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일자 : 2008.8.28.
박영선 방콕무역관
□ 태국 요리의 현 주소 및 정부 정책
○ 태국 요리는 외국인들 사이에서 굉장히 인기 있는 요리임. 태국 음식은 맛있을 뿐만 아니라 세련됨을 나타내며, 소비자들의 건강에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음.
○ 태국 정부에서는 태국 요리가 세계의 요리가 되도록 장려하는 체계적인 정책을 마련함.
- 해외에 있는 태국 식당 수를 늘여 태국에 대한 이미지를 널리 홍보하고, 이를 통해 식품류 수출·관광진흥도 도모함.
- 태국 요리가 전 세계적으로 사랑 받는 음식의 하나가 될 수 있도록 장려함.
○ 태국 정부에서는 아래와 같은 주요 목표를 바탕으로 세계로 진출하는 태국 요리를 위한 전략을 세움.
- 식품 안전성, 위생, 건강을 통해 세계 5대 식품류 수출국이 됨.
- 태국 요리에 필요한 식자재, 양념류 수출 장려
- 해외에 있는 태국식당을 태국 관광정보센터로 활용
- 태국전통의 미각과 국제적인 기준을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해 태국 식당사업을 확대함.
□ 부서별 프로젝트
○ 농림부
- 농림부에서는 농산품과 식품의 표준화를 위한 중앙 기구를 설립함.
- 농식품표준국에서는 국내외 규제와 표준과 관련된 능력을 향상시키는 책임을 가짐. 규제와 국내 및 국제적 레벨의 표준을 강화하는 책임을 가짐. 이 기구는 여러 조직 간, 또는 여러 나라와 협정을 맺을 때 조정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SPS(The Application of Sanitary and Phytosanitary Measure)가 있음.
○ 산업부
- 산업부에서는 산업제품표준국에서 제품별 표준을 정립하도록 임무를 부여함.
- 기준에 적합한 제품 생산을 하는 것을 장려하는 것 이외에도 생산자들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이 보장된 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도록 함.
- 원활한 수출을 위해서 주요 상대국의 식품 규제에 관해 연구하고 분석함.
- 태국 음식을 수출할 새로운 국가나 시장 개척
- 태국 내에서 오염된 물질이나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질병을 관리하기 위해서, 세계 규정에 따라 질병 위험도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실시함.
- 무역규제를 감소시키기 위해, 국제과학연구소와 협력해 식품 안정성에 대하여 테스트함.
○ 상무부(수출진흥국)
- 태국의 주요 수출 식품으로는 냉동 해산물, 캔류, 보존 식품, 채소, 과일, 닭 등이 있으며 주요 수출시장은 일본, 미국, 유럽 연합국가, 아시아임.
태국 과일 수출현황
(단위 : 천 달러)
국가명 |
2006 |
2007 |
2008. 1~7 |
중국 |
81,713 |
82,765 |
70,781 |
홍콩 |
32,616 |
52,663 |
42,765 |
인도네시아 |
31,603 |
36,203 |
24,256 |
대만 |
9,419 |
7,124 |
7,643 |
일본 |
7,823 |
7,885 |
5,761 |
미국 |
1,431 |
3,337 |
5,592 |
미얀마 |
1,990 |
2,637 |
4,316 |
싱가포르 |
3,995 |
3,963 |
3,885 |
아랍에미리트 |
3,923 |
4,834 |
3,872 |
말레이시아 |
3,699 |
3,590 |
3,640 |
총 계 |
207,739 |
239,978 |
199,950 |
자료원 : 태국 관세청
- 매년 5월 태국 국제 식품 박람회와 태국 국제 무슬림 박람회 개최를 주관해, 태국이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과 무역의 중심지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
- 일본, 독일, 프랑스와 같은 외국의 식품전시회에 참가함.
- 태국 레스토랑 해외 진출을 지원. 해외 진출 레스토랑의 책을 발간하고, 웹 사이트에 정보를 게재함. TGN 텔레비전을 통해 세계적으로 광고함. 태국 국제 식품 박람회 & 태국 국제 무슬림 박람회에서 태국 최고의 요리사 콘테스트를 개최함.
- 태국 레스토랑의 각 지점은 프랜차이즈 박람회에 참여함으로써 프랜차이즈 운영자가 태국인 사업가와 접촉을 하고, 태국인과 외국인 사업가들 사이에서 미팅을 주최하기도 함.
- 정부에서 발행해주는 Thailand’s Brand Certificates 발급을 통해서 태국 레스토랑의 이미지를 향상시킴.
- 외국에서 식당설립 및 사업수행과 관련된 규정과 정보를 수집해 관련자들에게 배포
자료원 : 방콕포스트, Thai-food to the world
'인도,베트남,동남아시아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2008년 하반기 수출시장 진단 (0) | 2008.09.30 |
---|---|
필리핀 프랜차이즈 시장 활황세 지속 (0) | 2008.09.03 |
베트남, 한국의 10대 수출대상국으로 부상 (0) | 2008.09.03 |
태국의 설탕산업 현황 (0) | 2008.09.03 |
베트남 경영환경 변화와 대응전략 (0) | 200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