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 아프리카등

케냐 음료시장 급성장으로 Bottling 시스템 수출여건 좋아

곡산 2008. 9. 3. 21:15

케냐 음료시장 급성장으로 Bottling 시스템 수출여건 좋아

- 탄산음료 2002년 이후 50% 소비증가, 병포장 및 팩포장 시스템 도입여건 증폭 -

 

보고일자 : 2008.8.28

나창엽 나이로비무역관

cynah@kotra.or.kr

 

 

□ 케냐 탄산음료 수요 급증세

 

 ○ 상품리서치 기관인 유로모니터는 최근 아프리카, 특히 케냐의 탄산음료(SODA)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발표. 케냐 탄산음료 소비는 2002년 4억ℓ 정도였으나, 2007년 5억9000만ℓ 규모의 소비를 기록, 6년 사이 47.5% 증가를 보임.

 

 ○ 탄산음료는 미네랄워터와 주류를 포함한 케냐 전체 음료수 시장에서 약 6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코카콜라사 주장에 의하면 케냐 비알콜 음료소비량이 12억ℓ 규모에 달하고, 수입도 2008년에만 약 20억 달러 정도로 추정하고 있음.

 

 ○ 현재 케냐 탄산음료 시장은 East Africa Breweries Ltd., Coca Cola, Softa, Crown Foods Ltd. 등 메이저 음료기업이 각자 브랜드로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데, 그 중에  East Africa Breweries Ltd.는 그간 선점해 오던 맥주시장(Tusker 등)을 기반으로 올해부터 25~35세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새로운 탄산음료인 알바로를 브랜드 제품으로 출시하면서 큰 호응을 얻고 있음.

 

□ 고객 취향에 따라 제품 차별화 전략

 

 ○ East Africa Breweries Ltd는 조니워커, Smirnoff 등 브랜드로 유명한 Diageo사가 51%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아프리카 투자회사로 그동안 Guiness, Tursker 등의 맥주를 생산 판매하고 있었으나, 2004년부터 코카콜라에 맞서는 보리탄산음료 Malta Guinness를 시판하면서 케냐 탄산음료시장에 본격 진입

 

 ○ 이와 같이 케냐 탄산음료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주요 제조사들은 소비자 취향에 맞는 다양한 제품 개발에 노력하고 있으며, 코카콜라는 탄산음료 외에도 Dasani 생수, Minute Maid와 Appletizer 등과 같은 주스제품을 시장에 내놓았으며, Softa사의 경우는 엔젤와이즈 등 포장주스를, Crown Foods Ltd.는 Keringet 브랜드의 생수를 경쟁적으로 출시

 

□ Bottling System 수요 동반급증세로 우리 기업 관심가져야

 

 ○ 탄산음료의 다양화와 수요확대는 결과적으로 이에 따른 포장기계 분야의 다양화를 초래하고, 더 고객을 끄는 포장 디자인의 경쟁 또한 다양화되고 있음.

 

 ○ 실제 탄산음료 소비증가는 포장기계 수입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통계에 의하면, 2006년 대비 2007년의 포장기계, 특히 병포장 플랜트 분야의 수입이 무려 88% 증가하고 있음.

 

 ○ 2005~07년 병포장 시스템은 독일제품이 54% 이상을 점유할 정도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한국산은 극히 미미한 수준. 한국산 제품 또한 유럽산에 비해 품질대비 가격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현지에서의 제품성가도 파악되고 있으나, 아직 시장점유율이 미미한 이유는 그간 우리 업계의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것으로 판단되므로, 향후 우리 관련기업의 더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

 

케냐의 병포장 기계 수입동향(HS 8422.30.00 기준)

순위

국가별

금액(천 달러)

분포율(%)

증감률(%)

2006/07

2005

2006

2007

2005

2006

2007

0

세계

9,587.5

8,307.8

15,608.0

100.00

100.00

100.00

87.9

1

독일

4,181.4

1,168.7

8,444.3

43.6

14.1

54.1

622.5

2

이탈리아

757.0

235.6

2,387.6

7.9

15.3

15.3

913.4

3

인도

788.1

1,369.2

1,565.5

8.2

16.5

10.0

14.3

4

스웨덴

833.5

876.3

248.7

8.7

10.5

1.6

-71.6

5

영국

613.5

363.6

572.3

6.4

4.4

3.7

57.4

6

미국

166.9

652.8

396.8

1.7

7.9

2.5

-39.2

7

대만

331.6

479.7

71.4

3.5

5.8

0.5

-85.1

8

말레이시아

30.2

429.8

424.3

0.3

5.2

2.7

-1.3

9

남아공

313.7

322.8

436.7

3.3

3.9

2.8

35.3

10

한국

6.3

0.2

6.0

0.07

0.002

0.03

2,900

11

기타

1,565.3

2,409.1

1,054.4

16.3

29

6.8

-56.2

적용환율 : 2005년 75.6실링; 2006년72.1실링; 2007년 67.5실링

 

케냐의 병포장기계 수입관세

영문품명

Packaging & Water Bottling machinery

HS Code

8422.30.00

제품설명

Machinery for filling, closing, sealing, or labeling bottles, cans, boxes, bags or other containers; machinery for capsuling bottles, jars, tubes, and similar containers; machinery for aerating beverages.

관세율

Free

VAT

16%

자료원 : 동아프리카연합관세표(2007), 케냐 국세청

 

 ○ 케냐 병포장기계 주요 딜러

 

  (1) Kachira Jivraj K. Ltd.

   · P. O. Box 40883-00100, Nairobi Kenya

   · Tel :(254-20) 2220156, 340851

   · Fax: (254-20) 2223806

   · Email: polyshop@kenyaweb.com

   · Contact Persons: Mr. Himanshu Shah (Managing Director)

 

  (2) Interpack Kenya Ltd

   · P. O. Box 76077, Nairobi Kenya

   · Tel :(254-20) 3871735

   · Fax: (254-20) 3874261

   · Email: interpack@kenyaweb.com

   · Contact Persons: Mr. Jacques Hess (Managing Director)

 

  (3) Statpack Industries Ltd.

   · P. O. Box 22015-00400, Nairobi Kenya

   · Tel :(254-20) 821404/5/6, 0733-883329

   · Fax: (254-20) 820877

   · Email: bhavin@statpack.co.ke

   · Contact Persons: Mr. Bhavin Shah (Managing Director)

 

 

자료원 : 케냐관세청, 중앙통계청, 현지 관련업계 종합