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 기자
- 승인 2025.02.04 06:00
65세 이상 인구 17.6% 차지...올해 초고령사회 진입 전망
최근 대만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코트라 타이베이무역관이 시장 조사 업체 Kantar Taiwan이 발표한 ‘2024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 트렌드 보고서’를 인용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대만 인구의 절반 이상인 100명 중 55명이 지난 1년간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했으며, 1인당 연평균 소비 금액은 약 8,600대만 달러(약 38만 2,100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 건강기능식품 구매율 및 연평균 소비 금액>
![](https://blog.kakaocdn.net/dn/AEZxp/btsMbWcU7b3/97C2dUPwXTmfCdtQ2Tbmu0/img.jpg)
대만 경제부 산업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이후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매년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9년 팬데믹 당시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약 250억 대만 달러(약 1조 1,110억 원)였으며, 2021년에는 300억 대만 달러(약 1조 3,332억 원)를 돌파했다. 2023년에는 약 314억 대만 달러(약 1조 3,954억 원)까지 성장하며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대만 건강기능식품 판매액 추이>
![](https://blog.kakaocdn.net/dn/c6YM63/btsMdq4XbnH/69OC4lICZKc52UzQXkObP1/img.jpg)
대만의 고령화는 건강기능식품 소비 증가의 핵심 요인 중 하나다.
데이터 분석 업체 Ln Data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17.4%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17.56%를 차지했다.
대만 국가발전위원회는 2025년 고령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지속적인 확대 가능성을 시사한다.
<대만 고령인구 변화 추이>
![](https://blog.kakaocdn.net/dn/PG4jp/btsMaOGYyzw/kYFQ7zg9YtdtWNUoRR9it1/img.png)
온라인 시장 확대와 유통 트렌드 변화
Kantar Taiwan 조사에 따르면 55세 이상의 중·고령 소비자들도 건강기능식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대만 온라인몰인 Momo와 Shopee를 선호하며, 중년층은 페이스북과 Line을 통한 공동구매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온라인 판매 성장률은 오프라인보다 높았으며, 유통 채널 점유율이 30%를 넘어서며 전체 일반 소비재(FMCG) 시장 평균을 상회했다. 이는 향후 온라인 마케팅 전략이 더욱 중요해질 것임을 보여준다.
<판매 경로별 건강기능식품 판매 성장률>
![](https://blog.kakaocdn.net/dn/bJtdqX/btsMa5oe4HH/TtoWggFKkjIycA9nipf7uK/img.png)
건강기능식품 수입도 성장세...미국산이 43% 차지
대만의 건강기능식품 수입 시장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4년 11월 기준 수입액은 4억 2,619만 달러에 달하며, 주요 수입국으로는 미국, 일본, 뉴질랜드, 독일, 한국 등이 포함된다.
미국산 제품이 전체 수입액의 43%를 차지하며 1위를 기록했으며, 한국 제품의 수입 비중은 4.4%로 나타났다.
<건강기능식품 수입 현황(HS code 2106.90.99)>
(단위: US$ 천, %)
![](https://blog.kakaocdn.net/dn/7q5Ms/btsMb1d8u7y/xzDrYMffMtkTRIpc33J6KK/img.jpg)
건강유지 면역력 강화 질병예방 위해 건기식 섭취
대만 소비자들은 건강 유지, 면역력 강화, 질병 예방 등의 이유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있으며, 70%가 제품 성분과 효능을 일부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인기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비타민, 프로바이오틱스, 루테인, 미네랄, 콜라겐, 오메가3, 식물 추출물 등이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 시 ‘성분과 함량’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고려했으며, ‘제품 리뷰’, ‘가격’, ‘전문가의 조언’ 순으로 중요도를 평가했다.
<건강기능식품 복용 빈도율과 효능 이해도>
![](https://blog.kakaocdn.net/dn/q2lyK/btsMbKwXtLg/H4oKM6Vk67O9zd3hp2bTXk/img.jpg)
<건강기능식품 구매시 고려하는 점과 ’브랜드, 성분, 가격 비교가 가장 중요하다’ 에 대한 소비자 반응>
![](https://blog.kakaocdn.net/dn/miowX/btsMaOtpmMd/vuNUcYYv8Xt36wbDZ2Nnc0/img.jpg)
특히 95% 이상의 소비자가 브랜드별 성분과 가격을 비교하고 있으며, 자연에서 추출된 천연 성분 함유 여부가 구매 결정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제형 선호도에서는 주로 정제 및 캡슐(물과 함께 복용) 형태를 가장 좋아했으며, 휴대가 간편한 분말형, 물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액상형, 맛있고 섭취가 쉬운 젤리형 순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https://blog.kakaocdn.net/dn/cM0x4P/btsMcdSZsMB/WqK9tFy2wjLCHisFmFXj5K/img.jpg)
'타이베이 국제건강보조식품 영양식품 전시회' 'FOOD TAIPEI' 주목할 만
대만에서는 건강기능식품 관련 주요 전시회도 활발히 개최되고 있다. 대표적인 전시회로는 매년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타이베이 국제 건강보조식품 및 영양식품 전시회’와 ‘FOOD TAIPEI’가 있다.
특히, 2025년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열리는 FOOD TAIPEI에서는 건강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최신 식품 산업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의료 및 건강 산업 전시회인 Medical Taiwan에서는 건강식품 관련 업체들과 네트워킹할 기회도 제공된다.
이스트바이오틱스 비타민 콜라겐 함유제품 선호 경향
대만의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고령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다.
한국 건강기능식품 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대만 소비자들은 이스트바이오틱스, 비타민, 콜라겐이 함유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온라인 시장의 급성장과 소비자들의 성분 비교 트렌드를 고려할 때, 효과적인 온라인 마케팅 전략과 차별화된 제품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만 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과 온라인 유통 채널 확대를 적극 활용해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유통기업, 기존 매장의 안정화 전략 돌입 (0) | 2025.02.07 |
---|---|
[중국] 냉동 베이커리 제품 산업은 고속성장중 (0) | 2025.02.07 |
[중국] 설 명절 기간 전자상거래 소비 열풍 (0) | 2025.02.07 |
[홍콩] 홍콩의 혼합음료 제품 시장 분석 (0) | 2025.02.06 |
[중국] 유제품 기업, 외식업과의 콜라보 마케팅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