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사과(Apples) 시장동향
베트남, 사과(Apples) 시장동향
2024년 8월, 하노이지사
□ 키워드 :
○ 베트남 과일(Fruits) 시장현황
- 유로모니터(Euromonitor)의 베트남 과일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3년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7.0% 증가한 8,265.0천톤이며, ‘28년 11,335.7천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현지 소비자들의 건강에 관한 관심 및 중산층 증가에 따른 고급 과일 수요 증대 등 영향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유망한 시장임
- ‘23년 기준 과일별 시장규모는 기타과일(Other Fruits)을 제외하고, 바나나가 1,904.6천톤으로 전체 시장 규모의 23.0%를 차지하면서 소비량 1위를 기록하였으며, 오렌지류 1,628.9천톤, 자몽 849.3천톤, 파인애플 320.5천톤 등 순으로 나타났음
- 사과는 전체 과일 시장규모의 2.1%로 7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전년대비 6.7% 증가하면서 169.6천톤을 기록하는 등 매년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음
![](https://blog.kakaocdn.net/dn/b36xdy/btsJfdpcc6Y/64eHvRPNDnIxX2sr9jI1P0/img.png)
- 사과는 하장성(Tinh Ha Gian) 등 베트남 일부 고산지대에서 생산되나 생산량이 미미하고 과실의 크기가 작아 상품성이 떨어져 수입 의존도가 높은 과일 중 하나임
○ 베트남 사과 수입 및 유통현황
- ‘23년 베트남의 사과 수입액은 전년대비 12.8% 감소한 345,471천불이며, 주요 수입국은 중국, 뉴질랜드, 미국 등으로, 한국은 전년대비 55.2% 감소한 382천불로 10위 기록
![](https://blog.kakaocdn.net/dn/ehVZfi/btsJgFkqxB0/SY1Mk4R4rlxa5Ti7ba7iL1/img.png)
- 중국산 사과의 경우 50,000동/1kg(약 2,700원)으로 주로 재래시장에서 판매되거나 식당에서 샐러드 등으로 사용되며, 과실 모양이 고른 편이나, 당도가 낮고 푸석한 식감임
- 뉴질랜드는 대베트남 사과 수출 2위국이며, Ambrosia, Breeze, Envy 등 다양한 브랜드 제품이 대형유통매장, 소규모 슈퍼마켓 등에서 판매되고 있음. 낱개로도 판매되며 2과, 4과 등 소포장 용기 포장하여 고급스러운 느낌
- 한국산 사과의 경우 뉴질랜드, 미국 등 사과 브랜드(Envy 등) 대비 인지도는 낮은 편으로 주로 한인 마트를 통해 판매됨
![](https://blog.kakaocdn.net/dn/ceXFGN/btsJfbEXPvk/PyMCyJZoMGgmDValia1EJk/img.png)
◯ 시사점
- 베트남의 지속적인 경제 발전과 중산층의 증가로 프미리엄 과일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사과는 베트남의 기후 특성상 수확량이 적어 수입 의존도가 높음
- 수입 사과는 현지에서 프리미엄 과일로 인식되어 선물용으로도 소비되며, 뉴질랜드, 미국, 프랑스 등 국가 사과의 인지도가 높음
- 타국산 대비 인지도가 낮은 한국 사과의 안정적인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차별화된 포장 디자인, 일관된 품질관리, 적정한 가격 유지 등을 통해 지속적인 고급화 전략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함
◯ 출 처
- Fruits in Vietnam. Euromonitor
- aT 하노이지사 자체 조사 등
◯ 문의처
- aT 하노이지사 최성곡 +84 24-6282-2987
문의 : 하노이지사 최성곡 (skchoi@at.or.kr)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식물검역증명서 업데이트 (2024년 10월 7일 적용) (0) | 2024.08.28 |
---|---|
“I like korea milk!” 유가공협회, 몽골서 ‘K-유제품’ 홍보·시음 행사 큰 호응 (1) | 2024.08.27 |
[베트남] 2024년 중추절 선물 트렌드 (0) | 2024.08.26 |
[태국] 24시간 펫푸드 판매의 시대, 세븐일레븐 편의점 ’Happy Pets’ 런칭 (0) | 2024.08.26 |
[인도네시아] 성장 목표 5%로 낮춘 인도네시아 식음료업계 (0) | 2024.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