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농, GMO

GMO 공론조사 어떤 결과?

곡산 2008. 10. 21. 23:02

GMO 공론조사 어떤 결과?
‘표시제 현행유지’ 50대 이상·고소득층서 증가
비구입 의사 줄고 구입의사 5%p 증가
안전성 인식 변화 미비…반발강도 약해져

한국식품공업협회(회장 박승복)가 지난달 실시한 공론조사 결과 GMO에 대한 정보 제공시 일반 소비자의 인식 변화를 살핀 결과로는 정보가 전달될수록 전반적인 수용도가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으나 안전성 인식과 관련해서는 다소 상반된 결과가 나왔다. 자료집+분임토의(45%) 보다는 전체토론(54%)에서 태도 결정에 좀 더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조사됐는데 전체토론은 특히 ‘부정적 태도 결정’의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GMO 구매 의향 상승

공론조사에서는 또 극단적인 GMO 식품 구매 거부 태도는 크게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수용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GMO를 구입하겠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공론조사 전에는 구입하겠다 37%, 구입하지 않겠다 42%로 나타났으나 공론조사 후에는 구입하겠다 42%, 구입하지 않겠다 30%로 달라졌다.

향후 GMO 구입 의향이 최초조사에 비해 5%p 상승했으며 구입 비의향이 10%이상 크게 감소하고 유보층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초 구입 의향 보유 참여자들의 60~70% 가량이 조사 후에도 여전히 구입 의향을 가가졌고 최초 구입 의향 비보유 참여자들은 50% 정도가 계속 구입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계속 유지했다.

식공은 최초 구입 유보층 중 ‘의향 있다’는 인식이 ‘의향 없다’는 인식보다 크게 높아진 것이 특징적인 현상이라고 진단했다.[표1 참조]


◇ 안전성 인식 변화 없어

GMO 식품 안전성에 대한 인식 자체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 공론조사 시작 전에 수집된 데이터로는 찬성 47%, 반대 53%였으나 공론조사 후에는 찬성 42%, 반대 53%, 모름 5%로 반대 층의 변화가 없는 가운데찬성 층의 일부가 유보적으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최초 안전 인식 보유 참여자 중 59.6%가 계속 ‘안전하다’는 인식을 유지했고 31.9%는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을 전환했다. 최초 안전 인식 비보유 참여자 중에서는 71.7%가 계속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을 유지했고 26.4%는 ‘안전하다’고 인식을 전환했다.

식공은 이같은 변화에 대해 식품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불거졌던 중국산 식자재(김치 등) 파동, 美 쇠고기 파동 등의 영향으로 식품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져 GMO 식품의 안전성 인식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공론조사 참여자의 ‘GMO 안전성 평가 인식’과 ‘평소 식품 안전 불안감 인식’ 을 교차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식품안전에 대해 불안하다’고 느끼는 인식층의 61%가 GMO을 안전하지 않다고 인식한 반면 ‘식품안전에 대해 불안하지 않다’는 인식층은 67%가 GMO를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GMO가 유통될 때 부정적인 측면을 꼽는 질문에서 공론조사 전에는 건강위험 55%, 생태계 파괴 21% 순으로 나타났던 것이 공론조사 후에는 건강위험 37%, 생태계 파괴 36% 순으로 나타나 공론조사가 안전성에 대한 찬·반 태도변화에 영향을 주지는 못했지만 반발 강도는 약화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식공은 안전성에 관련해 찬·반 어느 쪽도 압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핵심사항인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크게 감소한 것은 주목된다고 밝혔다.[표2 참조]

◇ 득·실 평가 결과도 대동소이

전문가 토론회를 통해 제기됐던 ‘GMO는 위해하므로 생산을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과 ‘GMO는 세계 식량 부족을 해결할 대안이다’라는 찬·반 양측의 주장에 대해서는 공론조사 후 모두 공감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대신 불가피한 시대적 흐름이라면 세계 시장을 주도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정부가 GMO에 대한 R&D 지원을 늘려줘야 한다는 인식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농약 감소 및 노동력 절감 등 긍정적 요인과 생태계 파괴 등 부정적 요인에 대해서는 태도 변화가 없는 가운데 각기 높은 공감대가 형성됐다.

GMO 유통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층은 참여자 간 분임토론 직후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높았으나 전문가 토론 직후 다시 부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긍정적인 인식층은 참여자 간 분임토론 직후와 전문가 토론 직후 간의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식공은 전반적으로 긍정·부정 주장 어느 쪽도 압도하지 못한 채 사안별로 태도를 달리한 가운데 소비자에게 미치는 득실에 대한 종합적 평가에서도 공론조사 전 긍정 46% 부정 51%, 공론조사 후 긍정 46%, 부정 53%로 대동소이 했다고 분석했다.[표3 참조]


◇ 표시제는 ‘현행 유지’ 호응

안전성과 득·실 측면에서 참가자들의 성향에 변화가 거의 없었던 것과 달리 표시제도와 관련해서는 뚜렷한 변화가 감지됐다.

‘즉시 전면 확대’(38%) 보다는 ‘점진 확대 또는 현행 유지’(60%)라는 의견이 우세했고 태도 변화 또한 ‘전면 확대’의 상승폭(2% ↑) 보다는 ‘현행 유지’의 상승폭(6% ↑)이 컸다.

또 평소 태도와 공론조사 이후 태도를 비교한 결과 10명 중 6명 정도가 GMO 표시제 확대에 대한 태도가 고정적이었으며 4명은 유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식공은 이에 대해 정보 제공 이후 GMO 표시제 확대'에 대한 태도의 가변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며 이는 GMO에 대한 안전성과 실익 두 가지 측면 모두를 고려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한편 ‘즉시 전면 확대’는 20~30대에서 높아진 반면 40대에서는 낮아졌으며 외식 빈도가 높은 층, 50대 이상, 고소득층, 자영업 계층에서는 ‘현행 유지’ 의견이 증가했다.

특히 참가자들은 가격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냈는데 ‘식품 구매시 우선 고려 순위’가 공론조사 전에는 유통기한→원산지→식품 맛→가격 순이었지만 조사 후에는 가격→유통기한→원산지→식품 맛 순으로 바뀌었다.

‘GMO 유통시 긍정적인 측면’에 대해서도 공론조사 전에는 식량부족 대안 42%, 저가 26%, 농업기술발전 21% 순으로 나타났으나 공론조사 후에는 저가 33%, 농업기술발전 27%, 식량부족 대안 25% 순으로 변화를 보였다.

이같은 조사 결과에 대해 식공은 소비자들이 알권리 차원과 안전성 담보를 위해 GMO 표시제의 점진적 확대를 선호하고 있지만 경기악화로 가격 민감도가 높아져 있는 상황에서 표시제 확대적용이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불안감 또한 동시에 갖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충분한 공론 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정부가 GMO 표시제 확대 방안을 추진을 강행할 경우 사회적 진통이 적지 않게 수반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표4 참조]
황세준 기자 : hsj1212@thinkfoo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