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간편하고 건강하게’, 인도 주스시장 트렌드를 이끌다 | ||||||||||||||||||||||||||||
---|---|---|---|---|---|---|---|---|---|---|---|---|---|---|---|---|---|---|---|---|---|---|---|---|---|---|---|---|---|
게시일 | 2016-04-14 | 국가 | 인도 | 작성자 | 김덕영(뉴델리무역관) | ||||||||||||||||||||||||
‘간편하고 건강하게’, 인도 주스시장 트렌드를 이끌다 - 기존 차, 커피 위주의 음료시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제시 - - 포장 형태의 유기농 주스가 최근 부는 트렌드 - - 인도 예산안 발표와 맞물려 시스템 개선 시 고속 성장 예상 -
□ 성장하는 인도 주스시장
○ 인도 음료시장 성장의 새로운 원동력으로 꼽히는 주스산업 - 인도 음료산업 중 기존 주요 품목은 차와 커피지만 최근 몇 년간 과일주스, 과육, 과즙 농축액을 비롯해 다양한 종류의 주스 제품이 사랑받고 있음. - 2012년 기준 인도 주스산업규모는 35억 달러에 이르고, 2018년에는 210억 달러 규모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 - 1인당 연간 과일주스 음료 소비량은 독일 45ℓ, 스위스 42.5ℓ, 미국 39ℓ인데 비해 인도는 20ℓ에 그치지만 충분한 잠재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음. - 가처분 소득의 증가, 서구문화의 유입,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인도 내 과일 수입 증가 등 다양한 요인들이 합쳐져 인도 주스산업의 성장을 이끄는 것으로 분석
□ 인도 주스시장을 이해하는 2016년 트렌드
○ 간편하게 마시자, 인도 포장주스 - 인도 음료시장 중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로, 2013년 3월 기준 포장주스 시장규모는 2억 달러에 이름. 지난 20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30% 이상을 기록했고, 향후 3년간 최대 15%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 - 위생관념에 대한 인도인들의 관심이 증가하며 인도와 세계적 브랜드를 통해 안전하고 검증된 과정을 거쳐 생산된 주스는 더욱 주목을 받게 됐고, 길거리에서 너저분하게 파는 음료보다는 깔끔하게 포장된 포장 주스를 더욱 찾게 됨. - 직장, 학교 등 바쁜 삶으로 시간 부족을 겪는 현대인들은 간편하고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으며, 좋은 영양분을 갖춘 포장주스를 원하게 됨. 또한, 집에서 소비하던 습관에서 벗어나 외출 시 간편하게 마실 수 있도록 포장된 소형 패키지가 유행이며, 가족식사·소풍·간식을 즐기는 사람들을 겨냥해 패밀리팩 또한 떠오르는 소비 트렌드 중 하나임.
인도 포장주스의 대표 주자인 Pepsico의 Tropicana, Dabur의 Activ 자료원: Shopclues
- 포장주스 시장은 과일 함유량에 따라 크게 과일음료, 주스, 과즙음료 등 3가지로 나뉘는데, 이 중 과일 함유량 30% 미만인 과일음료시장이 포장주스시장의 60%를 차지하고, 과일 함유량 100%인 주스는 포장주스의 30%, 과일함유량 25~90%인 과즙음료는 10%의 점유율을 각각 차지하고 있음. - 포장주스 업체로는 Real, Real Activ를 생산하는 Dabur가 전체 포장주스시장의 점유율 55%를 차지하며 시장 내 선두를 달리고, Pepsico, Parle, Fresh Gold 등이 뒤를 이음.
○ 건강하게 마시자, 인도 유기농 주스 - 젊은 10~30대 사람들을 중심으로 인도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탄산음료가 비만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알려지며 이를 대체할 만한 ‘건강’한 유기농 음료가 각광을 받음. - 기존의 과일주스뿐만 아니라 오이, 당근, 고수, 허브 등을 첨가한 채소 주소 또한 인기를 끌고 있음. - 착향료, 방부제 등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인공 화학첨가물을 줄이고 자연 그대로의 맛을 담은 유기농 주스가 인기몰이 중 - 주스 한 잔으로 균형 잡힌 한 끼 식사를 하려는 사람들을 위해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아마인 오일, 비타민 A와 비타민 D가 함유된 대구 간 오일, 단백질 보충제 등을 첨가해 마시는 것도 최근 트렌드 중 하나
□ 새롭게 떠오르는 인도 주스업체 대표 제품 7선
자료원: Homegrown 및 각 기업 홈페이지
□ 시사점
○ 농업 진흥을 다룬 인도 예산안과 맞물려 주스산업에 주목할 필요 있어 - 2016/2017 연방 예산안을 통해 농업 진흥의 의지를 드러낸 모디 총리는 코카콜라, 펩시코 등 다국적 음료기업들에 농촌으로부터 공급받은 과일을 첨가한 음료를 내놓을 것을 주문함. - 세계에서 2번째로 과일, 채소를 많이 생산하는 나라임에도 제대로 된 냉장시설 및 유통시스템을 보유하지 못해 생산된 과일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매년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과일을 버리는 실정 - 향후 농업진흥책과 유통시스템이 개선된다면 더 많은 과일이 주스 생산에 투입되고, 포장형태의 주스가 전국에 유통되는 등 주스 시장 또한 성장할 수 있으므로 꾸준한 관심 필요
작성자: KOTRA 뉴델리 무역관 이학현 자료원: IBEF, The Times of India, Business Maps of India, Amritt, Technopak, Homegrown, FnB News 및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식품 가공업’ 허브 국가 부상풍부한 농산물·육류 등 가격 경쟁력에 정부 주력 산업 지원 (0) | 2016.05.10 |
---|---|
말레이시아 유아용 식품 시장동향(2013.11) (0) | 2016.04.16 |
한류와 함께 성장하고 있는 한국의 프랜차이즈 전문점 (0) | 2016.04.15 |
말레이시아 'JAKIM 할랄인증' 들여다보기 (0) | 2016.04.15 |
인도네시아 젊은 층이 찾는 할랄제품은? (0) | 2016.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