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OVATION&TREND

[INNOVADATABASE] FiE 2017 review-당함량 저감화, 단백질, 퍼포먼스③

곡산 2018. 2. 6. 08:06
[INNOVADATABASE] FiE 2017 review-당함량 저감화, 단백질, 퍼포먼스③
로즈마리 ‘천연 항산화제’ 보존 기간 늘려
저지방 우유 단백질 스낵…시리얼로 이용도
2018년 01월 25일 (목) 13:51:26식품음료신문 fnbnews@thinkfood.co.kr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 식품기업은 작년 말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FIE 2017’에서 모였다. 이번 박람회는 많은 기업들과 참관객 속 식품산업의 긍정적인 비전을 보여줬다는 평을 받고 있다. 주요 테마는 고단백질과 식물성 기반의 식품들, 클린라벨 등이었다.

  
 

◇Kancor=‘OxiKan R Plus’라는 천연 항산화제 솔루션을 출시했다. 제품 보존 기간을 천연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으며, 별도 합성 또는 인공적인 공정이 사용되지 않았다고 했다.

이 항산화제 소재는 로즈마리에서 선택된 항산화제 성분으로 구성된 강화된 추출물이며, 매우 높은 항산화제 활성과 열 안정성을 나타낸다고 했다. 높은 온도 조건에서도 합성 항산화제보다 더 높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Destilla=γ-glutamyl peptides와 glutathione이 풍부한 식물성 추출물의 혼합물 소재 Vegetable Extract ‘Kokumi’를 출시했다. 이 추출물은 농후하고 오래 지속되는 맛을 강화 시킨다고 했다. 이미가 없고,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Non-GMO이며 코셔와 할랄인증을 획득했으며, 액상제품과 분말제품으로 공급된다고 했다.

■유제품 소재 혁신

◇Jennewein Biotechnologie GmbH= L-Fucose와 Sialic Acid 등을 소개했다. 광범위한 human milk oligosaccharides(HMO)의 포트폴리오의 제조사로, 2‘-Fucosyllactose와 3‘-Fucosyllactose, Lacto-N-tetraose, Lacto-neotetraose, acidic HMO`s 같은 3‘-Sialyllactose와 6‘-Sialyllactose 등을 제조한다.

이 회사의 HMO 소재들은 최신 발효 기술을 이용하며, 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고품질과 안전성의 제품을 생산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올리고당들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천연의 모유 올리고당과 동일하다고 했다. 이들 소재는 Mum`s Sweet Secret의 브랜드로 판매되고 있다고 했다.

◇Erie Foods=저지방 우유 단백질 스낵을 출시했다. 90%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며, 바로 섭취할 수도 있고 Bar 또는 Breakfast Cereal로도 이용 가능하다.

회사 담당자에 의하면 모든 단백질 스낵이 동일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ECCO Milk Protein Crisp 제품은 단백질 기준 80% 카제인과 20% 유청을 함유하며 이는 우유에서의 단백질 조성과도 같다고 했다.

이 소재의 원재료명에서도 ‘분리된 우유 단백질’임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오직 유제품 원료만이 사용됐고, 별도 밀가루나 전분 등이 첨가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백질 함량이 90%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단백질 함량이 업계 기준 보다 높은 편이고 크기와 모양, 무게와 바삭한 텍스처 등은 최종 소비자 제품에서 요구하는 니즈에 부합되도록 커스터마이즈가 가능하다고 했다. 원재료 또는 충진물 또는 스낵 자체로도 이용 가능하다고 했다.

◇Arla Foods Ingredients=자사의 Lacprodan DI-9213가 함유된 Crystal Clear Protein Water를 소개했다.

물과 지방을 함유한 유청으로부터 제조된 중성 맛의 원료로, 무설탕 스포츠 드링크에서 사용 가능하다고 했다. 유청 단백질은 대부분 스포츠 뉴트리션 사용자들로부터 선호되는 단백질 타입인데, 고품질 영양 특성과 운동 후 근육 회복과 생성을 돕기 때문이라고 했다.

활동적인 뉴트리션 소비자들에게 유청 단백질이 함유된 RTD 음료는 간식 대신 이용될 수 있다고 했다. 기존 RTD 음료에 유청을 첨가하는 것이 쉽지 않았고, 투명한 RTD음료에서의 맛과 텍스처, 외관 변화 없이 적용은 더욱 어려웠지만 자사의 Lacprodan DI-9213 소재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