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수'에 '개콘우유'까지, 누가 만들었나 했더니
![프리미엄 첨부 이미지](http://file.mk.co.kr/mkde_7/N0/2016/08/20160829_3058047_1472448430.jpg)
![프리미엄 첨부 이미지](http://file.mk.co.kr/mkde_7/N0/2016/08/20160829_3058047_1472448439.jpeg)
오모리김치찌개라면은 또 어떤가요. 허영만 화백의 '식객'에 나온 성찬 캐릭터가 그려져 있고 맛집으로 유명한 오모리김치찌개 집의 실제 레시피를 가미해 GS25 자체 브랜드(PB) 상품으로 세상에 첫선을 보였지요. 결과는요? 라면계 '거성'이라 할 수 있는 신라면의 아성을 무찌르고 지난해 1월부터 GS25에서 1위로 올랐습니다. 출시 1년 만에 900만개가 판매되는 신기록도 세웠답니다. 최근엔 KBS 예능 프로그램 '1박2일'을 모태로 한 새우칩과 소프트콘 2종도 편의점 매출 상위권에 올랐다고 하네요.
아니 누가 이런 기발한 생각을 했을까요?
오모리김치찌개라면에서 본 '식객' 캐릭터를 바탕으로 탐문(?) 수사를 했습니다. 플렉스플레이코리아란 업체가 나오더군요. 이 회사는 예전에 소멸성 DVD를 팔던 회사였습니다. 저작권 보호를 위해 포장지를 뜯으면 하루 정도는 정품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상품이었는데요. 스마트폰, IPTV 등의 등장으로 사실상 콘텐츠 유통 시장에선 '조상님'이 돼버렸습니다. 망했다는 말입니다.
이후 이 회사가 절치부심해서 내놓은 게 만화 '식객' 캐릭터를 활용한 기획상품이었습니다. '식객'의 원조는 허영만 화백이니 당연 대표도 그럼 허 화백인가 했는데 아니었습니다. 창업자는 서대경 대표였습니다. 서 대표는 2000년대 벤처 붐 시절 삼성그룹 내 신사업추진단 격인 금융소그룹에 있으면서 창업에 눈을 떴습니다. 이후 디스퍼트, 리드락코리아 등을 잇달아 창업 후 매각하는 등 벤처업계에선 나름 의미 있는 성과를 낸 인물입니다. 리드락코리아는 수십억 원에 엔터테인먼트 회사에 매각하기도 했지요.
그리고 새롭게 플렉스플레이코리아를 차렸는데 앞서 소개한 대로 첫 아이템은 실패. 다시 심기일전해서 사업 아이템을 찾던 중 인기 만화 '식객'이 눈에 들어오더랍니다. 상품화 가능성을 보고 허영만 화백을 설득해 2010년부터 만화, 캐릭터 등을 기반으로 한 간편조리식품(HMR) 기획상품들을 내놓기 시작한 거지요. 식객 갈비탕·육개장·갈낙탕·삼계탕 등 7종의 탕류는 편의점, 마트 등에서 꾸준히 팔리는 스테디셀러로 등극했고요. 추가로 내놓은 식객 족발·편육·오향수육도 히트치면서 상품 기획에 대한 자신감이 쌓였다네요.
![프리미엄 첨부 이미지](http://file.mk.co.kr/mkde_7/N0/2016/08/20160829_3058047_1472448447.jpeg)
![프리미엄 첨부 이미지](http://file.mk.co.kr/mkde_7/N0/2016/08/20160829_3058047_1472448454.jpeg)
"상품 기획을 하면 모든 제품은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회사를 통해 생산한 후 유통합니다. 현재까지 출시한 상품은 지난 5년간 200여 가지가 넘어요. 이 중 현재까지 살아남은 상품은 40% 내외랍니다. 그만큼 상품의 생명 주기도 짧고 트렌드 변화도 심해요. 이름값만 믿고 상품을 만든다고 다 성공하는 것도 아니더라고요. 돌이켜보면 실패한 상품은 상품력, 즉 가격 대비 품질이 그만큼 미치지 못해서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소비자는 정말 똑똑하고 무섭다는 걸 매년 절감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드는 또 하나의 의문.
4~5년 전만 해도 김혜자 국민김치, 혜리 도시락 등 연예인 이미지를 딴 제품이 대세였습니다. 물론 최근에도 이런 현상은 계속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 대표가 내놓는 건 좀 다릅니다. 방송프로그램, 그것도 제목을 응용해 기획상품을 내놓지 '사람' 모델을 잘 쓰지 않는다는 겁니다.
"연예인은 광고 모델인 상품과의 경계가 모호한 경우가 많아요. 아무리 인기 배우라고 해도 안주, 설렁탕 이런 거랑은 어울리는 조합이라고 볼 수 없잖아요. 또 사람이라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몰라요. 결혼, 폭행, 도박 사건 등 개인사에 따라 상품 판매에 영향을 많이 받더군요. 그래서 가급적 만화, 캐릭터, 방송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한도전과 같은 방송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성격이 명확한 데다 시청률이 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큰 사고가 날 확률이 적지요. 시청자들의 사랑을 많이 받는 장수 프로그램의 경우 생명력이 꽤 길어서 상품 개발 등에 유리하다는 이점도 있습니다."
식객촌 외 무리수 같은 상품 기획만으로 올해 취급고 100억원 돌파를 노린다는 서 대표. 하반기에는 신세계 그룹 피코크와 연계한 식객 프리미엄 상품도 하나 둘 내놓는다고 하네요.
"식음료만 기획하는 건 아닙니다. 시각장애인 작가로 웃음을 승화한 이목을 화백의 '스마일' 시리즈를 우산, 패션, 시계 등 다양한 공산품으로 만들 계획입니다. 또 자체 브랜드인 에브리밀(www.everymeal.co.kr) 브랜드로 다양한 건강, 다이어트 식품을 개발해 유통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류 기반 기획상품은 해외에서도 각광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봅니다. 해외에서도 납품·제휴 요청이 많은 만큼 앞으로도 다양한 결과물이 나올 거니 기대해도 좋습니다."
[박수호 매경이코노미 기자]
'인물,인터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기문 CJ제일제당 식품연구소 글로벌 R&D센터장] 호텔 조식 대신 냉동식품 먹는 만두박사 (0) | 2017.02.21 |
---|---|
[청년창업 37.5도] 창업선배에게 듣는다(3) "교수·의사·고시가 아닌 내가 좋아하는 일을" 서울대 식품공학도의 창업성공기 (0) | 2017.02.20 |
동원에 300억원 매각 '잭팟' 고졸 출신 '더반찬' 사장 (0) | 2017.01.25 |
[식품업계 새해 경영 전략] “丁酉年은 범피 로드” (0) | 2017.01.25 |
신격호 롯데 총괄회장 인터뷰, “두 아들 중 후계자는...” (0) | 2017.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