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919

미국 FOP 라벨 규제 변화 임박, 한국 기업의 선제적 대응 전략-이주형의 글로벌 푸드트렌드(2)

미국 FOP 라벨 규제 변화 임박, 한국 기업의 선제적 대응 전략-이주형의 글로벌 푸드트렌드(2) 이주형 전문위원 승인 2025.04.01 07:48포장 뒷면서 ‘포장 앞면’에 주요 영양 정보 표시 요구소비자 구매 기준 변화…제품 개발·판매 전략에 영향한국 기업에 위기이자 기회…개량·혁신으로 대처를라면 등 저나트륨에 설탕 대신 꿀 등으로 단맛 내야발효 등 건강 이점 강조하고 FOP 맞춰 포장 재설계△이주형 전문위원(법무법인 비트 글로벌식품산업 지원실장)미국식품의약국(FDA)이 추진 중인 ‘Front-of-Package(FOP) Nutrition Labeling’ 제도는 식품 포장 앞면에 주요 영양 정보를 간결히 표시하도록 요구한다. 이는 비만, 심혈관 질환 등 식습관 관련 질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

홈플러스 회생 절차 불구 식품 업계 ‘납품 불안’

홈플러스 회생 절차 불구 식품 업계 ‘납품 불안’ 황서영 기자 승인 2025.04.01 07:57일부 업체, 대금 미수 우려로 중단했다가 재개서울우유 등은 납품 중단 상태서 사태 관망 중정산 주기 단축·선입금 등 거래 조건 변경 요구홈플러스 “일정 따라 결제…선납은 수용 곤란”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납품하는 식품업체들과의 협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개시 직후 오뚜기, 삼양식품, 롯데웰푸드 등 일부 식품업체는 대금 미수 우려로 납품을 중단했다. 그러나 서울회생법원이 납품 대금 우선 변제를 허가하면서 이들 업체는 납품을 재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반면 서울우유 등 일부 업체는 여전히 납품 중단 상태를 유지하며 상황을 관망하고..

식품전반 2025.04.01

제주 감귤초콜릿 등 9개 상품 용량 줄고 단위가격 올라

제주 감귤초콜릿 등 9개 상품 용량 줄고 단위가격 올라 이지현 기자 승인 2025.03.31 10:19 [용량 감소하고 단위가격 오른 상품]제키스 제조ㆍ판매 ‘제주 감귤초콜릿’, ‘제주 한라봉초콜릿’더 식품 제조 한일유통 판매 ‘쫄깃쫄깃 뉴 호박엿’착한습관 소분ㆍ판매 엔바이오텍 수입 ‘착한습관 유기농 아로니아 동결건조 분말’YURAKU CONFECTIONERY CO., LTD 제조 엔제이 판매 ‘블랙썬더 미니바’, ‘블랙썬더 아몬드&헤이즐넛’, ‘블랙썬더 미니바 딸기’Witor’s S.P.A. 제조 성풍양행 판매 ‘위토스 골든 초콜릿’SEIKA FOODS CO. LTD 제조 맘이가 판매 ‘세이카 라무네 모찌 캐러멜 사탕’소비자원, ’24년 4분기 슈링크플레이션 모니터링 결과용량 변동 사실 고지가 미비한 ..

식품뉴스 2025.04.01

K-푸드 네덜란드 진출 확대, 양국 농식품 무역 주목

K-푸드 네덜란드 진출 확대, 양국 농식품 무역 주목트렌드네덜란드암스테르담무역관 한문갑2025-03-31출처 : KOTRA 한국의 對네덜란드 농식품 수출 급증, 네덜란드의 對한국 수출은 감소세한식 인기 상승으로 네덜란드 시장 농식품 시장 진출 기회 확대네덜란드 농식품 수출액 역대 최대 기록 2024년 네덜란드 농식품 무역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수출액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1289억 유로에 달했고, 수입액은 전년 대비 3.2% 증가한 861억 유로를 기록했다. 네덜란드 농식품 무역의 핵심은 유럽 시장이다. EU 27개국은 2024년 네덜란드 농식품 수출의 72%, 수입의 58%를 차지하는 가장 중요한 교역 파트너로, 네덜란드는 이들 국가와의 교역에서 433억 유로의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

