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11

[미국] 냉동식품, 기후 변화 대응의 숨은 열쇠

[미국] 냉동식품, 기후 변화 대응의 숨은 열쇠냉동 식품은 기후 변화에 맞서 싸우는 데 있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식단에 냉동 식품을 포함시키는 개인의 작은 실천이 기후 변화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가장 최근의 유엔 총회에서 필레몬 양 (Philemon Yang) 총장은,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최대 12억 명의 이재민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최악의 시나리오를 막기 위해 유엔은 2050년까지 전 세계 탄소 순배출 (net-zero) 제로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의 두 번째 주요 원인인 식품 생산 부문에서의 감축이 필수적이다. 그 중에서도 음식물 쓰레기 문제는 소비자와 산업계 모두가 기후 변화에 대응할 수..

[일본] 일본 식초 시장 , 감소세 속에서도 새로운 가능성 모색

[일본] 일본 식초 시장 , 감소세 속에서도 새로운 가능성 모색 일본 식초 시장은 2020년을 정점으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POS데이터에 따르면, 조미 과즙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카테고리에서 매출이 하락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식초 수요가 높았던 부식 중심의 조리 빈도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냉동 식품이나 외식으로의 수요 전환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전국 식초협회중앙회 조사에 따르면, 2023년 일본 내 식초 생산량은 전년 대비 5.1% 감소한 약 40만 4,200kl로 집계되어 시장 위축이 현실화 되고 있다. ■ 일본 식초 업계, 기능성으로 돌파구 모색 일본 식초 기업들은 건강 및 기능성을 내세운 제품 출시로 시장 활기를 모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츠칸은 기능성 식품인 '이이토..

일본 2025.04.15

[일본] 재해를 준비하는 일본의 식탁, 커지는 롤링스톡 시장

[일본] 재해를 준비하는 일본의 식탁, 커지는 롤링스톡 시장[지구촌 리포트]▶ 비상식품 시장의 규모 일본의 비상식품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있다. 일본의 대표 조사기관인 후지경제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일본의 비상식품 시장 규모는 261억엔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2015년 139억엔 대비 87.8% 증가한 수치이다. 비상식품 시장 규모자료에는 3년 이상 장기 보존이 가능한 비축식품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일반적인 레토르트 식품, 통조림, 컵라면, 그래놀라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일상적으로 소비하면서 짧은 주기로 교체되는 롤링스톡 식품까지 포함하면, 실제 비상식품 시장 규모는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예..

일본 2025.04.15

[기고] 식품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기고] 식품의 유통기한과 소비기한 신동화 명예교수 승인 2025.04.15 07:40유통기한 운영 따른 손실 비용 연간 6800억 추정소비기한 시행으로 폐기량 줄여…산업·국가적 이익신동화 전북대 명예교수△신동화 전북대학교 명예교수일본 소비자청은 최근 유통기한 표시에 있어 필요 이상으로 짧게 설정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개정안을 마련하였다. 이 조치는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안전관리와 심각해지는 식품폐기랑 감소라는 상반된 요인을 만족시켜야 하는 양면성이 있기 때문이다.식품을 포함하여 모든 존재물은 변화가 계속되고, 이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영원불변한 것은 없다. 성하면 쇠하고 쇠하는 단계를 지나면 소멸하는 것이 불변의 자연 법칙이다.더욱 우리가 먹고 있는 식품은 어느 대상보다도 변화의 속도가..

식품전반 2025.04.15

‘아몬드’ 심장대사 건강 및 체중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

‘아몬드’ 심장대사 건강 및 체중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 황서영 기자 승인 2025.04.15 11:12아몬드 매일 섭취하면 심장과 장 건강에 도움줄 수 있어하루 50g 이상 섭취할 경우 체중 감소 효과도 확인캘리포니아 아몬드협회(Almond Board of California)는 협회 후원으로 개최된 과학 라운드테이블 결과에서 세계적인 보건 및 영양 전문가 11인이 아몬드와 심장대사 건강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검토한 뒤 아몬드 섭취가 주요 건강 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논문에 따르면 아몬드를 매일 섭취하는 것은 심장 건강, 체중 관리, 장내 미생물 균형 등 심장대사 건강 전반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식이 전략이며, 특히 하루 50g(1.8oz), 즉 거의 두 번 분량을 섭취..

