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조미김 시장동향
- 러시아 내부에서 조미김 인기 상승 -
- 한국산 조미김 수입 증가 등 시장 성장 기대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조미김
ㅇ HS Code: 1212.21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러시아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미식 문화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새로운 식료품을 찾고자 하는 수요도 늘어나 한국산 식품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음.
ㅇ 라면과 더불어 기존 일부 아시아 식품점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던 한국산 김이 현지 대형마트에 입점하면서, 러시아 대형마트에서 한국산 김을 판매하는 것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음.
ㅇ 2017년 조미김 수입규모는 1281만 달러로 2016년 669만 달러 대비 2배 가까이 성장함. 이러한 시장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됨.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러시아 조미김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1212.21 기준)
(단위: 천 달러, %)
국가명 | 수입액 | 점유율 | 증감률 | ||||
2015 | 2016 | 2017 | 2015 | 2016 | 2017 | ||
중국 | 5,861 | 5,154 | 7,581 | 75.16 | 77.03 | 59.15 | 91.57 |
대한민국 | 1,637 | 1,270 | 379 | 20.99 | 19.00 | 36.97 | 47.10 |
영국 | 212 | 202 | 75 | 2.72 | 3.02 | 2.96 | 272.82 |
일본 | 37 | 33 | 30 | 0.48 | 0.49 | 0.59 | 87.22 |
노르웨이 | 0 | 0 | 7 | 0.00 | 0.00 | 0.24 | 129.41 |
벨라루스 | 48 | 22 | 1 | 0.62 | 0.34 | 0.06 | - |
우크라이나 | 0 | 0 | 1 | 0.00 | 0.00 | 0.01 | -67.43 |
벨기에 | 0 | 2 | 1 | 0.00 | 0.04 | 0.01 | -57.65 |
프랑스 | 0 | 0 | 1 | 0.00 | 0.00 | 0.01 | 428.02 |
스페인 | 0 | 0 | 1 | 0.00 | 0.00 | 0.00 | - |
자료원: GTIS(순서는 2017년 기준)
□ 대한 수입규모 및 동향
ㅇ 러시아의 한국산 조미김 수입액은 2017년 기준 37만9000달러로 순위로는 전체 2위를 차지하고 있음. 전체 수입액(1281만 달러)의 37%를 차지하고 있음. 2016년 수입액 127만 달러에 비해 금액이 감소한 이유는 중국산 저가 조미김의 물량 공세로 인한 것임.
□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러시아 주요 조미김 판매 현황
사진 | 브랜드 및 가격 |
| 브랜드: Doshirak 국가: 한국 가격: 35.99루블 |
| 브랜드: Sen Soy 국가: 중국 가격: 142루블 |
| 브랜드: Furmi 국가: 한국 가격: 58루블 |
자료원 :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자체 조사
□ 유통구조
ㅇ 유통채널
- 국내 제조사 → 식품 전문수출업체 → 현지 식품 전문 수입업체 → 대형마트
- 국내 제조사 → 현지 식품 전문 수입업체 → 대형마트 자회사 → 대형마트
- 국내 제조사 → 현지 식품 전문 수입업체 → 현지 아시아 마켓, 소형 슈퍼마켓 등
ㅇ 대형마트의 경우 기본적으로 물건 소싱을 위한 자회사를 두고 있고 물품 납품 관련 파트너사를 두는 경우가 많음(매대 임대 형식). 직접 진출보다는 간접 진출이 수월한 편
ㅇ 아시아 식품 전문 수입업체 'Sakkuram'의 구매 담당 매니저 Ms.Natalia의 의견에 따르면, 러시아 바이어들은 소량 다품종 구매 및 재고에 대한 위험부담을 덜기 위해 판매가 잘 진행되지 않는 한 컨테이너 베이스의 주문을 꺼려함. 소량 다품종 판매가 가능한 제조업체와의 거래를 선호하는 편임.
□ 관세율 및 규제, 인증 등
ㅇ 조미김(HS Code 1212.21 기준) EAEU 수입관세는 3%, 부가가치세는 18%(2019년 20%로 인상 예정)이며, 특수한 경우에는 부가세가 10%로 내려갈 수 있음.
ㅇ 조미김(HS Code 1212.21)에 대한 특별한 규제는 없으며 EAEU 인증 취득으로 수입은 가능함. 그러나 대형마트의 경우 러시아 보건부의 해외생산기지 등록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음.
□ 시사점
ㅇ 러시아 미식 문화가 발달하면서 외국산 식품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 특히 김의 경우 건강식 이미지로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어 지속적인 시장 성장이 기대됨.
ㅇ 한국과의 거래 경험이 있는 바이어들이 한국 식품 수입을 확대하려는 추세에 있고, 기존 고급 유통체인 외에 러시아 중급 대형마트(Lenta 등)에서도 한국산 조미김을 판매하는 등 수요층이 점점 확대되고 있음.
ㅇ 한 가지 종류만 있는 국내 조미김 시장과는 달리 러시아의 경우 와사비맛, 김치맛 등 다양한 맛이 첨가된 김(Flavoured)도 선호하고 있어 이러한 시장 수요에 맞는 제품을 개발한다면 인기를 얻을 수 있을 것임.
ㅇ 러시아 내에서 열리는 관련 식품 관련 전시회(Peterfood) 및 KOTRA 지원 각종 바이어 발굴사업에 참여한다면 각종 유통채널과의 미팅을 통해 진출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GTIS, Euromonitor, KOTRA 상트페테르부르크 무역관 자료 종합
'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레디밀 시장동향 (0) | 2018.12.26 |
---|---|
러시아 건강보조식품(홍삼) 시장동향 (0) | 2018.12.22 |
2018 카자흐스탄 농업전시회, 식품전시회 참관기 (0) | 2018.12.21 |
2018 우크라이나 세계 식품 전시회 참관기 (0) | 2018.12.21 |
러시아 식품첨가물 시장동향 (0) | 2018.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