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전반

[스크랩] 무기질에 관하여

곡산 2007. 3. 24. 19:32

무기질

 1.무기질


우리 신체는 적어도 31가지의 화학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24가지가 생명유지를 위한 필수성분입니다. 이 필수원소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되어 신체의 여러 조직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양의 비금속 원소는 산소로써 체중의 65%를 차지하고 있고, 탄소(10%), 수소(10%), 질소(3%) 등이 체중의 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신체의 나머지 부분은 "무기질"이라고 불리는 원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체내의 무기질 양은 비록 소량이지만 세포가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입니다. 

대부분의 무기질들은 세포 안에서 발견되며 효소나 호르몬, 비타민 등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무기질들은 뼈에 있는 칼슘 인산염(calcium phosphate)처럼 어떤 특정한 물질과 결합하여 존재하거나, 세포내액에 있는 칼슘이온(Ca++)과 나트륨 이온(Na+)처럼 단독으로도 존재합니다. 체내 무기질은 다량원소(하루 100mg 이상 필요한 무기질)와 미량원소(하루 필요량이 100mg 미만인 무기질)로 분류될 수 있으며 체내에 있는 미량원소의 총량은 15g입니다.


 2.무기질의 체내 유용성


무기질의 유용성(bioavailability)란 특정한 무기질이 체내에서 얼마나 잘 흡수되어 생화학적 기능에 유효한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한 종류의 무기질을 과잉 섭취하는 것은 다른 무기질들의 흡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몇몇 무기질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경쟁하기 때문입니다. 아연의 과도한 섭취는 구리의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한편 어떤 무기질과 비타민을 같이 섭취하면 상승작용이 생길 수 있는데, 이것을 비타민-무기질 상호작용이라 합니다. 예를 들면 철분흡수는 비타민 C에 의해 증가되고, 비타민 D와 칼슘의 유용성은 섬유소-무기질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곡류에 들어있는 섬유소나 커피에 들어있는 phytate과 시금치, 차 등에 들어있는 수산(oxalate)에 의해 흡수율이 감소합니다. 실제로 너무 많은(매일 35g 이상) 섬유소를 섭취하면 칼슘, 아연, 마그네슘과 철분의 흡수율이 떨어지는데, 이것은 무기질들이 phytate나 수산과 결합하여 대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3.무기질의 기능


무기질은  체내에서 체내의 여러 물질의 구성요소가 되며, 생리현상을 조절하기도 합니다. 반면, 비타민은 대사과정의 촉매로 생성물의 한 부분이 되지 않으면서 화학반응을 활성화시킵니다. 무기질은 체내에서 크게 3가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무기질은 골격과 치아조직 등 체조직의 구조적 형성에 관여한다.
2) 무기질은 정상적인 심장박동, 근육의 수축성 조절, 신경의 자극전달, 그리고 체액의     산-알칼리 평형에 관여한다.
3) 무기질은 대사작용의 조절기능을 하며, 세포활동에 관여하는 효소나 호르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무기질은 당질, 지질, 단백질의 분해과정 중 에너지를 내는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포도당으로부터 글리코겐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부터 지질을, 그리고 아미노산으로부터 단백질을 합성하는데 있어서도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또한 무기질은 호르몬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기도 합니다. 식이 중 요오드의 결핍으로 생기는 티록신의 부족은 신체의 기초대사율(basic metabolism)를 저하시킵니다. 세포내에서 포도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합성에는 아연(Zn)이 필요하고,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위산은 염소(Cl)로부터 생성됩니다. 

