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 |
中 요구르트시장, 소비자가 원하는 것은 ‘안심’ | |||
작성일 | ![]() |
2011-08-31 | 작성자 | ![]() |
유예진 ( yejina@kotra.or.kr ) |
국가 | ![]() |
중국 | 비즈니스센터 | ![]() |
칭다오무역관 |
中 요구르트시장, 소비자가 원하는 것은 ‘안심’ - 중국 소비자들, 로컬제품에 대한 불신 증가 - - 소비자의 구매 주안점은 기업 및 제품의 신뢰성 -
□ 시장 동향
◯ 거대한 중국 요구르트 시장 - 기능성 식품이면서 동시에 휴대가 간편한 요구르트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음. - 중국인의 약 87%가 요구르트 구매경험이 있으며, 특히 북경 거주시민의 경우 구매 비중이 92%에 달함. - 2010년 중국 발효유와 유산균 음료시장 판매규모는 이미 300억 위안(약 5조 원) 돌파 - 2011년 CIFST 유산균분회연회에 따르면, 중국 유산균 제품 생산업은 지속적으로 급성장하는 추세를 보임.
◯ 요구르트는 판촉 효과가 가장 큰 상품 중 하나 - 일반적으로 제품을 이틀 정도 진열판매한 후에 ‘1+1’ 상품으로 묶어 판촉 진행함. - 판촉 행사를 통한 요구르트의 판매량이 매우 높아 생산일로부터 일정 기간이 지난 제품들 판촉을 통해 처리 가능
◯ 요구르트 신제품 추세: 여름, 기능성 그리고 맛 - 무더운 여름은 요구르트 최대 성수기인 동시에 신제품 최다 출시 기간임. - 중국인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요구르트 신제품 역시 건강, 기능성 제품 위주로 출시되는 경향을 보임. - 프로바이오틱스(위장 내 유익한 세균) 제품, 무설탕·고칼슘 제품과 새로운 맛의 요구르트가 대량 출시됨. - 새로 출시되는 요구르트 제품들은 양은 적어지나 가격은 최고 10배까지 증가하는 양상을 보임. - 그러나 다양한 신제품이 끊임없이 출시됨에도 기존 요구르트 제품 판매량이 전체 판매의 80%를 차지함.
◯ 중국 요구르트만의 특징 - 사과, 딸기, 키위, 귤, 파인애플 등의 과일 맛 요구르트에서부터 생강 맛, 대추 맛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맛의 요구르트가 판매됨. - 우리나라와 달리 플라스틱 용기가 아닌 병이나 팩 용기에 넣어 판매하기도 함. - 일부 중국 소비자들은 플라스틱 용기 냄새 때문에 병에 넣어 파는 요구르트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 우리나라는 액상 요구르트(일반적인 요구르트)는 65~80ml, 호상 요구르트(떠먹는 요구르트)는 주로 150ml 용기에 넣어 판매하는 데 비해 중국 요구르트는 500ml, 1000ml 등 대용량 요구르트를 판매하는 경우가 많음. - 호상 요구르트(떠먹는 요구르트)는 우리나라에서는 티스푼으로 떠먹으나 중국에서는 빨대를 꽂아 마심.
◯ 개방형 냉장보관으로 인한 신선도 유지의 어려움.
중국 소비자들의 요구르트 구매 시 고려요소 및 순위
자료원: 2010년도 요구르트 시장 소비자 보고서
- ‘2010년도 요구르트 시장 소비자 보고서’에서 보여주듯 요구르트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신선도임. - 마트의 냉장 보관대는 일부 대형 마트를 제외하고는 폐쇄형이 아닌 개방형이라 냉장 보관 온도가 기준 미달인 경우가 많음. - 요구르트는 장기간 고온에 방치될 경우 유통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인체에도 유해할 수 있으므로 요구르트의 신선도 유지 및 유통기한 보증을 위해 폐쇄형 냉장보관이 필요함.
