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필리핀] 소비자 동향

곡산 2025. 3. 31. 23:16

[필리핀] 소비자 동향

필리핀 소비자 동향

 

2025 3, 하노이지사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이동

- 다른 아세안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필리핀의 소비 형태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고 있음

- 유로모니터의 필리핀 E-Commerce 보고서에 따르면 `24년 필리핀 전자상거래 거래금액은 116 1,500만 달러로 전년도 대비 25.0% 성장한 것으로 나타나며, 필리핀의 확대되는 온라인 소비자 경험에 따라 많은 소비자들은 온라인에서 소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 필리핀 MZ세대는 디지털 세대로 휴대전화 사용 및 온라인 소비에 익숙하며,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융합된 소비 형태를 보이고 있음

- 필리핀 온라인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업체는 Shopee 2,700만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뒤를 이어 Lazada, Shein, ZALORA 등의 순을 보임

 



 늘어나는 중산층 및 젊은 인구

- `24년 기준 필리핀의 1인당 GDP는 약 4,150 달러로 아세안 국가 중 베트남에 이어 5위에 위치하였으며, 10년 전 3,000 달러 대비 약 38.3% 성장하였음

- 하지만 필리핀의 소비자들은 구매 제품의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물가 상승에 따른 구매 효용 가치 극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 필리핀의 인구는 `24년 기준 11631만 명으로, 전년도 대비 약 94만 명이 증가하였으며, 합계 출산율은 `23년 기준 1.9명으로, 이에 따른 도시화 및 안정적인 출산율의 증가와 함께 소비 시장 형태가 재구성되고 있음

- 가처분 소득의 증가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 및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및 높은 품질의 제품에 대한 소비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또한 도시 이주에 따른 지리적인 변화 및 외국계 업체의 필리핀 진출에 따라 외국 문화와의 접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필리핀 소비자들의 물품 구매 성향도 맞춰 변화하고 있음

 K-Food 소비 동향

- `24년 필리핀은 농림수산식품 34108만 달러를 수입하였으며, 이는 아세안 국가 중 2위에 해당하는 수치로 전년도 대비 22.5% 증가한 수치임

- 필리핀 내 한국 문화 컨텐츠 확산에 따라 한국 제품의 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품목으로는 라면, , 과자, 음료, 소스류, 아이스크림과 같은 가공식품이 주로 필리핀 유통매장에서 판매되고 있음

- 필리핀 현지에 진출해있는 업체들을 중심으로 K-Food 컨셉을 잡은 다양한 콜라보 음식을 출시하고 있으며, 삼겹살 피자, K-Chicken 버거, K-Beef 버거 등 다양한 제품군을 출시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혹하고 있음

- 필리핀 1선 도시를 중심으로 한국 음식 프랜차이즈의 진입 및 한국 음식을 판매하는 매장도 증가하고 있으며,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어 향후 한식당의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시사점

- K-Food 열풍이 진행 중인 필리핀 시장의 지속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하여 한국 제품을 추가적으로 수출할 수 있는 판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 가공식품과 더불어 한국산 신선식품의 확대를 위해 대형 유통매장과 연계한 한국 제품의 소개 및 홍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임

 출 처

- Euromonitor / Philippines : Consumer Profile

- Euromonitor / Retail E-Commerce in the Philippines

- Quy mô nền kinh tế Việt Nam trong ASEAN-6 / Mekong Asean / 2025.02.20.

 문의처

- aT 하노이지사 +84 24-6282-2987 / 필리핀 수출모니터 작성


문의 : 하노이지사 이승현(zzsk1010@a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