 관련 식품등의 표시기준 일부 개정o 대만, 수입 주류의 원산지 오인 방지를 위한 포장 표시 관련 발표o 태국, 잼, 젤리 및 마멀레이드 제품의 품질 기준 개정o 러시아, 수입 주류 대상 연방특별마크(FSM) 라벨링 규정 변경o EU, 포장 및 포장폐기물 규정 강화o 대만, 식품 원료 사용 제한 및 표시 요건 발표o 프랑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함유 식이보충제의 유통을 1년간 금지

[일본] 쇼와 100주년, 일본 식품업계 레트로 열풍

[일본] 쇼와 100주년, 일본 식품업계 레트로 열풍 2025년 일본 식품·외식 산업 전반에 ‘레트로 열풍’이 불고 있다. 과거 쇼와(昭和) 시대(1926~1989년)의 향수를 자극하는 복고풍 감성부터 뉴트로(Newtro)로 불리는 현대적 재해석, 그리고 2000년대 초반 Y2K 트렌드까지 옛것의 재발견이 음식과 외식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2025년은 쇼와 100년에 해당하는 해로서, 당시를 직접 겪지 않은 젊은 세대에게 ‘쇼와’는 새로운 트렌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복고 흐름은 음식, 패션, 음악, 라이프스타일 등 다방면으로 확산되어, 식품업계에도 과거의 유행을 현대에 부활시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ㅁ 세대 초월한 '뉴트로' 열풍과 SNS 확산 이번 레트로 붐은 특정 세대에 국한..

일본 2025.05.12

세계인 입맛 잡은 ‘K-소스’ 수출 전략 품목

세계인 입맛 잡은 ‘K-소스’ 수출 전략 품목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5.12 07:55소스로 간편하게 한식 즐겨…작년 수출 4.1% 증가한 3억9400만 불대상, 고추장·떡볶이 소스 등 20개국에 수출삼양식품 ‘불닭 소스’ 글로벌 핫 소스로 육성농심, B2B 소재 신사업으로 소스 개발 나서식품진흥원 中企 지원…작년 6건 수출 계약‘K-소스’가 수출 전략 품목으로 주목받고 있다. 소비 침체로 전통 장류 시장 규모가 감소하는 가운데 전통 장류를 이용한 K-소스는 세계 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하며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다.농식품부에 따르면 K-소스 수출액은 작년 전년 대비 4.1% 증가한 3억9400만 달러를 달성했다. 올 1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9.1 늘어 난 1억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현지 트..

식품뉴스 2025.05.12

중국의 과자 시장동향

중국의 과자 시장동향상품DB중국칭다오무역관2025-05-09출처 : KOTRA 중국 과자 시장 규모 2031년 4072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예상중국 소비자들 기능성 과자에 관심, 대형 과자 할인점 등 신유통채널 공략 필요상품명 및 HS 코드 과자의 HS 코드는 1905.90이며 빵, 파이, 케이크, 비스킷과 그 밖의 베이커리 제품을 포함한다. 과자 시장 규모 중국 전문 시장조사 컨설팅회사인 지옌컨설팅(智妍咨询)에 따르면, 중국의 과자 생산량은 2021년 1174만 톤에서 2024년 1437만 톤으로 증가했으며, 최근 몇 년간 연평균 약 7%의 성장률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단위: 만 톤)[자료: 지옌컨설팅(智妍咨询)] 지옌컨설팅(智妍咨询)에 의하면, 미국, 유럽 등 지역은 1인당 연간 과자 소비량이..

중국 2025.05.12

생산 확대와 소비 다변화가 만드는 새로운 우즈베키스탄 식음료 시장

생산 확대와 소비 다변화가 만드는 새로운 우즈베키스탄 식음료 시장트렌드우즈베키스탄타슈켄트무역관 한정선2025-05-09출처 : KOTRA 소비 변화와 정책 지원 속 식음료 시장 확대새로운 카페 문화 확산과 식품 박람회 활성화 우즈베키스탄의 식품 산업은 최근 몇 년 사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F&B(식음료)와 HoReCa(호텔·레스토랑·카페) 부문이 활기를 띠며 시장 전반에 변화의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 식품 생산과 농업 부문도 정부의 중점 육성 산업으로 지정되어 체계적인 지원 아래 발전 중이고 현지 소비자들의 식문화와 식습관 변화에 발맞춰 식품 관련 행사와 전시회 개최도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식음료 산업 동향 우즈베키스탄 정부 공식 발표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육류..

러시아 2025.05.12

뉴질랜드 식품 장비 시장, 스마트 기술로 진화 중

뉴질랜드 식품 장비 시장, 스마트 기술로 진화 중트렌드뉴질랜드오클랜드무역관 이보라2025-05-09출처 : KOTRA 뉴질랜드 식품 산업은 국가 경제의 핵심 산업으로 식품 가공업 활발식품 장비 분야 자동화, 위생 설계 강화, 친환경 포장재 분야 유망뉴질랜드는 농축산업을 기반으로 한 1차 산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식품 안전 기준이 세계적으로 높은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향후 스마트 식품 장비 및 자동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식품 장비 및 관련 스마트 기술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에게 뉴질랜드는 유망한 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어, 뉴질랜드 내 식품 장비 산업의 트렌드와 수출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식품 산업 개요 뉴질랜드는 농축산업을 기반으로 한 식품 산..

Z세대를 통해 본 미국의 식품 트렌드

Z세대를 통해 본 미국의 식품 트렌드트렌드미국뉴욕무역관 김동그라미2025-05-09출처 : KOTRA Z세대의 식품 소비 성향은 미국 식품 시장을 이끄는 핵심 축지속 가능하고, 건강하며, 재미있는 먹거리 찾는 미 Z세대Z세대는 미국 식품 소비 트렌드를 주도할 뿐만 아니라 식품 산업 전반의 방향성을 바꾸고 있다. 디지털 네이티브이자 사회적·환경적 가치에 민감한 Z세대는 식품을 선택할 때 지속 가능성, 건강, 윤리성 등을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며, 그 영향력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어테스트(Attest)가 실시한 Z세대의 식품 소비 관련 설문조사를 토대로 Z세대가 주도하는 미국 식품 트렌드를 들여다본다. 식품 소비도 지속 가능한 제품 선택 지속 가능성 트렌드는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