다음 표는 다량 및 미량 무기질의 급원식품, 체내 주요기능 결핍증 및 1일 권장량을 요약하였습니다. 비타민과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무기질은 음식과 물로부터 쉽게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기질을 약제로 복용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 다량 무기질의 급원식품, 기능, 결핍증 및 권장량]

다량
무기질

급원식품

체내주요기능

결핍증

1일 권장섭취량

칼슘
(Ca)

우유, 치즈,
말린 콩,
녹황색채소

뼈, 치아 형성,    
혈액응고, 근육수축,
신경자극 전달

구루병,
골다공증,
성장 위축

 영아 : 500㎎
 소아 (1-3세) : 500㎎
        (4-6세) : 600㎎
        (7-9세) : 700㎎
 청소년
       남 (10-12세) : 800㎎
           (13-19세) : 900㎎
       여 : 800㎎
 성인 : 700㎎
 임신 (전,후반) : + 300㎎


(P)

우유 및 유제품,
곡류,

어육류,  

견과류

뼈, 치아 형성,
산-염기 균형

식욕부진,
Ca 손실,
근육 약화

 영아 (0-4개월) : 380㎎
        (5-11개월) : 420㎎
 소아 (1-3세) : 500㎎
        (4-6세) : 600㎎
        (7-9세) : 700㎎
 청소년

      남 (10-12세) : 800㎎
          (13-19세) : 900㎎
      여 : 800㎎
 성인 : 700㎎
 임신 (전,후반) : + 300㎎

 칼륨
(K)

녹황색 채소, 콩류,

바나나,
우유

신경자극 전달,
산-염기 균형

근육경련,
식욕저하,
불규칙한 심박동

없음

유황
(S)

육류, 달걀,
콩류, 조개, 밀의 배아

산-염기 균형,

해독작용,
세포단백질의 구성

보고된 바 없음

없음

나트륨
(Na)

소금, 육류,  
베이킹소다,
우유 및
유제품,
화학조미료
(MSG)

산-염기 균형,
물의 균형,
신경자극 전달

구토,

근육경련,

현기증,

식욕감소

없음

염소
(Cl)

소금,  야채, 과일

물의 균형,

삼투압조절,
산-염기 균형,

위산생성

구토, 설사

없음

마그네슘
(Mg)

전곡,

견과류,  

녹색잎채소

단백질합성,

효소활성화,
신경 및 심장기능

성장저해,
행동장애,
식욕부진

없음


[ 미량 무기질의 급원식품, 기능, 결핍증 및 권장량]

미량
무기질

급원식품

체내주요기능

결핍증

1일 권장섭취량


(Fe)

간, 귤, 육류,
녹색잎 채소, 난황

간, 귤, 육류,
녹색잎 채소,
난황

빈혈, 허약,
면역 저하

 영아 (0-4개월) : 6㎎
       (5-11개월) : 10㎎
 소아 (1-6세) : 10㎎
        (7-9세) : 12㎎
 청소년
       남 (10-12세) : 12㎎
            (13-19세) : 18㎎
        여 : 18㎎
 성인 남 : 12㎎
        여 : 18㎎
 임신 (전반) : + 8㎎
        (후반) : + 12㎎

아연
(Zn)

식품 중에 널리 분포,

간, 해조류

여러 효소활동에 관여

신체 및 성적 성장 저해,

미각감퇴증

 영아 : 5㎎
 소아 : 10㎎
 청소년 남 : 10㎎
           여 : 12㎎
 성인 남 : 15㎎
        여 : 12㎎
 임신 (전,후반) : + 3㎎

구리
(Cu)

간, 귤,  

코코아,    
견과류,

해조류

헤모글로빈 합성,
뼈의 석회화

빈혈

없음

셀레늄
(Se)

해조류,

고기,  
곡류

항산화제 역할,
세포막 유지

매우 드뭄

없음

불소
(F)

불소첨가음료,  해조류

골격형성, 충치의 예방

충치

없음

요오드
(I)

해조류

갑상선호르몬의 구성성분,

기초대사율

갑상선종,
크레틴종

없음

출처 : 나만의 세상----
글쓴이 : 산소아기씨 원글보기
메모 :

'식품전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당질에 관하여  (0) 2007.03.24
[스크랩] 물에 관하여  (0) 2007.03.24
[스크랩] 비타민에 관하여  (0) 2007.03.24
[스크랩] 지질에 관하여  (0) 2007.03.24
[스크랩] 중층낚시 떱밥의 종류 와 특성  (0) 2007.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