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말레이시아 유아용 식품 시장동향(2013.11) | ||
---|---|---|---|
작성일 | 2015-11-05 | 국가 | 말레이시아 |
작성자 | 오새봄 (쿠알라룸푸르무역관) |
작성자: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정윤서 (jys0916@kotra.or.kr)
○ 2012년 기준 말레이시아 유아식품 시장규모는 14억7000만 링깃으로 추산되고 있음.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유아식품은 우유 및 우유 관련 제품(Milk Formula)로 13억7000만 링깃으로 전체 유아식품 시장의 93%를 차지하고 있음.
○ 유아용 스낵 등이 포함된 Dried Baby Food 시장은 7220만 링깃으로 전체 유아식품 시장의 4.9%를 차지하고 있음.
말레이시아의 유아식품 시장규모
(단위: 백만 링깃)
자료원: Euromonitor
○ 2012년 유아식품 시장은 전년 대비 5.4% 성장하였으며 우유 및 우유 관련 제품이 5.6% 성장하며 전반적인 성장세를 이끌었음. 말레이시아에서 유아용품 시장의 성장세는 두드러져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연평균 5.1% 성장했음. 하지만 2012년부터 2017년까지 향후 5년 간 유아식품 시장의 성장세는 다소 둔화되어 연평균 3% 정도 성장세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됨.
말레이시아의 유아식품 시장 성장률
(단위: %)
자료원: Euromonitor
○ 유아식품은 중소형 단일 매장(Independent small grocers channel)을 통해 판매되는 비중이 높음. 유로모니터 자료에 의하면 2012년 유통된 유아식품의 38%가 중소형 단일 매장을 통해 유통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하지만 최근 Giant, Jusco, Tesco 등 현지 대형 슈퍼마켓을 통한 유아식품 구매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어 2007년 대형 슈퍼마켓을 통한 유아식품 유통이 차지한 비중은 19.8%였으나 2012년에는 23.5%까지 늘어났음.
○ 말레이시아의 전반적인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기농 유아식품(Organic baby food)의 유통이 늘어나고 있음. 2012년에는 Nurture Inc의 Happy Family organic baby food가 최초로 소개되기도 했음. 하지만 유기농 유아식품은 고소득 계층이 주로 소비하고 있으며 아직까지 중산층, 서민층이 접근하기에는 가격수준이 높게 형성되고 있음.
○ 말레이시아에서 가장 시장점유율이 높은 브랜드는 Dumex로 2012년 기준 24.5%를 차지하고 있으며 DutchLady(시장점유율 14.9%), Lactogen(시장점유율 9.9%가 뒤를 따르고 있음. 시장점유율이 높은 제품은 모두 우유 및 우유 관련 제품임.
○ 시장점유율이 높은 품목 중 비스켓류는 Heinz (M) Sdn Bhd의 Farley's가 있으며 2012년 기준 시장점유율은 0.6% 였음.
말레이시아의 유아식품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단위: %)
자료원: Euromonitor
○ 최근 몬키아라, 방사 등 소득 중상위 지역을 중심으로 유아용품 판매점, 유아 놀이방 등이 늘어나고 있음. 몬키아라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Publika 쇼핑몰에는 베이비 로프트(Baby loft), 멈 오버더 문(Mum Over the Moon), 해피 키도(Happi Kiddo), 윔즈걸 디자인(Whimsigirl Design) 등의 유아용품 업체가 입점해 있음. 특히 2013년에만 멈오버더 문과 윔즈걸 디자인이 새로 입점할 만큼 이 쇼핑몰에서 유아용품 매장의 설립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 말레이시아에서는 아직 특정 브랜드만 판매하는 전문점보다는 편집매장 형태의 유아용품점이 대부분임. 일부 유아용품은 대형 장남감 유통업체(Toys R Us) 등을 통해 판매되기도 하며 Anakku社과 같은 대형 프랜차이즈 유아용품 유통업체도 일부 존재하고 있음.
○ 말레이시아에서 편집매장 형태의 유아용품점과 대형 유통업체는 입지에 있어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 편집매장의 경우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1~2개 매장을 지역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대형 유통업체의 프랜차이즈 매장의 경우 인구가 많고 경쟁이 적은 교외지역을 찾아 점포를 개설하는 경우가 많음.
○ 멈 오버더 문(Mum Over the Moon), 해피 키도(Happi Kiddo) 등과 같은 편집 매장형 업체는 소형 점포를 운영하는 관계로 주로 단골 고객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함. 편집매장식 유아용품점을 운영할 때는 고객의 필요와 건의사항을 잘 파악하여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
3. 현지 유통되고 있는 유아식품(스낵 및 비스킷류) 현황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맛집 사이트에 한식당 소개Foody·Lozi 등에 올라 현지인 방문 늘어 (0) | 2016.05.10 |
---|---|
인도 ‘식품 가공업’ 허브 국가 부상풍부한 농산물·육류 등 가격 경쟁력에 정부 주력 산업 지원 (0) | 2016.05.10 |
‘간편하고 건강하게’, 인도 주스시장 트렌드를 이끌다 (0) | 2016.04.15 |
한류와 함께 성장하고 있는 한국의 프랜차이즈 전문점 (0) | 2016.04.15 |
말레이시아 'JAKIM 할랄인증' 들여다보기 (0) | 2016.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