포르투갈 라면 시장동향

포르투갈 라면 시장동향상품DB포르투갈리스본무역관 오유진2025-03-31출처 : KOTRA 포르투갈 면류 시장, 2024년 소매 판매액 1900만 유로 달성포르투갈 내 빠르고 간편한 식사 트렌드 확산, 한국 라면의 성장 기회소비자들의 친환경 패키징 및 건강식 선호 증가에 따른 한국 기업의 빠른 대응 필요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HS Code그 밖의 파스타 190230 (인스턴트 라면 포함)  시장동향 포르투갈 정부 기관 GEE (Gabinete de Estratégia e Estudos)에 따르면, 포르투갈 내 식품 제조업 부문은 최근 주목할 만한 성장과 회복력을 보여왔다. 2023년 기준, 식품 제조업 부문 기업은 1만1500개사이며, 고용인원은 전년 대비 5% 증가한 약 12만 명으로 조사됐다. 경..

빠른 도시화와 가공식품 소비 증가로 유망한 방글라데시 식용유 시장 동향

빠른 도시화와 가공식품 소비 증가로 유망한 방글라데시 식용유 시장 동향트렌드방글라데시다카무역관 이성훈2025-03-31출처 : KOTRA 약 1억 7000만 명 인구의 방글라데시, 인구는 계속 증가 추세빠른 속도의 도시화 및 가공식품 소비 확대로 식용유 수요 증가현지 식용유 시장개요 방글라데시 식용유 시장은 1인당 소비량이 18.7kg로 연간 300만 톤 규모이다. 반면 현지 생산량은 25만 톤 수준으로, 대부분 92%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5년 식용유 시장은 약 17억 500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동 시장의 연간 성장률은 9.8%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이슈로 수입 의존도가 큰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편의점, 리테일을 넘어 복합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

말레이시아 편의점, 리테일을 넘어 복합 라이프스타일 공간으로트렌드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무역관 최혜민2025-03-31출처 : KOTRA 말레이시아 편의점 시장, 2028년까지 46억 달러 규모 전망일본·한국계 브랜드 경쟁 심화… 프리미엄 제품·디지털화 전략 주목말레이시아 편의점 시장 개요 말레이시아의 편의점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Gourmetpro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편의점 시장 규모는 약 29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8년까지 4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19년 대비 약 40% 증가한 수치로, 편의점 업계가 말레이시아 유통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성장세는 몇 가지 요인에 의해 촉진되고 있다. 첫째, 도시화 및 생활 패턴 변..

[헝가리]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상승 및 한국 식품 수출 동향

[헝가리]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상승 및 한국 식품 수출 동향[헝가리]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물가상승 및 한국 식품 수출 동향 ※이미지 출처: Getty 헝가리는 최근 유럽 연합(EU) 국가 중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율을 기록한 바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빅토르 오르반 총리는 식품 가격 통제를 시행하기 시작했다. 이 조치는 2025년 3월 중순부터 적용되며, 일부 품목의 가격이 계란 40%, 버터·사워크림 80%까지 급등한 데 따른 대응책이다.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헝가리는 EU 27개국 중 가장 심각한 인플레이션 충격을 겪고 있으며, 공식 통계에 따르면 식품 가격은 1년 만에 평균 7.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정부는 2025년 3월 중순부터 닭고기, 돼지고기, 우유,..

[미국] 소비자 심리 하락,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할 것이라는 우려 확산

[미국] 소비자 심리 하락,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할 것이라는 우려 확산금요일 발표된 미시간대학교 (University of Michigan)의 소비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촉진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소비자 심리가 하락하고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설문조사를 총괄한 조앤 수(Joanne Hsu)는 소비자들은 전반적으로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플레이션 재확산에 대비하고 있다고 분석했다.연방준비제도(Fed)는 1월 29일 인플레이션 우려 속에서도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한편, 연준 관계자들은 최근 몇 주 동안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대체로 안정적이라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보스턴 연준 총재 (Boston Fed Pr..

[필리핀] 소비자 동향

[필리핀] 소비자 동향필리핀 소비자 동향 2025년 3월, 하노이지사○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이동- 다른 아세안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필리핀의 소비 형태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있음- 유로모니터의 필리핀 E-Commerce 보고서에 따르면 `24년 필리핀 전자상거래 거래금액은 116억 1,500만 달러로 전년도 대비 25.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나며, 필리핀의 확대되는 온라인 소비자 경험에 따라 많은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소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필리핀 MZ세대는 디지털 세대로 휴대전화 사용 및 온라인 소비에 익숙하며,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융합된 소비 형태를 보이고 있음- 필리핀 온라인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업체는 Shopee로 2,700만 명의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