식품전반 2025.04.15

신소재 활용한 ‘건강면’ 식탁 위에 새 바람

신소재 활용한 ‘건강면’ 식탁 위에 새 바람 황서영 승인 2025.04.15 07:55밀가루 대체재 이용해 저칼로리·고단백 등 내세워…시장 500억 돌파풀무원, 두부면 선두 주자…미국 유럽 등 수출도CJ 국산콩 두부면에 대상·오뚜기 곤약면 출시에쓰푸드, 닭가슴살 이용한 대체면 출시 채비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전례 없이 높아지면서 식탁의 풍경이 바뀌고 있다. 특히 주식 중 하나인 '면' 요리에서 밀가루 대신 건강한 재료를 사용한 '대체면'이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전례 없이 높아지면서 '면' 요리에서 밀가루 대신 건강한 재료를 사용한 '대체면'이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며 국내외 시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국내 면 시장에서 저칼..

식품전반 2025.04.15

일본, 불황에도 멈추지 않는 '최애' 소비! 한국 업계가 주목해야 할 이유

일본, 불황에도 멈추지 않는 '최애' 소비! 한국 업계가 주목해야 할 이유트렌드일본후쿠오카무역관 황신혜2025-04-10출처 : KOTRA 20대 89%, 최애 경험률 압도적... 젊은 세대가 이끄는 일본 '최애' 시장Vtuber,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 분야와 온오프라인을 가리지 않는 '최애' 문화 확산일본은 최근 물가 상승으로 인해 많은 산업에서 소비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그 가운데서도 소비가 상대적으로 꾸준히 유지되거나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분야가 있다. 바로 최애* 산업이다. 일본에서 특히 활발하게 나타나는 독특한 최애 문화는 이제 단순한 팬덤 활동을 넘어, 기업과 일본은행까지 주목하게 만든 중요한 현상이 됐다. *최애(오시, 推し): 팬덤 문화에서 특별히 좋아하고 응원하는 대..

일본 2025.04.15

[미국] 전 세계 수입품에 상호관세 부과 (기본관세: 2024년 4월 5일, 차등 상호관세: 2025년)

[미국] 전 세계 수입품에 상호관세 부과 (기본관세: 2024년 4월 5일, 차등 상호관세: 2025년)미국 비관세장벽 이슈 미국, 전 세계 수입품에 10% 기본관세 부과, 한국 등 차등 상호관세 적용 유예2025년 4월 2일, 도널드 J.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 14257호를 발표하여 2025년 4월 5일부터 전 세계를 대상으로 10%의 기본관세(보편관세)를 부과하고, 2025년 4월 9일부터 추가로 50여 개국에 차등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였으나, 2025년 4월 9일 방침을 다시 바꿔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한 차등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밝힘. 이에 따라, 2025년 7월 9일 오전 12시 1분(동부시간)까지 유예되었음. 1. 배경: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무역 적자와 불공..

[일본] 성장세를 이어가는 일본 아이스크림 시장

[일본] 성장세를 이어가는 일본 아이스크림 시장 일본 내 아이스크림 매출이 호조를 보이고 있다. 과거 최고의 판매실적을 달성했던 전년(2024년) 실적을 넘어서 올해는 6,300억 엔 규모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2년 연속 6,000억 엔을 초과할 전망이다(제조업체 출하 기준). 2024년 9월부터는 스테디셀러 제품을 포함한 다수 품목에서 가격이 인상되고 있지만, 수량 기준으로만 보았을 때에도 전년을 상회하는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에는 아이스크림 시장 호조의 배경과 인가상품을 소개하고자 한다. ㅁ 시장 호조의 배경 시장 호조의 배경 중 하나로 변화하는 기상 조건을 들 수 있다. 2024년은 기록적인 온도의 겨울로 새해를 맞았다. 여름에는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2023년에 이어..

일본 2025.04.15

4월 주차 주요 비관세장벽 이슈 뉴스레터

4월 주차 주요 비관세장벽 이슈 뉴스레터4월 2주차 글로벌 식품 비관세장벽 뉴스레터 (이슈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o 중국, 식품라벨 표시 기준 전면 개정 발표o 사우디, SAUDI GAP 기반 가금류 생산기준 시행일 연기 및 세부문서 발표o 미국, 식품 이력 추적 규정 준수 기한 26년 1월에서 30개월 연기o 아르헨티나, 동물성 제품 수입을 위한 온라인 시스템 도입o 미국, 기본관세 및 상호관세에 대한 행정명령 발표o 캐나다 보건부, 카페인을 보충제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을 변경 제안o 대만, 한국산 복숭아심식나방 기주 과실 수입검역 요건 개정(안) 통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