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기후변화환경부, 식품통제시스템평가 프로젝트 실시
■ 주요내용
지난 2월 7일, UAE 기후변화환경부(MOCCAE)와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UAE 식품 통제 시스템 평가(Food Control System Assessment) 프로젝트를 발표하는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이번 ‘식품 통제 시스템 평가‘ 프로젝트는 두바이 기후변화환경부 본부에서 열린 5일간의 제도 시행 교육 워크숍에서 발표되었으며, UAE의 관련 기관(Competent Authorities, CAs) 소속 50명 이상의 주요 담당자들이 참여하며, 국가 식품 통제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의 시작을 알리는 자리가 되었다.
▷두바이 MOCCAE에서 5일간 워크숍 개최
![](https://blog.kakaocdn.net/dn/WSqQ7/btsMk3cpkAn/HCIml5zdjXpWrFc1DFXkO1/img.png)
이번 워크숍은 UAE의 연방 및 정부 기관의 고위 관계자와 기술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FAO 전문가들이 FAO/WHO 식품 통제 시스템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평가 기준을 설명하였다. 이번 프로젝트는 UAE의 식품 안전 정책과 식품 모니터링 및 검사 시스템, 리스크 관리, 추적성 등 약 160개의 기준을 기반으로 UAE의 식품 통제 시스템을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UAE의 식품 안전 시스템을 국제 표준에 맞추고, 식품 안전 조치를 강화하며 무역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UAE 기후변화환경부의 식품 다양성 부문 차관보 무함마드 살만 알 하마디 박사(Dr. Mohammed Salman Al Hammadi)는 워크샵 기조 연설을 통해 “식품 안전은 UAE 국가 식량 안보 전략(National Food Security Strategy)의 핵심 요소이며, 공중 보건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FAO와 협력하여 ‘식품 통제 시스템 평가 프로젝트(Food Safety Index)’를 시행하고,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덧붙여 “이 프로젝트는 UAE의 식품 안전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준점을 마련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MOCCAE 및 지역 당국은 국제 모범 사례에 맞춰 기존 시스템을 개선하고, 연방 차원에서 식품 안전 수준을 측정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식품 규제 기관의 데이터 및 역량을 검토하고, 현지 법률과 식품 시설의 검사 및 모니터링, 수입 식품 검사, 식품 실험실, 동물 사료 등 식품 안전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전반적인 시스템을 분석할 계획입니다.”라고 설명하였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참가자들에게 평가 기준과 주요 지표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을 제공하며, 효과적인 데이트 수집 및 분석 방법을 안내했다. 이번 UAE 식품 안전 시스템 평가 프로젝트를 통해 UAE 당국은 식품 안전 시스템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를 확보하고, 식품 안전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UAE의 식품 안전 기준을 국제 표준에 맞춰 지역 및 국제 무역 활성화를 시키는 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하였다.
■ 시사점
UAE 기후변화환경부(MOCCAE)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UAE의 식품 공급망 전반에서 품질 관리 및 안전성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으로 보인다. 특히, 식품 관련 법과 규제를 국제 표준에 맞춰 조정하는 것이 핵심 목표로 설정되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UAE는 식품 안전 시스템의 국제적 신뢰도를 높이고, 국민 건강을 보호하는 동시에 무역 경쟁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 출처
ZAWYA
MSN
Dubaieye1038
https://www.dubaieye1038.com/news/local/uae-launches-assessment-of-food-control-systems/
문의 : 두바이지사 권혁우 (harrykwon@at.or.kr)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호주 경제에 뿌리내린 식품 가격 상승 (0) | 2025.02.17 |
---|---|
[말레이시아] 2025 말레이시아 초콜렛 시장 동향 (0) | 2025.02.17 |
[태국] 태국 주류 시장: 성장하는 산업과 변화하는 트렌드 (0) | 2025.02.15 |
[두바이]중동 및 아프리카 2024년 수출 동향 파악 (0) | 2025.02.15 |
[말레이시아] 한국 아이스크림 소비 저변 확대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