◯ 브랜드별 현황
- 현재 중국 요구르트시장에서 활동 중인 브랜드는 3 그룹으로 나뉠 수 있음. - 첫 번째 그룹은 蒙牛, 伊利, 光明으로 이들은 중국의 3대 대형 유제품 기업으로서 판매 중인 제품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인지도 역시 가장 높음. - 두 번째 그룹은 达能, 太子奶, 味全 등의 브랜드로서 중국 전역에 유통하는 브랜드임.(太子奶와 味全 브랜드는 요구르트 제품만 취급하나 达能, 卡夫, 达利园 등의 기타 브랜드는 과자나 케익과 같은 제품도 취급함.) - 세 번째 그룹은 특정지역 위주로 유통되는 몇몇 브랜드로서 중국 전역에 유통되는 브랜드와 비교할 때 브랜드 인지도가 현저히 낮음.
◯ 소비자의 요구르트 구매 장소 분포율(%)
자료원: 2010년도 요구르트 시장 소비자 보고서
- 슈퍼마켓은 소비자들이 요구르트를 가장 많이 구매하는 장소이며, 대형 할인마트, 편의점이 그 뒤를 이음. - 대형마트 및 백화점은 안정적인 유통채널을 이용한다는 점과 제품 품질관리에 소홀하지 않다는 점에서 많은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음. - 그 밖에 대형 할인마트는 판촉 행사를 자주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것으로 나타남.
□ 시장 공략점
◯ 낙후된 중국 유제품 생산 시스템 - 2008년 요구르트 멜라민 검출 사태 발생 이후 2010년에 또다시 2차 멜라민 파동 사태가 터지자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여전함. - 얼마 전 중국 최대 낙농기업인 광명유업 회장은 ‘중국 유제품시장이 국가 표준화가 안 돼 있다’며 중국 유제품 품질 시스템의 낙후성을 지적함. - 2011년 공산당 기관지 조사 결과로는 중국인들이 가장 불신하는 업종으로 식료품업, 광고업, 부동산업 등이 꼽힘. - 특히 조사대상자의 48%가 멜라민 분유 파동 이후 중국 유제품에 대해 신뢰하지 않으며 식품감독 관리에 대한 책임제가 도입돼야 한다고 응답함. - 소비자의 제품 구매에 있어 기업의 도덕성 및 제품의 신뢰도가 매우 중요해짐.
◯ 현지 진출에 성공한 한국 기업의 사례 -M사 - 2008년 멜라민 파동의 반사효과로 M사 제품의 인기가 상승, 수출 증대의 성과를 거두고 현재까지 꾸준히 시장 점유율을 높여옴. - 2010년에는 중국 칭다오 유가공업체인 ‘영춘락’과 협력해 현지 생산 체제를 갖춤.(그 이전에는 국내에서 모든 제품을 배송하는 판매방식이어서 유통과정에 문제가 많았음.) - 2009년부터는 냉장 요구르트 ‘엔요’를 수출해 상하이(上海), 칭다오(青岛), 옌타이(烟台), 지난(济南) 등 20여 개 대형마트에 납품하고 있으며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시사점 및 현지진출 전망
◯ 멜라민 파동의 후유증이 여전하며 식품안전 중요성의 제고와 함께 중국 브랜드에 대한 불신이 증가함.
◯ 수입품과 외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생겨났으며 우유를 대신하는 두유, 요구르트 등의 대체품 수요가 증가함.
◯ 중국 유제품 시장 진출 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며 믿을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지속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투명한 유통 경로를 확보해 중국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해야 함.
◯ 또한 현지 유력 대리상 및 바이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대형 마트와 연계한 판촉전을 벌여야 함.
◯ 한국 기업이 중국시장 진출 시 지리적 인접성으로 신선한 유제품 수출이 용이하며 제품과 한류인기를 접목한 마케팅 활용도 가능
자료원: 武汉晨报, 2010년도 요구르트 시장 소비자 보고서, www.eDataPower.com 등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켓트렌드]중국 아이스크림 시장 (0) | 2011.09.29 |
---|---|
[마케트렌드]중국 과자시장 (0) | 2011.09.04 |
제목 중국, 신선 우유를 갈망하다 (0) | 2011.09.04 |
제목 홍콩 기후·입맛·트렌드 모두 맞춘 인기 디저트는? (0) | 2011.08.18 |
제목 [녹색상품] 아이디어로 쓰레기를 황금으로 만드는 대만 기업들 (0) | 201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