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7

식약처,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지원 참여 업체 모집

식약처, ‘나트륨·당류’ 저감 제품 개발 지원 참여 업체 모집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4.15 09:48나트륨 줄인 찌개·전골 및 당류 줄인 초콜릿가공품 등 가공·조리식품 중심​​​​​​​대체 원재료 사용, 배합비 조절 및 영양분석, 상품화, 홍보 등 전방위 지원식약처가 나트륨·당류를 줄인 가공식품 등의 생산·유통을 활성화하기 위해 오는 25일까지 ‘나트륨·당류 저감제품 개발 기술지원’ 사업에 참여할 업체를 모집한다.모집 대상은 연평균 매출액 1000억 원 이하 중소 제조업체와 가맹점 20개 이상 프랜차이즈 업체며, 참여 업체들은 식약처가 제공하는 나트륨·당류 저감 기술을 활용해 가공식품의 경우 자사 유사제품 대비 25% 이상 나트륨 함량을 낮춘 제품 등을 개발하게 된다.작년 저감 제품 개발 지원으..

식품뉴스 2025.04.16

작년 식품진흥원 지원 ‘고령친화우수식품’ 매출 114억 돌파

작년 식품진흥원 지원 ‘고령친화우수식품’ 매출 114억 돌파 이재현 기자 승인 2025.04.15 09:57‘죽류’ 매출 전년대비 95% 증가 42억 달성…‘국·탕·찌개류’도 매출 발생작년 식품진흥원을 통해 개발한 고령친화우수식품의 매출이 114억 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사장 김덕호)은 2024년 고령친화우수식품 생산실적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2024년 12월 기준 고령친화우수식품 인증을 받아 생산실적을 보유한 총 141개 제품을 대상이다.작년 고령친화우수식품의 총매출 규모는 114억38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약 25% 증가했다. 고령친화우수식품은 시설 납품용과 소비자 판매용으로 구분되며, 이번 조사에서는 소비자 중심의 시장 확장이 두드러졌다. 특히 소비..

식품뉴스 2025.04.16

“K-우유 고난기”…유업계, 사업 다변화에 사활

“K-우유 고난기”…유업계, 사업 다변화에 사활 황서영 기자 승인 2025.04.16 07:54원유 생산량 증가 속 소비 감소에 멸균유 수입 급증…분유 재고 쌓여서울우유, 유가공품 다양화…B2B 원료 사업매일유업, 성인 영양식·식물성 음료 등 강화빙그레, 건기식 확장…연세유업, 베이커리 성과수급 불균형 해소 위한 낙농 개편 목소리 고조 국내 백색시유(우유) 시장이 수입 멸균유 급증과 소비 부진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며 심각한 수급 불균형에 직면한 가운데 생존을 위해 유업계는 사업 다각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남아도는 국산 원유 처리 문제와 값싼 수입 멸균유의 공세 속에서 기존 우유 사업만으로는 성장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최근 원유 수급 상황은 심각하다. 유업계에 따르면 2024..

식품뉴스 2025.04.16

과테말라 식품 산업 성장과 식탁의 변화, K-푸드 기회 확대

과테말라 식품 산업 성장과 식탁의 변화, K-푸드 기회 확대트렌드과테말라과테말라무역관 곽은자2025-04-15출처 : KOTRA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식문화 속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K-푸드, 과테말라 현지 입맛을 사로잡아과테말라 식품 산업 성장의 배경과 도시 소비층의 확대 과테말라는 따뜻한 열대 기후부터 고지대의 서늘한 기후까지 다양한 기후대를 기반으로 한 농업 활동이 활발한 국가다. 이러한 기후적 특성과 작물의 다양성은 현지 소비자들의 농식품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과 관련된 식품 산업 또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과테말라 식품 산업 규모는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약 5.8%로 증가 추세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유사한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팬데믹 이후..

러시아 즉석 라면 시장의 강자로 떠오른 한국

러시아 즉석 라면 시장의 강자로 떠오른 한국트렌드러시아연방노보시비르스크무역관2025-04-15출처 : KOTRA 2024년 즉석 라면 수입 순위 2위로 부상라면 신규 제품 진출에 대한 기회 가능성러시아 라면 시장 개황 2024년 러시아 라면 수입량은 전년 대비 16% 상승했고 기록적인 소비 증가율을 보였다. 한국은 대 러시아 라면 수출국 순위 2위를 차지했으며, 금액 기준으로는 85%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주로 온라인 마켓플레이스와 유통망을 통해 시장에 판매되고 있으며 유통망 간 소비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매우 치열한 상황이다. 시장 규모 및 구조 '세계인스턴트누들협회(이하 WINA)'는 2023년 전 세계 면 소비량이 1200억 인분을 넘어섰다고 평가하고 있다. 러시아는 2023년 기준 22억 인분..

러시아 2025.04.16

과자

과자품목 > 가공 > 과자 정의 및 유형- 정의 및 유형스낵은 과자의 일종으로, 국내 소매시장에서 주로 소맥·감자·옥수수·쌀 스낵으로 구분된다.스낵은 사전적으로 ‘간단한 식사나 간식거리’로 정의하며,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공전에서 스낵은 ‘과자’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 식품공전에서 ‘과자’는 ‘곡분 등을 주 원료로 하여 굽기, 팽화, 유탕 등의 공정을 거친 것이거나 이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한 것’을 의미하며, △비스킷 △웨이퍼 △쿠키 △크래커 △한과류 △스낵과자 등으로 분류된다. 국내 소매시장에서 판매되는 스낵은 주로 원료에 따라 △소맥 스낵 △감자 스낵 △옥수수 스낵 △쌀 스낵(미과)으로 구분된다. 본 보고서에서 스낵은 ‘증숙이나 건조 또는 팽화의 공정을 거쳐 바삭한 조직성을 보유하고 코팅 및 시..

식품전반 2025.04.16

[중국] 식품라벨 표시 기준 전면 개정 발표 (2027년 3월 16일 적용)

[중국] 식품라벨 표시 기준 전면 개정 발표 (2027년 3월 16일 적용)중국 비관세장벽 이슈 중국, 식품안전을 위한 식품라벨 표시 개정안과 감독관리 방법 발표2025년 3월 27일,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및 시장감독관리총국은 중국 식품안전법 규정에 따라 국가 식품안전 표준 심사위원회의 검토 및 승인을 거쳐, "식품안전 국가표준 포장식품 라벨링 통칙"(GB 7718-2025)을 포함한 50개 국가 식품안전 표준과 9개 개정안을 발표하였으며, “식품안전 국가표준 포장식품 영양성분 라벨 통칙“(GB 28050-2025)을 제정하고 발표하여, 2027년 3월 16일 동시 시행될 예정임 1. 주요 내용 안내① 알레르기 유발 물질 표시 방법 명확화 → 글루텐 함유 곡물, 갑각류, 생선, 달걀, 땅콩, 대..

중국 2025.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